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 공식 블로그

과학에 학문을 더하다 - 통섭 본문

교육부 국민서포터즈

과학에 학문을 더하다 - 통섭

알 수 없는 사용자 2012. 1. 11. 07:00

해부학, 발명가에 더하여 당대 최고의 화가로도 이름을 날리던 레오나르도 다빈치부터 의사, V3 개발자 등 과학의 영역에서 경영전문대학원까지 수료한 안철수까지. 다른 영역에 대한 관심은 이젠 개인적인 취미에서 하나의 트렌드가 되었습니다. 이를 잘 설명해주는 단어가 바로 ‘통섭’이랍니다. 꽤나 많은 논의 중인 통섭. 하지만 아직까지도 많은 사람들에게 익숙지 많은 않은 통섭. 오늘은 바로 통섭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1. 통섭이란?


통섭(統攝)의 우리말 뜻은 다음과 같습니다.
 

 전체를 도맡아 다스림.
 관사 상호간의 소속과 관련된 관계에서
특정의 관사가 나머지를 도맡아 다스리는 것. 

조금 어렵지요? 이를 처음 도입한 책을 통해, 정확한 의미를 짚어 나가보도록 해요. 통섭의 유래는 세계적인 사회생물학자 ‘에드워드 윌슨’의 책 <통섭>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제목을 통해 느낄 수 있듯이, 이 책은 지식의 대통합을 주장하고 있습니다. 즉, 보다 더 큰 힘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인문학, 자연과학 등으로 나누어진 지식이 하나로 합쳐져야 한다고 강조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그의 주장은 책의 다음과 같은 글귀를 통해 더욱 확실하게 드러납니다.
  

지식의 통일은 서로 다른 학문 분과들을 넘나들며 인과설명들을 아우르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물리학과 화학, 화학과 생물학, 그리고 보다 어렵겠지만 생물학, 사회과학, 그리고 인문학 모두를 아우르는 것이다. - p.26

 
 

2. 어떻게 통섭을?

 
그렇다면 실제로 통섭을 접해볼 수 있는 방법은 어떤 것이 있을까요?
 

 ① 도서

먼저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컨텐츠로 책을 소개해드릴게요. 인문학과 자연과학을 대표하는 두 사람의 담론을 소개한 ‘크로스’라는 책입니다. 진중권, 정재승 두 사람의 같은 소재에 대한 다양한 시각을 통해서 서로의 분야를 엿볼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에요.  
 
이번에는 본격적으로 영역간의 통합을 논의하는 책을 소개해드리고자 합니다. 바로, <새로운 인문주의자는 경계를 넘어라>라는 책입니다. 인문학과 과학기술간의 경계를 허물고 새로운 통합, 그리고 양 분야간의 교류를 주장하는 책입니다. 학문의 경계를 허물면서 참된 지식인으로 나아가자는, ‘통섭’을 강조하는 책이라고 할 수 있겠네요.

 
또한 서두에서 소개해드린 에드워드 윌슨의 <통섭>도 읽어보는 것이 좋습니다. 조금 어렵게 느껴지시는 분들은 앞의 두 책을 통해 먼저 ‘통섭’을 한번 느껴본 후에 시작하셔도 좋고요.

 
 

 ② 인터넷 컨텐츠
통섭을 경험할 수 있는 인터넷 컨텐츠를 소개해드리고자 합니다.


 TED는 Technology, Entertainment, Design의 약자입니다. 의학, 과학등의 영역은 물론 언어학, 마케팅 등 인문학의 영역까지 다양한 분야의 저명인사들이 강연자로 등장하여 여러분께 양질의 강의를 전해준답니다. 또한 TEDx라는 이름으로 세계 각지에서 강연회가 열리기도 합니다. 이를 통해서 자신의 영역을 뛰어넘는 다양한 분야를 경험하고, 한 단계 발전하여 각 분야의 통합과 보완까지도 논의된답니다.


 

 ③ 관련기관
 통섭을 좀 더 전문적으로 다루는 기관에는 어떤 곳이 있을까요?

먼저 통섭원을 들 수가 있습니다. 통섭을 국내에 알리는데 가장 큰 공을 세운 분이라고 하면 역시 이화여대 에코공학부 교수인 ‘최재천’ 교수라고 할 수 있습니다. 최재천 교수의 통섭에 대한 열정을 가장 잘 보여주는 곳이라 하면 바로 이화여대의 통섭원이 될 것입니다. 인문학과 자연과학을 한데 묶어 새로운 지식을 창출해내는 취지로는 국내에서 처음이라고 하네요.

카이스트의 문화기술대학원 또한 통섭을 실행하려는 관련 기관입니다. 문화산업을 과학과 접목시키려는 취지는 통섭과 더욱 연관이 있습니다. 서로 상이한 학문의 결합을 보이는 카이스트 문화기술대학원에서도 통섭을 엿볼 수가 있네요.


 
통섭에 대해서 간단하게 알아보았습니다. 이렇듯 통섭은 하나의 트렌드가 되어 점점 사회적으로 전파되고 있는 추세랍니다. 또한 ‘통섭형 인재’가 각광받고 있고요. 위의 다양한 컨텐츠들을 통해서 통섭에 대해 한번 관심을 가져보는 것도 좋은 계획 중 하나가 될 수 있을 겁니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