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교육비부담경감 (6)
교육부 공식 블로그

◈ 모든 학생을 위한 학습 안전망 확충, 한국판 뉴딜, 교육비 부담 경감, 고등교육 경쟁력 강화에 중점투자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유은혜)는 12월 2일(수)에 열린 국회 본회의에서 2021년도 교육부 소관 예산 및 기금운용계획이 2020년 추가경정예산 75조 7,317억 원 대비 7,328억 원 증액된 76조 4,645억 원으로 확정되었다고 밝혔다. 특히, 국회 심의과정에서 유아교육비 보육료사업은 누리과정 지원 단가가 2만 원 인상되면서 2,621억 원이 증액되었다. ※ 유치원 유아학비 : (공립) 月 6 ⟶ 8만 원, (사립) 月 24 ⟶ 26만 원어린이집 보육료 : 月 31 ⟶ 33만 원 또한, 강사의 고용안정을 위한 사립대학 강사 처우개선사업은 정부안 대비 104억 원 증가한 369억 원으로..
2014년도 교육부 소관 예산안 부문별 예산편성 방향 1. 유아 및 초․중등교육 꿈과 끼를 키울 수 있는 학교교육 정상화 ㅇ 꿈과 끼를 살리는 교육과정 운영 ㅇ 장애학생 교육여건 확충 및 교육기회 확대 ㅇ 초등학교 방과후 돌봄기능 강화 등 방과후 돌봄 서비스 확대 ㅇ 누리과정 지원 강화를 통한 교육비 부담 경감 2. 고등교육 고등교육 기회 확대 및 교육․연구여건 개선 ㅇ 대학 특성화 및 재정지원 확대를 통한 교육․연구여건 개선 ㅇ 지방대학 특성화 분야 집중 육성 등 지방대학 지원 확대 ㅇ 소득연계 맞춤형 반값등록금 지원 등 대학 교육비 부담 경감 3. 평생․직업교육 국가평생교육체제 구축 및 직업교육 강화 ㅇ 교육과 일자리 연계를 위한 국가직무능력표준 구축 ㅇ 전문 인재 양성을 위한 직업교육 강화 ㅇ 전문..
교육부 2014년도 예산안 54조 3,661억원 - 대학생 맞춤형 장학금 3조 5,253억원 - 교육부(장관 서남수)는 행복한 교육, 창의성을 갖춘 우수 인재 양성을 위해 2014년도 예산안을 전년도 53조 8,264억원에서 5,397억원 증액한 54조 3,661억원으로 편성하였습니다. 유아 및 초․중등교육은 지방교육재정교부금 41조 2,932억원을 포함하여 41조 4,589억원, 고등교육 8조 4,556억원, 평생․직업교육 5,307억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지방교육재정교부금을 제외한 2014년도 교육분야 예산안은 전년도 8조 5,676억원 대비 7.9%* 증액된 9조 2,525억원을 반영하였습니다. * ’13년도 본예산(8조 4,574억원)을 기준으로 할 경우는 9.4%(증 7,951억원) 내년도 예산안..
교복 가격 안정화를 위한 「교복 구매 운영 요령」안내 - 시·도교육청별 교복 표준디자인 제시, 구매 가격 상한 결정 - - 학운위 심의후 학교가 주관하여 구매하고, 선정 디자인 사전공개 - 교육부(장관 서남수)는 지난 7월에 발표한「교육비 부담 경감을 위한 교복 가격 안정화 방안」의 후속 조치로 「교복 구매 운영 요령」을 안내하고, 시․도교육청에 교복 가격 상한선을 권고하였습니다. 교육부가 제시한 가격 상한제의 권고 가격기준안은 2013년 하반기 및 2014년 상반기 착용 동복 4pcs 기준 203,084원입니다. 이 권고 상한 가격은 '13년 4월 전국 평균 동복 공동 구매 가격에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를 반영한 것으로, 시․도교육청은 동 권고 가격기준안에 따라 지역 여건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적정..
「교육비 부담 경감을 위한 교복가격 안정화 방안」발표 - 출고 가격 안정화 유도, 시·도별 가격 상한제 및 디자인 표준화 - 2015년부터 국·공립학교에서 구매 주관, 하절기 교복 간소화 등 추진 교육부(장관 서남수)는 서민 물가 안정과 학부모의 교육비 부담 경감을 위한「교복가격 안정화 방안」을 발표하였습니다. 교육부는 그 동안 시·도교육청과 함께 공동구매 활성화, 교복 물려입기 운동 등을 추진해왔으나, 다품종 소량 생산, 교복 디자인 변형 등 제기되어온 문제점 해소를 위해 ‘교복 가격 안정화’를 위한 방안을 새로 마련하였습니다. 교복 출고가격 안정화 유도 사회적 합의를 통해 출고 가격을 결정함으로서, 소비자 물가상승률 수준에서 안정화되도록 유도합니다. 약 75%의 시장 점유율을 갖고 있는 교복 4대 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