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 공식 블로그

황우여 장관, “대학의 창의적 자산 실용화 적극 지원” 본문

교육부 소식

황우여 장관, “대학의 창의적 자산 실용화 적극 지원”

대한민국 교육부 2014. 9. 24. 13:27

황우여 장관, “대학의 창의적 자산 실용화 적극 지원” 

- ‘대학의 창의적 자산 실용화 지원 사업’ 신규 추진을 통해 창조경제 실현을 앞당긴다 -

황우여 교육부 장관은 9월 23일 "우수한 기술 및 특허 등을 보유한 대학이 창조경제의 전진기지가 될 수 있도록 ‘대학의 창의적 자산 실용화 지원 사업’을 새로 추진하겠다"고 밝혔습니다.


황 장관은 이날 서울 한국장학재단에서 열린 「대학의 창의적 자산 사업화를 위한 정책 간담회」에서 “창조경제가 성공적으로 정착하기 위해서는 대학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교육부에 따르면 연간 150억 원을 투입(3년간, 총 450억원)하여 대학들이 보유하고 있는 특허, 원천 기술 등 창의적 자산을 사업화하기 위한 후속 추가연구(Research & Business Development)* 및 해외특허 설계 등을 지원 할 계획입니다.

    * R&BD(사업화 연계 기술개발) : R&D 성과물의 사업화 연구, 시제품 개발 등


내년부터 2017년까지 시행하게 될 본 사업은 20개 내외의 4년제 대학(산학협력단)을 선정하여 대학 당 7.5억원 내외를 지원하게 됩니다.

국내 대학들은 정부 지원으로 상당한 연구 인프라와 우수한 연구 성과를 산출했음에도 사업화 자금과 전문인력 부족 등으로 연구 결과를 실용화하는데 어려움을 겪어왔습니다.


그 결과 한국의 SCI 논문 발표 수는 2012년 47,066편(세계 10위)이고 국내 대학의 기술개발 건수는 12,482건에 달하지만, 기술이전은 2,431건으로 연간 기술이전율은 미국(38%)의 절반 수준인 19.5%에 불과합니다. 또한, 대학의 연구개발비(5조5,510억원) 대비 기술료 수입(580억원)은 1.05% (cf. 미국 3.2%)로서 아직까진 미미한 실정입니다.

    * 출처 : 기술이전․사업화 조사분석 보고서(2013, 산업기술진흥원)

이와 같은 상황을 해소하고자, 교육부는 우수한 연구성과 및 사업화 역량을 갖춘 대학을 대상으로 ‘대학의 창의적 자산 실용화 지원 사업’을 신규로 추진하려는 것입니다.


 <2012 국내 대학 특허 등록 및 기술이전 현황>

 

대학명

국내특허

등록()

해외특허

등록()

기술이전()

기술료

(백만원)

1

한국과학기술원

849

95

48

3,056

2

서울대학교

617

84

77

3,644

3

고려대학교

434

35

106

2,898

4

연세대학교

397

51

56

3,715

5

성균관대학교

391

65

72

3,563

6

인하대학교

294

17

21

1,096

7

한양대학교

282

34

30

4,299

8

경희대학교

253

34

37

3,064

9

건국대학교

218

7

30

844

10

부산대학교

217

11

56

1,452


신규 사업에 선정된 대학은 국내외 산업 및 연구개발 동향 수집․분석, 보유 특허에 대한 기술 상업화 가능성 분석 및 사업화 후속 연구개발, 해외 특허 기획 및 출원 등을 추진할 수 있게 됩니다. 


또한 변리사, 산업동향 전문가 등을 갖추고 체계적으로 기술을 관리하고 각 분야가 융합된 후속연구(R&BD)를 진행하게 되어 기술이전 및 창업 성과를 높일 수 있게 될 것입니다. 


< 공주대 융복합 연구 및 창업 사례 >

 - (회사명) 공주대 FBTC(Farm Brain Tec. Center)

 - (농업과 IT의 융복합) 융복합 기술을 통한 신기술 식물공장 시장 발굴

 - (창업내용) 태양광 주도 제어유닛의 제어하에 광출력을 제어하는 LED집광형 재배장치를 개발하여 인삼, 감자, 블루베리 등 특용작물을 통제공간에서 친환경, 무농약으로 생산

    * 인삼재배의 경우 20일 만에 출하 가능한 상품으로 성장(기존은 90일 소요)

 - (시장전망) 식물공장 시장규모는 2020년 6,400억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기대


특히, 응용범위가 넓은 대학 기술이 경제적 파급효과가 큰 해외 특허를 확보하게 된다면, 국내외 기업으로 기술이전 가능성이 커지며, 성공적으로 대학기술지주회사 자회사를 설립하는 등의 성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됩니다. 


< 한양대 기술이전 사례 >

 - (기술) LCD 패널의 핵심 소재인 액정 조성물에 대한 개량 기술로, LCD 패널의 휘도를 개선할 수 있는 소재 기술임

     * 강유전성 액정과 네마틱 액정을 최적화된 조성비로 혼합하여 LCD 패널의 휘도를 10%이상 개선

 - (성과) 해외 수입 의존도가 100%인 액정 소재 산업에서 해외 기업이 국내 기술을 도입함으로써, 경상 로열티 수익을 창출

     * 대상기업 : Merck사, 계약액: 600만 유로(75억원)

 - (성과근거) 국내 출원 10건, 해외 출원(PCT) 6건


한편, 이날 정책 간담회 자리에서 김선영 교수(서울대, 생명공학공동연구원장)는 산업적 잠재력이 큰 연구성과를 선별하는 것이 핵심임을 주장하였고, 김상식 교수(고려대, 전국산학협력단장협의회 수석부회장)는 산학협력단을 통한 사업화 추진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안규리 교수(서울대 의학)는 중개의학 분야의 중요성을 언급하는 등 현장의 다양한 의견이 활발하게 개진되었습니다.



대학 창의적 자산 실용화 지원 사업 추진 자세히 보기.hwp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