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 공식 블로그
지역사회와 상생하는 학교기업, 캠퍼스에서 만나요 본문

□ 안양대 ‘AY COSMETIC’(패키지 개발 및 제품 디자인 분야), 신성대 신성바이오(제조분야)울산과학대 영상콘텐츠제작센터(기획·제작 분야) 학교기업 신규 선정
□ 2022년 선정 기업 3개 포함, 총 30개 학교기업에 2022년 예산 기준 총 66.72억 원, 최대 3년 지원
□ 학교기업의 성과관리 효율화 및 수준별 맞춤형 상담(컨설팅)지원 강화 추진
교육부와 한국산업기술진흥원(원장 석영철)은 3단계(2020~2024)학교기업 지원사업의 2022년 신규 단독형 3개 학교기업 선정 결과를 6월 28일(화)발표한다.
※단독형 : 단일의 학교기업 / 연합형 : 복수의 학교기업 간 ‘연합 사업단’ 구성
학교기업은 ①학교의 기술과 연구 성과를 직접 사업화하거나 ②일 경험 형태로 산업현장과 유사한 실무를 실습하는 교육모형으로 교육투자의 선순환을 도모하는 제도이다.
| < 학교기업 개요 > | ||
| ▶ (개념) 학생들의 현장실습 교육과정에서 기술개발 및 제품 판매, 용역 제공을 통해 수익을 창출하고 수익을 교육에 재투자하는 ‘학교의 부서’ ▶ (법적 근거) 「산업교육진흥 및 산학협력촉진에 관한 법률」 제36조 ▶ (현황) 전국적으로 249개의 학교기업이 설치·운영 중(대학 105개교, 전문대 111개교,특성화고 33개교) (2020년 결산 기준) | 
2004년부터 추진되고 있는 학교기업 지원 사업은 학교기업과 교육과정을 연계하여 학생들의 기업 경영·창업 실습을 지원하는 사업으로서, 2020년 3단계 사업(2020~2024)에 착수하였으며, 2022년 중간평가*를 실시했다.
* 단독/연합형 학교기업(30개)의 2년간(2020~2021)의 지원 실적을 평가하여 하위 10% 내외의 학교기업은 지원을 중단하고, 신규 학교기업을 선정・지원함
< 학교기업 중간·선정 평가 절차 >

2022년 학교기업 지원사업 예산은 66.72억 원으로 총 30개(연합형 : 4개 /단독형 : 대학 13개, 전문대학 13개) 학교기업을 지원할 예정이며, 2022년 중간평가를 통과한 27개 학교기업과 신규 선정된 3개학교 기업은 향후 최대 3년간(2022~2024, 연합형 3년, 단독형 2+1년)예산을 차등 지원*(연합형: 4억 원 내외, 단독형: 2억 원 내외)받는다.
* 매년 연차평가를 통해 사업 실적에 따라 예산을 차등 지원할 예정이며, 평가 결과가‘미흡’일 경우 지원 중단
중간평가 결과, 계속 지원받는 학교기업(연합형 : 4개, 단독형 23개)과 신규선정 학교기업(단독형 3개)명단은 다음과 같다.
< 중간평가 결과 계속 지원 학교기업 >
| □ 연합형(4개): 동서대 연합체, 부천대 연합체, 원광대 연합체, 전남과학대 연합체 □ 단독형(23개): 대학 12개, 전문대학 11개 | |||||
| 학교명 | 학교기업명 | 학교명 | 학교기업명 | ||
| 대 학 | 가천대 | GRP센터 | 전 문 대 학 | 계원예술대 | 계원창작상단 | 
| 국민대 | 할엔터테인먼트 | 대경대 | 대경양조 | ||
| 공주대 | 수바이오젠 | 동의과학대 | DIT스포츠재활센터 | ||
| 군산대 | 쓰리디프로 | 서정대 | 서정애완동물센터 | ||
| 남서울대 | iNTER VR | 용인송담대 | 송담이노텍 | ||
| 남서울대 | JOBGO | 원광보건대 | WM주얼리컴퍼니 | ||
| 대구한의대 | DHU바이오 융복합시험센터 | 전남과학대 | 무인항공교육원 | ||
| 서울시립대 | 더고구마 | 전주기전대 | 전북말산업복합센터 | ||
| 숙명여자대 | 숙명아이 | 청강문화산업대 | 쿨투라 | ||
| 숭실대 | 플렉스매스 | 한국복지대 | 재활심리치료 교육센터 | ||
| 을지대 | EMF학교기업 | 한국승강기대 | KLCC | ||
| 중앙대 | 아리 |  |  | ||
※ 상세내용은 【붙임2】3단계(2020~2024) 학교기업 지원사업 2022년 지원 현황(총괄) 참고
< 신규 선정 학교기업 >
| □ 단독형(3개): 대학 1개, 전문대학 2개 | |||
| 학교급 | 학교명 | 학교기업명 | 분야 | 
| 대학 | 안양대 | AY COSMETIC | 화장품 패키지 개발 및 제품 디자인 | 
| 전문대학 | 신성대 | 신성바이오 | 화장품 제조 | 
| 울산과학대 | 영상콘텐츠제작센터 | 영상 콘텐츠 기획·제작 | |
※ 상세내용은 【붙임3】2022년 선정 3개 학교기업 소개 참고
특히, 올해부터는 학교기업 누리집(http://sbem.or.kr)과 통합성과관리시스템의 구축・운영을 통해 학교기업 성과관리를 효율화하고, 학교기업의 경영환경 및 홍보(마케팅)수준을 고려한 맞춤형 상담(컨설팅)지원을 강화할 계획이다.
※ 상세내용은 【참고】학교기업 누리집 및 통합성과관리시스템 안내 참고
장상윤 교육부차관은 “대학과 기업이 공유・협업을 통해 지역경제를 선도할수 있도록 다양한 유형의 산학연협력이 필요한 시기이다.”라고 강조하며, “앞으로도 학교기업 지원사업을 통해 현장실습 및 창업실습뿐만 아니라 학교기업 보유자원의 공동 활용을 통해 지역사회 기여와 사회적 가치 창출을 위해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 보도자료 전체보기는 상단의 첨부파일을 확인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보도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사회기여 활성화 추진방안 모색을 위한 2022년 제1차 사회정책 공개토론회(포럼)개최 (0) | 2022.06.29 | 
|---|---|
| 2022학년도 교육급여 학습특별지원금, 지금 신청하세요! (0) | 2022.06.28 | 
| 건강체력 증진! 모두가 힘을 모은다. (0) | 2022.06.27 | 
| 2022년 인문사회분야 학술지원사업 신규과제(7.1.개시) 선정결과 발표 (0) | 2022.06.23 | 
| 제3차 한-몽골 교육공동위원회 개최 (0) | 2022.06.23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