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교육부국민서포터즈 (8)
교육부 공식 블로그

학생이라면 누구나 기다리는 종강이 찾아왔습니다! 지금쯤 대부분의 대학에서는 기말고사를 치르고, 2학기 종강을 맞이한 대학생들이 많을 것 같습니다. 대학생 중에서는 미래 교사를 꿈꾸는 대학생들도 계실 텐데요. 종강과 함께 찾아온 겨울방학, 이번 겨울방학에는 미래 교사가 되기 위한 준비를 하고 싶은데 어떻게 해야 할지 감이 잡히지 않으신다고요? 오늘은 미래 교사를 꿈꾸는 분들이 겨울방학 때 할 수 있는 다양한 활동과 준비 방법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방학 중에 준비할 수 있는 것인 만큼 모든 학년이 부담 없이 할 수 있는 활동을 준비해보았는데요. 그럼 어떤 활동을 하면 좋을지 함께 보러 가볼까요? 제가 재학 중인 사범대학교에서는 학년이 올라갈수록 교원양성과정에 걸맞은 수업들이 많아집니다. 즉, 과제나 발..

21세기 지금, 일어나서부터 잠자리에 들기까지 우리는 온라인 세상과 수많은 교류를 하며 살아가고 있습니다. 이처럼 기술은 발전하였고, 우리는 이처럼 발전된 기술을 매일같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삶에 녹아든 ‘기술’은 진보하고 있는 교육에서도 쉽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이제 학교에서는 오락 기술을 융합한 ‘에듀테인먼트’를 통해 교육을 받고, ‘온라인 공동교육과정’을 통해 수업을 듣거나 열띤 토론을 하기도 합니다. 이처럼 지금 학교를 들여다보면, 기술의 발전에 따라 교육 콘텐츠가 다양화되고 있다는 점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오늘은 21세기형 교육 콘텐츠의 다양화를 소개해드리고자 합니다. "에듀테인먼트" 에듀테인먼트란, 교육과 오락의 합성어로서, 게임을 통해 학습을 이끌어내는 수업방식입니다. 학습에 ..

작년과 올해, 코로나19로 인해 초등학교부터 대학교까지 비대면 교육이 활성화되고, 직장에서는 온라인을 통한 재택근무를 하는 등 많은 모습이 변화했습니다. 갑작스레 맞이한 변화이지만, 비대면 교육의 발전을 일으키는 큰 계기가 되었습니다. 한국과학기술원이 진행한 온라인 국제 포럼에서, 신성철 KAIST 총장은 미래학자 토머스 프레이의 말을 인용해 2030년쯤 전통적인 개념의 대학 중 반 정도가 사라질 것이고, 교육 환경이 빠르게 변화하고 있으며, 앞으로는 새 기술을 습득할 수 있는 평생 교육 플랫폼으로서의 “가상 교육”이 주목을 받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또한, 교육 전문가들은 코로나 19의 확산으로 교육 환경이 ‘온라인/비대면’으로 변화했지만 향후 이것이 새로운 표준(뉴노멀)으로 정립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2021년 2월 17일 교육부에서 발표한 ‘고교학점제 종합 추진계획’에 따르면, 올해 초등학교 6학년이 고1이 되는 시점인 2025년에는 고교학점제가 전면 적용된다고 합니다. 고교학점제는 학생이 공통과목을 들은 후, 진로와 적성에 따라 과목을 선택하여 이수하고, 이수 기준에 도달한 과목에 대해 학점을 취득하여 졸업하는 제도입니다. 쉽게 설명해보자면, 대학교에서 시행되는 학점제와 같은 원리라고 볼 수 있습니다. 고교학점제는 무엇보다 학생 개개인이 진로와 적성을 찾아 자기 주도적 인재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장 큰 목표입니다. 위 표를 보시면, 고교학점제는 2020년 마이스터고를 시작으로, 2022년부터는 특성화고와 일반계고 제도 부분 도입을 거쳐 2025년에는 전면 적용될 예정입니다. 실제 고교학..

