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다문화교육 (21)
교육부 공식 블로그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emRhjE/btstY7oRbw4/uUk1EGY2q3THQeEZ4FeYck/img.jpg)
‘누구 하나 소외되지 않는 가족, 모두가 함께하는 사회 구현’ 따뜻한 동행 모두가 행복한 나라를 목표로 정부에서는 지난 4월, 다문화가족정책 기본계획을 발표했습니다. 주요 내용에는 다문화 아동·청소년 성장단계별 맞춤형 지원, 결혼이민자 정착주기별 지원, 상호존중에 기반한 다문화 수용성 제고, 다문화가족정책 추진기반 강화가 있습니다. 다문화 가족이 늘어나는 만큼 관련 정책들이 나오고 있는데요. 그럼, 학교 현장에서는 다문화 교육이 어떻게 진행될까요? 제가 소개할 주제를 함께 살펴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 다문화가족정책 기본계획: https://blog.naver.com/moeblog/223086899010 바로, ‘다문화교육 우수사례 공모전’입니다. 다문화교육 우수사례를 발굴하고 확산해 우리 사회의 다문..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KtTwg/btsqwWxDrvC/D2jra5q5JT7U3hCVlbbQt1/img.png)
세계 각지의 사람들과 소통하고 만나는 일, 지금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익숙한 광경인데요. 학교 현장도 다문화 학생 수가 늘었습니다. 2023년 다문화교육 지원계획에 따르면 다문화 학생이 최근 5년간 매년 1만 명 이상 증가해 2022년에는 16만 8천 명을 넘어섰다고 하는데요. 학교에서 다문화 학생을 만나는 건 이제 낯선 일이 아닌 것 같습니다. 다문화 학생들과 교실 안 모든 학생을 위해 다문화 교육이 더욱 중요해졌다는 생각이 듭니다. 오늘은 지난 3월에 발표한 다문화교육 지원계획부터 지역 곳곳에 있는 다문화교육 정책학교를 함께 소개하겠습니다. 다문화교육이 걸어갈 발자취 2023년 다문화교육 지원계획은 다문화 학생 교육기회 보장 및 교육격차 해소, 다양한 문화가 공존하는 성숙한 교육환경 구축이라는 2..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SQLHV/btq5fmRP3dz/JiCBa526eLeu3iKvMXK8uK/img.jpg)
여러분, 5월 20일이 무슨 날인지 아시나요? 바로 세계인의 날입니다! 다양한 민족, 문화권의 사람들이 서로 이해하고 공존하는 다문화 사회를 만들자는 의미로 2007년부터 매년 5월 20일을 ‘세계인의 날’로 기념하고 있는데요. 오늘은 세계인의 날을 기념하여 우리나라 다문화 교육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세계화가 되면서 국내에 거주하고 있는 외국인이 한국인과 결혼하여 가정을 꾸리는 모습을 흔히 볼 수 있게 되었는데요. 다문화 가정이 증가하면서 학교 속에서 다문화 학생들이 점차 늘어나고 있습니다. 「다문화가족지원법」 제2조 제1호에 따르면 국제결혼을 한 부모의 자녀뿐 아니라 탈북하여 한국인으로 생활하는 청소년 모두 다문화 가정의 청소년이라고 할 수 있는데요. 2020년 4월 교육부 통계에 따르면 다문..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xk9h3/btqC6kBqdzU/fO6yPkVxgZaJqKWILyuWPk/img.png)
세계화에 따라 국가 간 인구 이동이 활발해지면서 우리나라는 다문화 사회로 접어들었습니다. 교육통계에 의하면 최근 5년간 다문화 학생 수는 매년 1만 명 이상씩 증가하여 2019년에는 총 13만 명을 초과하였다고 합니다. 모두 함께 더불어 살아가는 다문화 사회에서 가장 필요한 것은, 다문화 학생이 개인적 배경의 차이로 인해 차별받지 않고 동등하게 교육의 기회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돕는 교육이 아닐까요? 이에 교육부에서는 2020년 2월, ‘교육에서의 평등’을 실현하기 위해 을 발표하였습니다! 지금부터 전반적인 지원 사업의 내용에 대해 자세하게 살펴볼까요? 에서는 정책 개편과 신설 제도의 도입을 통해 다문화 학생의 교육권과 행복권을 보장하는 교육부 지원 사업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이 사업은 2006년에 ..
