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대학수학능력시험 (192)
교육부 공식 블로그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klFYX/btqKLErRgOG/mn6xrnq1RcZq6a4kzkkx30/img.png)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지난 9월 16일(수) 전국적으로 실시된 202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이하 수능) 9월 모의평가 채점 결과를 10월 14일(수)에 수험생들에게 통지하였다. 개인별 성적통지표는 접수한 곳(재학 중인 학교, 시험 지구 교육청, 출신 학교 등)을 통하여 수험생에게 교부하였다. 아울러 수험생 진학 지도를 위해 「영역/과목별 등급 구분 표준점수 및 도수분포」자료도 공개하였다. 2021학년도 수능 9월 모의평가 응시생 수 2021학년도 수능 9월 모의평가에 응시한 수험생은 389,646명으로 재학생은 323,295명, 졸업생 등(검정고시 포함)은 66,351명이었다. 국어 영역 387,945명, 수학 가형 126,091명, 수학 나형 257,639명, 영어 영역 389,046명, 한국사 영역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tg1tH/btqI66Q5KYK/Cdqr9dSYpQ1184QxY2EMA1/img.jpg)
202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응시원서 접수 결과 - 작년보다 55,301명 감소한 493,433명 지원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2020. 12. 3.(목)에 실시되는 202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응시원서 접수 결과를 다음과 같이 발표하였다. □ 접수 및 변경 기간: 2020. 9. 3.(목) ∼ 9. 18.(금) □ 접수 장소: 시험지구 교육지원청(86개) 및 학교 □ 지원자 현황 ◦ 자격별・성별 (단위: 명) 학년도 합 계 자 격 별 성 별 재학생 졸업생 검정고시 등 남 여 2021 493,433 (100%) 346,673 (70.2%) 133,069 (27.0%) 13,691 (2.8%) 254,027 (51.5%) 239,406 (48.5%) 2020 548,734 (100%) 394,024 (71..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D9cEx/btqIM7iNmpL/baX2eXVpa37ciiLgTSzKUK/img.png)
2021학년도 9월 모의평가 출제방향 5교시 : 제 2외국어/한문 5교시 : 제 2외국어/한문 영역 출제의 기본 방향 제2외국어/한문 영역은 2015 개정 교육과정의 내용과 수준에 따라 학습자의 외국어 능력과 한문 이해 능력을 평가할 수 있도록 문항을 출제하였다. ◦ 제2외국어 교과는 일상생활에서 해당 외국어로 의사소통할 수 있는 언어 사용 능력과 해당 외국(어권) 문화에 대한 이해 능력을 평가할 수 있도록 출제하였다. ◦ 한문 교과는 한문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을 익혀 한문 독해에 활용하는 능력, 한자 어휘를 익혀 언어생활에 활용하는 능력, 한문 기록에 담긴 선인들의 삶과 지혜 및 문화를 이해하고 활용하는 능력을 평가할 수 있도록 출제하였다. 출제 범위 출제 범위는 ‘독일어Ⅰ’, ‘프랑스어Ⅰ’, ‘스페인..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Ay28A/btqIPQARt06/rL5ELRI0UTHywLJIkzkfhk/img.png)
2021학년도 9월 모의평가 출제방향 4교시 : 사회/과학/직업탐구 4교시 : 사회/과학/직업탐구 영역 출제의 기본 방향 한국사 영역은 고등학교 한국사 교육과정에 기초하여 고등학교 졸업자로서 갖추어야 할 한국사 기본 지식의 이해 정도와 역사적 사고력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문항을 출제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인 출제 원칙은 다음과 같다. ◦ 한국사에 대한 기본 소양을 갖추었는지를 평가하기 위해 핵심적이고 중요한 내용 중심으로 평이하게 출제하였다. ◦ 단원 시대별로 편중되지 않고 고르게 교육과정의 핵심 내용 위주로 출제하여 학교 수업을 통해 교육과정을 충실히 이수한 학생이라면 높은 등급을 받을 수 있도록 출제하였다. 출제 범위 한국사 영역의 출제 범위는 한국사 교육과정의 범위와 수준에 맞추었다. 문항의 소재..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o8igq/btqITviqygC/zLQDeFWDuCUF9aeiYhB0i1/img.png)
