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분류 전체보기 (13243)
교육부 공식 블로그

온라인 수업만으로 일반대학 학사·석사 학위를 취득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고 계셨나요? 바로 일반대학 온라인 학위과정 제도를 통해 가능해진 일입니다. 일반대학 온라인 학위과정 제도는 원격대학이 아닌 대학에서 교육부의 승인을 받아 전체 학위과정을 100% 온라인으로 운영할 수 있는 제도인데요. 2022년 하반기에는 첨단 분야에서 교육 혁신을 선제적으로 추진할 수 있도록, 첨단 분야 학사 학위는 국내 대학 단독 혹은 공동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근거 훈령 및 제도가 개정되었습니다. 일반대학 온라인 학위과정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궁금하시죠? 일반대학 온라인 학위과정 제도란 무엇이고, 실제로 어떻게 운영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일반대학 온라인 학위과정이란? 일반대학 온라인 학위과정은 원격대학이 아닌 일반대..

숫자로 보는 5월의 교육뉴스 ① 초등돌봄교실 대기인원 적극 해소 : bit.ly/3pLUG90 ② 8개 대학 기초과학 분야 연구 수행 예산 지원 : bit.ly/3VnVflf ③ 100명 현장교사, 수업혁신 위한 정책 제안 : bit.ly/3WlriCE ④ 디지털 기반 교육혁신 시범교육청 본격 운영 : bit.ly/42n39Oq ⑤ '찾아가는 안전체험교육' 확대 실시 : bit.ly/3VmY71z ⑥ 전국 직업계고 3학년 학생 대상 채용연계형 직무교육과정 지원 : bit.ly/3HA8oC2 #교육부 #5월 #교육뉴스 #초등돌봄교실 #LAMP #수업혁신 #디지털교육혁신 #안전체험교육 #직업계고 #직무교육지원

코로나19 확진 학생 5일간 등교중지 권고(등교중지 기간 출석인정결석 처리) 자가진단 앱 운영 중단(학생 확진 현황은 나이스를 통해 파악) 개정된 학교 방역지침은 6월 1일(목)부터 시행 6월 1일(목)부터 개정된 ‘코로나19 학교 방역지침’이 학교에 적용된다. 교육부(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는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의 ‘코로나19 위기단계 하향 및 방역조치 전환계획*’ 발표에 따라 학교도 온전한 일상회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코로나19 학교 방역지침’을 개정하였다. * 코로나19 위기 경보 수준이 ‘심각’에서 ‘경계’로 하향 조정, 확진자에게 부과하던 7일간의 격리 의무를 5일 격리 권고로 전환 개정된 ‘코로나19 학교 방역지침’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코로나19 확진 학생이 건강을 회..

4단계 두뇌한국21(BK21) 혁신인재양성사업 지능형반도체(시스템반도체 포함) 분야 추가선정 예비결과 발표, 교육연구단 7개 추가 선정(2022년 3개 → 2023년10개) 반도체 분야 고급인재 육성 및 산업 성장의 선순환 체계 구축 기대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이주호)와 한국연구재단(이사장 이광복)은 5월 29일(월), 4단계 두뇌한국21(BK21) 혁신인재양성사업 지능형반도체(시스템반도체 포함) 분야 추가선정 예비결과를 발표한다. 지난 「반도체 관련 인재 양성방안(2022.7.)」에 따른 석·박사급 인력양성을 위한 후속 과제로서, 전국·지역 부문에 대한 별도 평가를 거쳐 7개 대학(전국부문 6개, 지역 부문 1개)을 추가 선정하였다. ※ 4단계 두뇌한국21(BK21) 반도체 교육연구단 : (20..

이공인재가 자유롭게 도전하고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 참신한 아이디어 투자 확대 📌 개인의 잠재력 발현을 위한 지원체계 구축 📌 인재유치 및 국제협력 지원 📌 융복합시대 대응 교육 훈련 혁신 📌 이공인재 저변 확대 ▶ 자세히 보기 : bit.ly/3OGWJ8P #교육부 #제2차 #인재양성 #전략회의 #개최 #이공인재 #성장지원 제2차 인재양성전략회의 개최(5.26.) 참신한 아이디어 투자 확대 도전적·혁신적 연구를 위해 프로젝트의 관리자(책임PM)에게 권한과 독립성 부여 및 대학의 자율적 연구관리체계 구축 지원 개인의 잠재력 발현을 위한 지원체계 구축 박사후연구원의 법적 지위 보장 및 대학원생에게 지급되는 인건비의 실질적 상향 및 국가 장학 지원 확대 추진 인재유치 및 국제협력..

이공인재가 자유롭게 도전하고 성장하도록 「이공분야 인재 지원방안」 발표 에코업 인재 8만명 양성을 위한 「에코업 인재 양성방안」 발표 에너지 전문인력 2만명 양성을 위한 「에너지 인력양성 중장기 전략」 발표 정부는 5월 26일(금)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한덕수 국무총리 주재로 제2차 인재양성전략회의를 개최한다. 인재양성전략회의는 전국가적 차원에서 종합적·체계적인 인재양성정책을 수립·관리하고, 범부처 협업을 통해 인재양성과 관련된 주요 정책방향을 논의하기 위해 지난 2월 1일 출범하였다. 제1차 인재양성전략회의(2.1.)에서 정부는 대통령 주재하에 「첨단분야 인재양성 전략」을 발표하며 국가적 역량 결집이 필요한 5대 핵심 분야*를 도출하였으며, 향후 핵심 분야별 인재양성 방안을 순차적으로 마련할 계획임을..

0.78명, 1명보다 작은 이 숫자는 우리나라 출산율입니다. 최근 대한소아청소년과의사회에서 소아청소년과를 폐과한다고 선언한 것만 봐도 저출산이 얼마나 심각한지 알 수 있는데요. 저출산 문제의 가장 큰 원인 중 하나는 경제적 부담 때문이라고 합니다. 최근 통계청에 따르면 2021년 23.4조 원 수준이었던 사교육비가 10.8% 증가한 26조 원으로 증가했고(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가 36.7만 원에서 41만 원으로 증가) 이러한 사교육비가 경제적 부담이 되고 있는 실정이라고 하는데요. 지난 3월 교육부에서는 사교육비 부담이 저출산의 원인으로 지목되는 상황에서 학교복합시설의 설치를 통하여 내실있는 돌봄 및 방과후 프로그램 운영을 지원할 수 있도록 ‘학교복합시설 활성화 방안’을 마련하였습니다. 학교복합시설은 학..

챗GPT 시대, 우리 아이 어떻게 키울까요? 10년만에 다시 돌아온 필통톡! 우리 모두가 궁금했던 주제로 시작을 알렸는데요! 1편 하이라이트 카드뉴스를 통해 보시고, 궁금하시다면 지금 바로 교육TV에서 '필통톡 2023'을 확인해보세요! ▶ 영상 보러 가기 : https://youtu.be/Z4qDTNeg1pg #교육부 #필통톡 #2023년 #챗GPT #교육변화 #자녀양육 필통톡 2023 1편 하이라이트 챗GPT란 무엇인가요? 장동선 ㅣ 뇌과학자 챗GPT(Chat Generative Pre-trained Transformer)는 우리가 질문하면 인터넷에 있는 방대한 양의 정보를 요약해서 알려주는 인공지능 알고리즘입니다. 챗GPT 시대, 우리 교육은 어떻게 달라질까요? 이광형 ㅣ KAIST 총장 교육의 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