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 공식 블로그

교육기부로 행복한 세상 함께 만들어요! 본문

교육부 국민서포터즈

교육기부로 행복한 세상 함께 만들어요!

대한민국 교육부 2020. 9. 25. 09:00

‘교육기부’라는 단어를 문득 떠올렸을 때 어떤 생각이 드시나요? 교육과 거리가 먼 나와는 조금 다른 세상의 이야기 같기도 하고, 또 참여하고 싶은 마음이 있더라도 막상 어떻게 시작해야 할지 막막하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교육기부가 모두를 위해 활짝 열려 있다는 사실! 이제는 이것 하나만 알면 누구나 쉽게 교육기부를 할 수 있습니다. 어떤 방법인지 함께 알아보러 가보실까요?

 

출처  :  교육기부포털

 

교육기부란, 기업과 대학, 공공기관, 개인 등이 사회가 보유한 다양한 자원을 유치원, 초·중등 교육활동에 직접 활용할 수 있도록 비영리로 제공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지역사회가 보유한 우수한 자원을 미래의 주인공이 될 우리 아이들이 창의융합형 인재로 성장하는데 필요한 교육자원으로 제공하는 가치있는 일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출처  :  프리픽

 

 "누구나 함께 할 수 있다!" 


교육기부라고 하면 교육을 전공한 전공자만이 참여할 수 있는 활동이 아닌가 생각을 하기 쉽습니다. 하지만, 원활한 교육기부를 위해 마련된 ‘교육기부포털’ 통해 교육기부 프로그램을 만들어 등록하는 절차를 거친다면 누구나 쉽게 참여할 수 있습니다.

 

 

교육기부 포털

한국과학창의재단 교육기부센터

www.teachforkorea.go.kr

 

 

출처  :  교육기부포털

 

교육기부 참여 방법

교육기부포털에서 한국과학창의재단 통합회원에 가입한 다음, 상단 메뉴에 자리잡은 ‘교육기부 하기’ 혹은 ‘교육기부자 등록’을 합니다. 다음으로 재단의 승인 절차가 이루어지면 교육기부 홈페이지 상단의 ‘교육기부하기’ 내에 자리잡은 ‘교육기부 프로그램 등록’ 신청을 하고 나면 승인 여부가 결정되고 이후, 교육기부가 이루어지게 됩니다.

 

교육기부자에게 주어지는 혜택으로는 첫째, 기업·대학·공공기관 등 교육기부자가 운영하는 프로그램을 전국에 알릴 수 있으며, 둘째, 교육기부 수혜자를 손쉽게 모집·관리할 수 있습니다. 셋째, 교육기부 등록을 통해 기관 이미지 제고와 홍보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출처  :  교육기부포털

 

교육수혜자 참여 방법

교육기부포털에서 한국과학창의재단 통합회원에 가입한 후, 교육기부 프로그램 검색지역, 운영기관, 모집대상, 분야 운영기간별 등으로 검색하여 원하는 프로그램에 참여 신청을 한 후 승인이 내려지면 교육기부를 수혜받을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교육수혜자의 혜택으로는 첫째, 간편한 참여 신청을 통해 다양한 교육기부에 참여할 수 있다는 것과 둘째, 양질을 교육기부를 제공받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

 

 

 

 원활한 교육기부를 위한 노력! 

 

출처 : pixabay

 

교육기부센터는 더욱 원활한 교육기부활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다양한 활동을 하고 있는데, 홈페이지에 명시된 아래의 여러 활동 내역과 수치를 통해서도 알 수 있습니다.

 

 

1. 교육기부 활성화를 위한 MOU 체결

첫 번째, 교육기부센터는 교육기부의 사회적 관심 제고와 활성화를 위하여 다양한 사회 주체의 교육기부 참여를 적극 독려 중입니다. 2019년 12월 기준, 주요 기업과 경제·금융단체, 각종 협회, 출연(연) 등과 체결한 교육기부 활성화 MOU 체결 건수가 총 112건에 달하였습니다. 현재 약 34개의 공공기관 및 47개 기업, 3개 대학과 28개의 단체·협회 등이 적극 참여하고 있습니다.

 

2. 대한민국 교육기부 박람회 개최

두 번째, 교육기부센터에서는 교육기부에 대한 관심과 인식을 한 단계 더 끌어 올리고 그동안의 교육기부 성과를 사회적으로 공유하기 위해 ‘대한민국 교육기부 박람회’를 기획·추진하였습니다. 2012년 처음으로 개최된 제1회 대한민국 교육기부 박람회는 국내 최초로 국내·외 교육기부 콘텐츠를 소개하는 대규모 행사로 기업은 물론 대학, 출연(연), 협회 등 131개 산·학·연 및 공공·민간기관들이 함께 했습니다. 2019년까지 약 8회에 걸쳐 해마다 10만 명이 넘는 초·중등 학생이 교육기부를 체험하고 우수한 학교 밖 자원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되었습니다. 2020년에는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하여 기존의 전시 방식의 행사에서 비대면 온라인 형태의 교육기부 박람회로 준비 중에 있습니다. 다양한 주제의 콘텐츠를 원하는 시기에 누구나 자유롭게 접근하여 체험하고 느낄 수 있도록 재미와 교육적 효과를 모두 담아 구성할 예정입니다.