교육에 다문화를 담다!- 제7회 우수사례 공모전 시상식 및 ‘15년 다문화교육 지원 성과보고회 개최 - 교육부와 국가평생교육진흥원 중앙다문화교육센터(원장 기영화)는 12월 21(월)에 서울 르네상스 호텔에서 제7회 다문화 교육 우수사례 공모전 시상식과 ’15년 다문화교육 지원 성과보고회를 개최하였습니다. 1. 제7회 다문화교육 우수사례 공모전 시상식다문화교육 우수사례 공모전은 다문화교육 우수사례를 발굴·공유하여 학교 현장에 확산하기 위해 2009년부터 실시되어 왔으며, 올해부터 다문화학생과 학부모가 참여할 수 있는 ‘다문화교육 수기’ 부문을 신설하여, 정책 수요자인 학생과 학부모가 느끼는 다문화교육 사례를 공유할 수 있는 소통의 장(場)을 마련하였습니다. 이번 공모전에는 총 294편의 작품이 접수되었으며..
타국 문화와 정서를 배우다!당산서중 국제문화동아리 요즘 청소년들 사이에서 TV 프로그램 의 ‘글로벌 문화대전’이라는 코너가 큰 인기를 얻고 있는데요. 자국문화에 대한 자부심을 알아보고 타국에 대한 오해와 편견을 버릴 수 있어 많은 친구들이 시청하고 있습니다. 이 프로그램 외에도 요즘엔 외국인들이 방송에 나와 자신들의 문화를 소개하고 또 한국 문화를 접해보는 등 서로의 문화를 존중하는 모습을 많이 볼 수 있습니다. 학교 현장에서도 단순히 외국어 수업을 넘어 타국 문화를 접할 수 있는 다양한 활동들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제가 다니고 있는 서울 당산서중학교에는 타국 문화에 대한 이해를 통해 글로벌 사회의 민간외교를 배우는 ‘국제문화동아리(지도교사 김유영)’가 있습니다. 올해 진행하고 있는 프로그램 중 ..
미국의 다문화 교육,문화 체험으로 평등과 다양성을 배우다 미국은 다양한 국민들이 모여 사는 나라입니다. 한 교실 안에도 미국, 한국, 중국, 아르메니아, 필리핀, 스위스, 이란, 멕시코, 인도 등 여러 국가의 학생들이 함께 지내죠. 그래서인지 '다문화 교육'이라는 것이 어떻게 시행되고 있는지 궁금했습니다. ▲캘리포니아 주 한 초등학교에서 열린 인터내셔널 푸드 페스티발 행사. 세계 각국의 음식을 공유하는 기회로 학교에서는 매년 연례행사로 열고 있다. 이에 대한 한 학부모의 대답이 인상적이었는데요, 학생들은 '다문화'보다는 '평등'에 대해 배운다고 했습니다. 여러 나라 문화가 공존하는 환경에서 어려서부터 익숙해지는 만큼 보다 중요한 '차별 없는 평등'을 강조한다는 말이었는데요. 실제로 영유아 교육의 출발지인..
전국 5개 시도에 지역「다문화교육 지원센터」생긴다. - 강원, 경기, 울산, 제주, 충남 등 5개 시도교육청 시범 선정 - 지역밀착형 다문화교육 서비스 제공과 모델 확산 - 이를 통해 다문화 학생에게‘가능한 최고의 출발 기회’제공 기대 교육부는 전국에 5개의 시·도교육청을「다문화교육 지원센터」사업자로 선정, ‘15년부터 시범사업에 착수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선정된 시범센터는 정부 부처 및 관련 기관과의 연계·조정을 통해 다문화교육 정책을 기획하고 지역의 특성에 맞는 교육 모델을 개발하여 학교 다문화교육을 지원하는 지역 거점센터로 육성할 계획입니다. 최근 10여 년 동안 대한민국은 급속하게 다문화사회(Multi-cultural society)로 변모하였고, 다문화 학생 수 역시 급증하여 ‘14년에는 최초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