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2016/12/29 (3)
교육부 공식 블로그
지난 1호 기사에서는 ‘4차 산업혁명의 3가지 키워드’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인터넷, 센서, 인공지능, 이 3가지가 바로 핵심 키워드였습니다. 이번 호에서는 이 3가지 키워드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의 세계에 대해 살펴보고자 합니다. 사실 사물인터넷은 4차 산업혁명이라는 개념보다 더 큰 개념일지도 모르겠습니다. 4차 산업혁명이란 표현은 ‘인더스트리 4.0’이라고 해서 독일에서 확장된 개념입니다. 지난 호 아디다스의 공장 혁명에서 살펴봤듯이, 독일에서는 산업계와 정부, 대학과 연구소 등이 협력해서 사람의 손길이 별로 필요 없는, 지능형 자동화 공장을 현실화시켰습니다. 이른바 ‘스마트 팩토리(공장)’ 인데요, 좁은 의미에서는 바로 이 ‘공장의 IoT..
자유학기제가 시행되고 난 뒤 전국 방방곡곡의 학교에서는 예전에 볼 수 없었던 새로운 광경들이 펼쳐집니다. 여기 그 중에도 특별한 활동을 하는 친구들이 있습니다. 직접 목공예 소품을 만들고 천연화장품, 공예품, 액세서리, 간식과 빵까지 만든다. 아이들은 직접 만든 물건과 음식을 판매하는 작은 가게의 사장님이 됩니다. 와룡중학교는 비즈쿨 도약 단계 지정학교로, 학생 자율 동아리 중 일부를 창업 동아리로 지정해 운영하고 있습니다. 비즈쿨이란 비즈니스와 스쿨의 합성어로 학교 교육과정 안에서 비즈니스를 배우며 창업 교육을 목표로 하는 활동을 말합니다 창업동아리들은 올해 3월 자유학기제 TF 및 비즈쿨 협의체를 통해 창업아이템을 선정하고, 학생 사전 선호도 조사를 실시했습니다. 현재 DIY 목공예반, for ski..
자유학기제가 시작된 후 학교에는 많은 변화의 바람이 불었습니다. 학생들은 교실 밖에서 좀 더 많은 시간을 보내게 되었고 영어, 수학이 아닌 ‘나’에 대해 고민할 수 있는 시간을 얻었습니다. 학교 안의 교사들은 이 속에서 중심을 잡고 변화에 맞서며 아이들과 함께 매일의 파이팅을 외칩니다. 강원도 강릉에 위치한 주문진중학교는 자유학기제 시행에 맞춰 지역 사회의 인프라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다양한 방식의 수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아주 작은 것부터의 변화’를 중요하게 여기는 주문진중학교를 들여다보았습니다. 주문진중학교는 강원도형 혁신학교인 ‘행복더하기 학교’로 지정되면서 수업 개선을 위해 여러 노력을 했습니다. 교사들은 연수 등을 통해 습득한 정보와 지식을 논의했고 그 내용이 토론수업, 외부 기관과의 연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