2021학년도 9월 모의평가 출제방향 3교시 : 영어 3교시 : 영어 영역 출제의 기본 방향 영어 영역은 영어과 교육과정의 내용과 수준에 맞추어 ‘고등학교 영어과 교육과정 성취기준의 달성 정도’와 ‘대학에서 수학하는 데 필요한 영어 사용 능력’을 측정하는 문항을 출제하고자 하였다. 영어 영역의 구체적인 출제 기본 원칙은 다음과 같다. ◦ 2015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다양한 소재의 지문과 자료를 활용하되 교육과정 기본 어휘와 시험 과목 수준에서 사용 빈도가 높은 어휘를 사용하여 출제한다. ◦ 동일한 능력을 측정하는 유사한 문항 유형을 가감하거나 교체할 수 있는 모듈형 원칙에 따라 검사지를 구성한다. ◦ 영어의 유창성뿐만 아니라 정확성을 강조하여 균형 있는 언어 사용 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언어..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tYrqf/btqIKq4iNdR/wPkBDmCdLkqv3pwxsyp9KK/img.png)
2021학년도 9월 모의평가 출제방향 2교시 : 수학 2교시 : 수학 영역 출제의 기본 방향 수학 영역은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의 내용과 수준에 근거하여, 대학 교육에 필요한 수학적 사고력을 측정하는 문항을 출제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인 출제 원칙은 다음과 같다. ◦ 평가 목표는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의 목표와 내용에 기초하여 설정하였다. ◦ 교육과정의 내용을 충실히 반영하여 고등학교 수학교육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문항을 출제하고자 하였다. ◦ 고등학교까지 학습을 통해 습득한 수학의 개념과 원리를 적용하여 문제를 이해하고 해결하는 능력을 측정할 수 있는 문항을 출제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 복잡한 계산을 지양하고, 반복 훈련으로 얻을 수 있는 기술적 요소나 공식을 단순하게 적..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VipLJ/btqIObeax82/bkJkoqRN0sVnhxGSUb4jVK/img.png)
2021학년도 9월 모의평가 출제방향 1교시 : 국어 1교시 : 국어 영역 출제의 기본 방향 국어 영역은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교육부고시제2015-74호)에 기초하여 ‘대학 수학(修學)에 필요한 국어 능력’을 측정하는 문항을 출제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인 출제 원칙은 다음과 같다. ◦ 평가 목표는 2018학년도 입학생부터 적용된 2015 개정 고등학교 국어과 교육과정의 목표와 내용에 기초하여 설정하였다. ◦ 평가 문항은 국어 영역의 출제 과목인 ‘화법과 작문’, ‘언어’('언어와 매체' 과목 중 언어 부분), ‘독서, ‘문학’ 교과서에 제시된 학습 목표와 학습 활동을 평가 상황에 맞게 변형하여 개발하였다. ◦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설정한 지식과 기능에 대한 이해력, 출제 과목별 교과 서를 통해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2rJpT/btqIOa0y4Fd/O2STH85cEyhoCHT5eIdKqk/img.png)
한국교육과정평가원(원장 성기선)은 202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이하 수능) 9월 모의평가를 9월 16일(수), 오전 8시 40분부터 전국 2099개 고등학교(교육청 포함)와 428개 학원에서 동시에 실시하였다. 출제의 기본 방향 2021학년도 수능 9월 모의평가 출제위원단은 한국사를 제외한 전 영역/과목에 걸쳐 2015 개정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내용과 수준을 충실히 반영하고, 대학 교육에 필요한 수학 능력을 측정할 수 있도록 출제의 기본 방향을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첫째, 학교 교육을 통해 학습된 능력 측정을 위해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내용과 수준에 맞추어 출제하였다. 특히, 핵심적이고 기본적인 내용을 중심으로 출제함으로써 고등학교 교육의 정상화에 도움이 되도록 하였다. 또한 타당도 높은 문항 출제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