목록UN (7)
교육부 공식 블로그

오늘은 푸른하늘의 날🌎☀ 9월 7일은 우리나라 주도로 채택된 UN 공식 기념일이자 국가기념일인 푸른하늘의 날 입니다. 푸른 하늘을 지키지 위해 학교에서는 어떤 노력을 하고 있는지 함께 살펴볼까요? #교육부 #푸른하늘의날 #탄소중립 #UN #국가기념일

□「대학과 함께하는 2022 UN 세계기초과학의 해」의 본격적 시작을 알리는 개막행사, 4월 19일(화) 오후 2시 서울대학교 문화관에서 개최 ※ 선언문 낭독·과학특강·기조발제·토론 등으로 구성, 온·오프라인 동시 개최로 누구나 참석 가능 □ 과학한국의 새로운 100년 도약을 위한 기초과학 중심지로서, ‘대학’의 교육-연구-지역연계 역할 강조, 7월 세계선포식에서는 전국 다발적 행사 예정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유은혜)는 ‘대학과 함께하는 2022 국제연합(UN) 세계기초과학의 해 한국 선포식’을 4월 19일(화) 14:00, 서울대학교 문화관에서 개최한다. 교육부는 지난 2월 8일(화), 국제연합(UN)이 지정한 ‘세계기초과학의 해*’를 맞아 기초학문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고 대학이 기초학..

□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유은혜)는 「대학과 함께하는 2022 국제연합(UN) 세계기초과학의 해 한국 추진위원회 발족식」을 2월 8일(화), 서울 포스트타워(서울 중구 소재)에서 개최한다. 이번 발족식에서는 한국 추진위원회의 발족 취지와 그간의 진행 경과를 공유하고, 연내 연속 기획 행사 추진방향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다. □ 교육부는 국제연합(UN)이 지정한 ‘세계기초과학의 해*’를 맞아 기초학문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고, 대학이 기초학문을 바탕으로 연구기반을 강화해나갈 수 있도록 대학을 중심으로 연내 연속 기획 행사를 추진하고 있다. * (IYBSSD 2022, International Year of Basic Science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2022) ..
글로벌교육우선구상고위급 회의 기조연설문 박근혜 대통령은 지난 9.25부터 3박4일 동안 유엔개발정상회의 및 제70차 유엔총회 참석을 위해 뉴욕을 방문했습니다. '글로벌교육우선구상 고위급 회의'에서 국제사회는 ‘2030 지속가능개발의제’를 채택하여 향후 15년을 이끌 교육 목표에 합의했는데요. 박근혜 대통령의 '글로벌교육우선구상 고위급 회의 기조연설문'을 통해 그 내용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 사진출처: 청와대 홈페이지 「이리나 보코바」 유네스코 사무총장님과 귀빈 여러분, 어제 국제사회는 ‘2030 지속가능개발의제’를 채택하여 향후 15년을 이끌 교육 목표에 합의하였습니다. 이로써 우리 모두는 교육을 통해 세상을 변화시키는 역사적인 항해를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오늘 우리가 이 자리에 모인 것도 더 나은..
인권의 발달 ■ 인간이 인간답게 살아갈 권리 - 인권‘인권’이란 인간이 인간답게 살아가기 위해 마땅히 누려야 할 권리를 말합니다. 그렇다면 인간이 인간답게 살아간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할까요? 성별·인종·나이·국적 등에 의해 차별받지 않으면서 각자 개성에 따라 자유롭게 생각하고 행동하는 것을 의미할 것입니다. 인권은 인간이기에 가지는 자연적이고 양도불가능하며 신성불가침한 권리입니다. 이러한 인권은 인간이 태어나면서부터 하늘이 부여해 준 권리라는 뜻에서 천부 인권이라 부르기도 합니다. 또 국가의 법으로 보장되기 이전에 자연적으로 주어진 권리라는 의미로 자연권이라고도 합니다. 오늘날에는 누구나 인권을 보장받고 누리는 것을 당연한 것으로 여기지만 예전에는 인종, 성별, 언어, 문화나 경제적인 부, 사회적인 신분..
UNICEF ■ 국제 연합(United Nations, UN)지금 이 순간에도 지구촌 곳곳에서는 다양한 이유로 분쟁과 갈등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평화로운 세계를 만들기 위해, 세계 여러 곳에서 국제기구와 비정부 기구(NGO)의 노력이 계속되고 있는데요. 국제기구는 비정부 기구와 달리 국가 간 협력체로서, 대표적으로 국제 연합(United Nations, UN)이 있습니다. UN은 190개 이상의 국가가 회원국으로 소속된 국제기구로서, 회원국들이 힘을 합쳐 세계의 여러 곳에서 발생하는 전쟁 문제, 기후변화 문제, 인권 문제, 식량 문제 등을 해결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들은 개별 국가만의 노력으로 해결할 수 없다는 점에서 국제기구를 통한 국가 간의 협력은 더욱 중요해지고..
6·25 전쟁이 터지자 UN은 1950년 당시 국제 평화와 한반도의 안전을 회복시키기 위해 7월 7일 UN군 창설과 함께 한국에 16개국에서 전투 병력을, 5개국에서 의료지원 부대를 파병시켰습니다. 올해는 한국 전쟁이 1953년에 정전이 된 후로부터 60주년이 되는 날입니다. 정전 60주년이라는 의미도 크지만, 유엔군 참전 60주년이라는 것도 의미가 매우 큽니다. 또한, 전쟁이 없는 평화를 지난 60년 동안 이어 온 것도 많은 의미를 부여해 줍니다. 정부는 이를 기념하고자, 2013년 7월 27일 토요일, 전쟁기념관의 평화의 광장에서 ‘유엔군참전 및 정전 60주년 기념식’이라는 이름으로 행사를 진행하였습니다. 그래서 저는 뜻깊은 행사를 취재하기 위해, 이른 아침부터 서둘러 전쟁기념관으로 향했습니다. 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