여러분들은 국가장학금이나 교육 지원금 등을 신청해보신 경험이 있으신가요? 또는 장학금이나 교육 지원금 등을 신청하려고 해도 어디에서 신청해야 할지, 언제부터 신청할 수 있는지 혼란스러운 경험이 있으신가요? 교육 혜택들은 모두 신청 기간도 다르고, 신청하는 방법과 사이트도 다양하기 때문에 일일이 찾아보기 번거로울 것으로 생각합니다. 따라서 여러분들을 위해 2021년 놓치지 말아야 할 대표적인 상반기 교육 혜택 정보를 모아 가져왔습니다! 유치원, 초·중·고, 대학생으로 교육 혜택을 나누어 정리했으니 참고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하나씩 함께 알아보도록 할까요? "유치원 교육 혜택 알아보기" 장애 영 · 유아 특수교육 지원 장애 및 장애가 의심되는 자녀가 있을 경우, 지역교육지원청의 특수교육지원센터를 통해 특수..

세상에는 우리가 모르고 있던 전공들이 참 많습니다. 다른 친구들의 전공을 보며 '대체 뭐 하는 과야?'라는 궁금증이 생긴 적 있으셨나요? 그래서 오늘은 이색학과 중 ‘교육공학과’라는 학과를 소개해드리려고 합니다. 교육공학과에 대해서 들어본 적이 있으신가요? 처음 들어보셨다면 저와 함께 알아보고, 알고 계셨던 분들은 더 자세하게 알아봐요! 그럼 교육공학과가 무엇을 배우는 학과인지 같이 알아보러 가볼까요? "교육공학이 뭐야?" 여러분은 처음에 ‘교육공학’이라는 단어를 접했을 때 어떠셨나요? 공학에 관심이 가셨나요, 교육에 관심이 가셨나요? 교육과 공학. 전혀 연관이 없어 보이는 두 가지 학문이 붙어있어 생소하진 않으셨나요? 교육공학은 기술뿐만 아니라 교육과 관련된 다양한 학문 분야의 이론적 지식을 도입하여 ..

‘익숙함’이라는 단어보다 ‘새로움’이라는 단어가 더 잘 어울리는 3월. 대한민국의 모든 학생에게 3월은 많은 것들이 새로 시작하는 시기입니다. 이런 3월이 가져다주는 새로운 친구들과 새로운 학교, 새로운 교실이 어떤 학생들에게는 설렘과 기대를 안겨주기도 하지만 아마 많은 학생들이 설렘과 함께 두려움을 안겨주기도 할 거예요. 오늘 함께 할 친구 ‘누리’도 중학교에 막 입학해서 걱정이 많은 친구인데요, 누리는 특히 반 친구와 어떻게 하면 친해질 수 있을지 고민이 많다고 해요! 거리 두기로 인해 반 안에서도 친구들과의 거리가 멀어 더 걱정인 누리는 어떻게 친구들과 친해질 수 있을까요? 누리의 하루를 함께 보면서 반 친구와 친해질 수 있는 꿀팁을 확인해보세요! 1. 개인 방역 지키기는 필수! 코로나19로 학교와..

여러분은 무엇인가에 열정을 쏟아본 적이 있나요? 학생이라면 아마 학업과 학교생활로 인해 자신의 관심 분야에 대해 깊게 고민할 수 있었던 시간이 없었을 것 같은데요. 내가 좋아하는 것을 공부할 수 있는 교육환경이 있다면 정말 좋겠다고 상상해보기도 합니다. 걱정하지 마세요! 여러분이 원하는 것을 공부할 수 있을 만큼 우리 주변의 교육환경은 많은 변화를 거듭해왔습니다. 자신의 흥미가 생활 속 아주 사소한 것이라도 괜찮습니다. 적성과 흥미를 충분히 발휘할 수 있는 학과들이 많이 있으니까요! 이번 시간에는 세계의 다양한 이색학과를 둘러보며 우리 각자의 적성을 찾는 방법도 같이 알아보도록 해요! 국내 대학의 이색학과 1. SNS 마케팅과 ■ 어떤 학과일까? 언택트 시대가 도래하면서 그것에 맞게 변화된 SNS 시장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