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교육행정 (3)
교육부 공식 블로그

언론사명 / 보도일시 : 매일경제 / 2021. 7. 19. (월) 제목 : 학생 급감에도 교육청 직원 2배 늘렸다 일반직 공무원 현원을 기준으로 전국 시·도교육청, 교육지원청에 근무하는 교육행정 직원이 2010년 대비 2020년에 101.4% 증가하였다고* 보도되었으나, * (2010년) 8,654명 → (2020년) 1만 7,398명 해당 통계의 2010년도 행정직 직원 수에는 ‘2013 지방공무원 직종개편’에 따라 現 일반직에 통합된 기능직이 포함되어있지 않습니다. 실제로는 전국 시·도교육청, 교육지원청 교육행정 직원이 2010년 12,579명(일반직 9,362명 + 기능직 3,217명)에서 2020년 17,396명으로 약 38% 증가하였습니다. < 전국 시·도교육청..

"교육행정이 잘 이뤄지는지 감시하고, 직접 감사관으로 참가하는 제도!" 모든 정책은 선의를 가지고 출발합니다. 정책은 공공성을 추구하기 때문에, 이전보다 발전된 사회를 만들고 사회적 약자들을 돌보기 위함이라는 목적을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정책을 만들고 실현하다 보면, 자칫 시민들의 의견과는 다른 방향으로 갈 때가 있습니다. 그리고 국민들이 정책이 잘 짜여 지고, 집행되고 있는지 자세히 알기 어렵습니다. 이런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여러 정부 부처에서는 시민의 감시를 받는 제도를 실현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교육부는 중앙부처 최초 대국민 공모 방식으로, 2019년 제1기 시민감사관 제도를 도입하였고, 2020년인 현재 제2기 교육부 시민감사관을 모집하였습니다. 그런데 여기서 드는 한 가지 의문! 시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