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네트워크 (6)
교육부 공식 블로그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DzhOD/btqzzldkIOH/V2KOiuKJV6AT6kSkMnaYTK/img.jpg)
2019 제5차 동아시아[EAS] 직업교육 네트워크 콘퍼런스 개최 - 4차 산업혁명시대에 대응하는 동아시아 직업교육의 미래 공동논의 - 동아시아 국가 간 직업교육 관련 방법 공유 및 토론의 장 마련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유은혜)와 한국직업능력개발원(원장 나영선)은 ‘4차 산업혁명시대에 대응하는 새로운 직업교육의 과제’를 주제로 「제5차 직업교육 네트워크 콘퍼런스」를 11월 8일(금) 서울 리베라 호텔에서 개최한다. 이번 행사는 동아시아 회원국 간 직업교육 우수사례를 공유하고 직업교육 발전방향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되었으며, 국내외 정부관계자 및 전문가, 교사 등 200여명이 참석할 예정이다. 【 EAS 직업교육 네트워크 콘퍼런스 】 ㅇ 행사명 : 2019년 제5차 EAS 직업교육 네트워크 콘퍼런스 ..
서울창의인성교육센터에서 교육의 미래를 찾다. 서울창의인성교육센터 | 교육 | 학교 | 창의 | 인성교육 | 연은초등학교 | 꿈 | 끼 | 네트워크'학교 교실 풍경' 하면 무엇이 떠오르세요? 창문도 문도 네모 모양, 누런 아이보리색 벽, 어딜 가나 보이는 녹색 칠판과 게시판……. 그런데 혹시, 우리네 미래 학교 교실 풍경이 이렇다면 어떨까요?[기존의 전형성을 과감히 벗어던진 사각형, 육각형 모양의 창문, 알록달록한 벽과 복도 바닥][한쪽에는 블루스크린이, 가운데엔 활발한 모둠 토론이 이뤄질 자유분방한 교실 풍경][자유로이 앉아 책을 볼 수 있는 북카페 등. What do you imagine? 무엇을 상상하든 상상 그 이상!]위 사진들은 모두 지난 7월 개관한 서울창의인성교육센터의 구석구석을 담은 사진들..
모두가 인정하고 공감하는 전국 인성교육 우수 모델(학교‧동아리, 네트워크) 최종 선정 교육부(장관 황우여)는 한국교육개발원(원장 백순근)과 공동으로 2014년 `인성교육 우수 모델` 학교 9개교(초3, 중3, 고3)와 교사동아리 9개팀, 지역 단위 네트워크 10개청을 최종 선정‧발표하였습니다. 이번에 최종 선정된 전국 인성교육 우수 모델은 2013년에 선정‧운영된 인성교육 우수학교(40개교), 교사동아리(40개팀), 네트워크(20개청)가 심사 대상이었으며, 산․학․연 및 학교현장 전문가들로 구성된 평가단이 지난 1년동안의 운영 성과와 향후계획을 중심으로 서면평가(1차 평가)와 현장방문 및 프레젠테이션 평가(2차 평가)를 거쳐 최종‧선정하였습니다. 이번 인성교육 우수 모델은 학교와 교사, 지역단위의 특화된..
국회의원이 말하는 '청년의 꿈' 학창시절의 원희룡은 대입시험에서 제주도라는 지역적 한계에도 불구하고 전국수석을 차지한 지역 내 '인물'이었다. 나의 학창시절, 제주도 사람인 내가 그를 동경했던 것은 어쩌면 당연한 일이었다. 그와 같은 고등학교를 가게 됐을 때 세상을 다 가진 것 같은 기분이었다. 이번에 원희룡 국회의원을 만나게 된 것은 나에게는 그만큼 뜻깊은 일이었다. 지난 달 30일, 원 의원의 이야기를 듣기 위해 상당히 많은 사람들이 제주대학교 국제교류회관을 찾았다. 강연의 주제는 '청년의 꿈이 만들어가는 선한 영향력의 중심국가'였다. 취업과 진로, 그리고 사회에 대해 많은 고민을 하는 이들의 마음에 그의 이야기가 다다를 수 있을지 기대반 걱정반이었다. 그는 프랑스의 나폴레옹 이야기를 서두로 이야기를..
과학관 하면 저는 언제나 과거의 서울과학관이 떠오릅니다. 대전 중앙과학관과 과천과학관이 새로 생겼고 천체투영관 같은 첨단 전시물도 생겼지만, 재개관하기 전 서울과학관의 모습은 저의 학창시절 견학 갔을 때 모습과 별로 달라진 것이 없어 보였습니다. 오랜 세월 동안 2층으로 오르는 계단 벽에 붙어 있던 과학자들의 초상은 묘하게도 학창시절을 추억하게 해주더군요. 과학관이 추억의 장소라니! 퍽 안 어울리는 조합이지요? 서울과학관은 지금 살짝 자리를 옮겨 재개관(2010년 11월 17일)을 했다고 합니다. 어떻게 변했을지 기대가 되네요. 과학관의 역사 박물관은 기원전 300년 이집트에서 여신 뮤즈에게 제례를 지내던 뮤제이온(Mouseion)이 기원이라고 합니다. 뮤지엄(Museum)이라는 단어의 어원은 바로 이 ..
아침 출근길, 오늘도 만원 버스 안에서 막히는 도로를 보며 한숨을 내쉬는 K모양. 운 좋게 자리에 앉아 가방 속에 들어있던 신문을 꺼내보던 K양, 눈에 띄는 기사 하나를 발견! “새길 뚫으면 길 막힘 줄어들까?” 가장 빠른 길을 찾는 똑똑한 운전자와 도로망의 구조 때문에 교통체증이 증가한다는 내용이었다. 혹시 이 지긋지긋한 교통체증을 해소해 줄 열쇠일까? 그녀의 궁금증이 커져만 갔다. 그런 그녀를 대신하여 제가 논문의 저자인 카이스트 물리학과 정하웅 박사님을 만나고 왔습니다. 교통체증이 운전자의 합리적 선택 때문에 발생하고, 따라서 특정도로를 막는다면 교통체증이 줄어든다는 내용이었는데, 연구 내용을 알기 쉽게 설명해 주세요. 그림제공 : 카이스트 다음과 같은 경우를 생각해봅시다. 회사에서 집까지 가는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