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교육복지 (16)
교육부 공식 블로그

□ 교육복지 대표정책인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의 과거와 현재 논의 □ 코로나19 이후 시대 모든 학생의 성장을 위한 교육복지 발전방안 모색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유은혜)는 한양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와 공동으로 제3차 ‘교육정책 열린 대화’를 3월 11일(금), 오송&세종컨퍼런스회의실(충북 청주 소재)에서 온·오프라인으로 개최한다. ‘교육정책 열린 대화’는 미래교육 방향 정립 등을 위해 연속 기획으로 마련되어 지난 2월 23일(수)(주제 : 산학연협력), 2월 28일(월)(주제 : 고등교육) 진행된 바 있으며, 이번 제3차 열린 대화는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성과평가 및 교육복지 발전방안 모색’을 주제로 진행된다. 제3차 ‘교육정책 열린대화’에서는 교육 전문가, 현장 전문가 등이 2003년부터 현재..

학생들은 모두 동등하게 교육을 받을 권리가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 주변에는 교육 취약계층이 존재하며, 교육 격차가 발생하고 있는데요, 이러한 교육 취약계층들에게 교육의 기회를 제공하는 “교육복지 우선지원 사업”에 대해서 교육부 국민 서포터즈가 알려드릴게요! #교육부 #국민서포터즈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교육복지 ※위 기사는 2020 교육부 국민서포터즈의 의견으로 작성되었습니다.

- 교육복지 안전망 구축 단 한 명의 학생도 소외되지 않도록 1학기의 경험과 교육현장의 의견을 반영하여 학습격차 해소 및 취약계층 맞춤형 지원을 강화해 나가겠습니다.

지난 3월 2일 교육부는 '국민이 체감하는 교육혁신, 미래를 주도하는 인재양성'이라는 목표로 2020년 업무계획을 발표했습니다. 교육부에서는 총 4가지의 가치, 포용, 혁신, 공정, 미래를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핵심 정책을 추진하는 한편, 적극적인 현장소통을 기반으로 정책을 추진하고 규제를 과감하게 혁신하려는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그 네 가지 가치 중 포용과 공정 분야의 업무계획에 대해 조금 더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함께 잘사는 나라를 위해 사회경제적 양극화로 인한 교육기회 및 결과의 불평등 해소가 필요합니다. 이에 따라 교육부에서는 유아부터 청소년, 대학생까지 생애단계별 지원을 확대하고, 더욱 촘촘한 교육안전망을 구축하기 위해 포용이라는 가치를 실현시키려고 합니다. 교육부가 포용을 위해..

◈ 장애대학생을 위한 지원기반 조성과 맞춤형 학습지원 강화 ◈ 정보제공 강화로 편의성 확대, 진로·취업 지원 다양성 제고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유은혜)는 장애대학생 수*가 지속해서 증가하고 있지만 대학의 교육복지지원 수준**이 여전히 부족한 상황을 인식하고, 이들의 학습권을 보장하고 자기보호역량 등의 성장을 지원하기 위해 「장애대학생 교육복지지원 활성화 방안(’20~’22)」을 2월 19일(수)에 발표하였다. ** (2006년)4,045명 → (2010년)5,213명 → (2015년)8,598명 → (2019년)9,653명 ** 장애대학생 교육복지지원 실태평가 결과(2017년, 캠퍼스 기준) : 우수 101개(23.9%), 보통 163개(38.6%), 개선요망 158개(37.5%) 「장애대학생 교..

☑ 유아에서 대학까지 국가가 책임지는 교육 ☑ 교육이 달라지는 교육혁명 ☑ 단 한명의 학생도 소외받지 않도록! 2019 교육분야 국정과제 중간점검회(11.11) 자료 자세히 보기 ▶️https://bit.ly/35zOxh0 #교육부#국정과제#2년반성과#1편 #키워드로_알아보는_교육분야_주요성과

당신의 #포용국가 는 어떤 모습인가요? ▶ 아동수당이 만들어준 가족의 행복 - 열두 달 열두 곳 프로젝트 ▶ 한 아이도 포기하지 않는 따뜻한 학교 - 교육 복지 프로그램 ▶ 청년구직활동 지원금과 함께 당당히 취업 성공! - #청년구직활동 지원금 제도 ▶ 우리 가족의 건강을 지켜준 든든한 #문재인케어 ▶ 어머니와 주간보호센터 ▶ 혁신적포용이 만든 나의 소셜벤쳐 국민 전 생애 기본생활 보장, 2022 국민의 삶이 변화합니다. 모두를 위한 나라, 함께 잘 사는 혁신적 포용국가 2022 포용타운으로 놀러가세요~ http://www.moe.go.kr/spc/ #교육부 #혁신적_포용국가 #이야기 #아동수당 #교육복지 #청년구직활동 #문재인케어 #주간보호센터 #소셜벤처
2014 학업중단 크게 감소, 정부 대책과 학교의 노력의 성과- 총 60,568명 학업중단 … 전년 대비 7,620명(↓11.17%) 감소 -- 초·중 의무교육 이탈에 적극 대응, 사회적 보호 강화 -교육부(장관 황우여)는 2014년 초·중·고 학생 학업중단 현황 조사(‘14.4.1. 기준) 결과, 전년 대비 7,620명(11.17%)이 감소하였다고 밝혔습니다. 학업중단 학생은 총 60,568명(재적 학생 수 대비 0.93%)으로, 2013년 조사 68,188명에 비해 7,620명(↓11.17%)이 감소하였습니다. 초등학교는 15,908명으로 전년 대비 920명(↓5.47%) 감소하였고, 중학교는 14,278명으로 2,148명(↓13.08%) 감소, 고등학교는 30,382명으로 4,552명(↓13.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