 

 

출처 : pixabay

3. 교육기부 프로그램 컨설팅

세 번째, 교육기부센터에서는 교육기부 참여기관이 보유한 업의 가치에 부합하고 학생과 교사들의 요구에 적합한 맞춤형 교육기부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상시적 컨설팅을 지원합니다. 교육기부 컨설팅단은 기업, 공공기관, 단체‧협회 등 “교육기부 참여기관”이 보유한 인적‧물적 자원에 대한 상시적 컨설팅을 지원하는 분야별 전문가와 연구진으로 구성된 사업단입니다. 교육기부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들이 꿈과 끼를 키울 수 있도록 다양한 실습·체험 중심 프로그램으로 기획·운영하고 있습니다.

 

2020년에는 미래진로, 창의융합, 문화예술 분야를 중심으로 다양한 직업군별 맞춤형 교육기부 프로그램 개발 및 보급, 컨설팅 지원을 통하여 범사회적 기부 문화 확산 위한 중점적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4. 교육기부 인증 마크제

네 번째, 다양한 기관, 단체가 다양한 유형의 교육기부에 참여함에 따라 프로그램에 대한 품질 관리의 필요성이 대두되어 교육기부센터에서는 2011년부터 ‘교육기부 인증(마크)제’를 실시했습니다. 교육기부인증(마크)제란 창의적 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의 사회 환원과 나눔 문화 정착에 앞장서는 기업이나 대학, 공공기관, 대학생 교육기부 동아리 등을 발굴하여 교육기부 기관 및 대학생 교육기부 동아리로 지정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5. 교육기부 매칭서비스

다섯 번째, 2011년 12월에 오픈한 교육기부 매칭 서비스(www.teachforkorea.go.kr)는교육기부 문화가 확산됨에 따라 다양한 교육기부 활동들의 정보를 통합하고 체계화하여 수혜자들에게 질 높은 교육기부 자원 제공의 매개체 역할을 합니다. 교육기부자와 수혜자들은 교육기부 온라인 교육기부 매칭 서비스를 통해 안정된 교육기부 활동을 제공하고 제공 받을 수 있습니다.

 

출처 : pixabay

6. 대한민국 교육기부대상

일곱 번째, 교육기부에 대한 사회적 인식제고와 참여를 증진하기 위해 교육기부 활성화에 기여한 우수 기관 및 개인 등을 발굴, ‘교육기부대상’을 수여합니다. 2019년 대상은 공공기관 16개, 기업 6개, 협단체 2개, 대학 5개, 동아리 2개, 개인 8명, 수기 1명이 수상하였습니다.

 

7. 대학생 교육기부 동아리

 

교육기부 선순환 생태계에 기여하고자, 대학생이라면 누구나 교육기부자로서 성장할 수 있도록 2012년부터 ‘대학생 교육기부 동아리 지원 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대학생들은 전국의 초·중학교 및 교육소외지역 등 학생들을 대상으로 직접 기획한 창의적이고 융합적인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스스로 교육기부의 주체로 발돋움합니다.

 

주요 프로그램으로는 토요프로그램 ‘함성소리’, 방과후학교 프로그램 ‘알락달락 행복한 교실’, 창의적 체험활동 방학캠프 ‘쏙쏙캠프’ 가 있으며, 2020년부터는 ‘대학생 온라인 교육기부’ 사업을 운영하는 등, 대학생 교육기부자를 발굴하고 지원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개발·운영하고 있습니다.

 

 


이와 같이 정부는 교육기부의 활성화를 위해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으며, 지속적인 교육기부의 증가는 교육격차의 문제해소에도 큰 힘이 되고 있습니다. 이와 더불어 아이들이 자신의 잠재력을 스스로 발견하고, 창의적인 방식으로 자신의 꿈을 설계하여 키워나갈 수 있는 힘을 제공하는 소중한 계기가 되어 주고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앞으로도 더 많은 교육기부자가 지속적으로 참여하여,

더 많은 아이들이 더 나은 교육을 받아 더 큰 성장을 하는데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기를 바라는 마음을 가져봅니다."

 

 

 

 

※위 기사는 2020 교육부 국민서포터즈의 의견으로 작성되었습니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