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미디어 (20)
교육부 공식 블로그

여름방학을 맞이한 누리울림 와이키키 남매! 여름방학을 맞아 방송국에 견학을 다녀왔다고 하는데요. 방송국에서는 연예인 뿐만 아니라 다양한 사람들이 방송 송출을 위해 힘을 쓰고 있다고 합니다. 누가, 어떤 일을 하는지 영상을 통해 함께 확인해 볼까요? 방송국 사람들은 어떤 일을 할까? 방송 PD : 기획, 제작 등을 책임지는 방송 프로그램의 감독 라디오 DJ : 라디오 청취자들의 문자 확인, 노래 선곡 등 진행을 담당 방송국에는 무엇이 있을까? 제작 부조정실 : 영상, 음성, 조명 등 스튜디오를 총괄하는 곳으로 스태프들(PD, 음향감독, 조명감동 등)이 연출하는 공간 스튜디오 : 방송국에서 방송 설비를 갖추고 방송을 하는 방 크로마키 : 녹색 배경에서 인물을 촬영한 뒷배경에 다른 화면을 합성하는 기법 라디오..

인터넷의 발달과 디지털 혁명으로 우리의 세상은 급격하게 변화해왔습니다. 편리하게 정보를 얻을 수 있고 자신의 일상을 모두와 공유할 수 있어 좋지만, 한편으로는 무분별한 정보의 홍수 속에서 잘 버텨나갈 수 있을지 걱정이 되기도 합니다. ‘디지털 네이티브 세대’가 무엇인지 알고 계시나요? 태어나면서부터 디지털 기기에 둘러싸여 성장한 세대를 의미합니다. 디지털 네이티브 세대의 아이들은 어려운 정보조차 디지털 미디어를 통해 손쉽게 획득할 수 있는데요, 문제는 바로 다양한 정보 속에서 진실과 거짓을 제대로 구별해 내기 어렵다는 점입니다. 2021년 5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국제학업성취도평가(PISA)를 실시한 결과 한국 청소년들의 디지털 미디어 문해력은 바닥권을 기록했습니다. 또한, 정보가 주관적이거나..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올바르게 미디어 사용하는법!!💻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왜 중요할까요? 거짓 정보에 휘둘리지 않고, 사회구성원 간 갈등 등 피해를 예방할 수 있어요! ✔올바른 미디어 이해 ✔슬기로운 유튜브 생활 ✔소셜 미디어 바로 알기 ✔온라인에서 위험상황 대처법 건강한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함께 실천해보아요! ▶자세히 보기 : https://url.kr/vub86t ▶미리내 바로가기 : www.miline.or.kr #교육부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미리내 #콘텐츠 #유튜브 #소셜미디어 #온라인 #위험상황 #대처법

정보는 많은데 이걸 어떻게 사용해야 할지 모르겠어요. 인터넷에서 정보가 너무 많은데 거기서 뭐가 진짜고 가짜인가 구분하기 힘들어요. 인터넷과 매체의 발달로 우리는 디지털 매체를 통해 다양한 정보를 손쉽게 접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수많은 정보 속 과연 어떤 정보를 선택할지, 어떠한 정보를 믿을 수 있는지에 대해 고민이 많아집니다. 또한, 정보를 공유하기 쉬워진 만큼 허위 정보도 증가하였는데요. 가짜 뉴스가 대중에게 혼란을 주는 등 인터넷 정보의 사실 여부를 파악하지 못해 여러 사회적 문제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런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새롭게 떠오른 디지털 리터러시(Digital Literacy) 교육! 오늘은 디지털 리터러시란 무엇인지 알아보고 실제 학교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디지털 리터리시 교육..

□ 학생들이‘미디어 학생정책참여단’활동을 통해 교육정책에 대한 의견을 매체(미디어)를 활용하여 제시 □ 유은혜 부총리와 참여 학생 및 지도교사들이 활동 성과를 공유하며, 함께 미래교육에 대해 소통 □‘소니아 리빙스턴 교수’등 국내외 전문가가 참가하는 매체(미디어) 교육 국제발표회와 연계 개최하여 디지털 시민성 함양을 위한 방향 모색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유은혜)와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원장 김현철)은 ‘2021 미디어 학생정책참여단 정책제안한마당’을 1월 21일(금), 티마크 그랜드 호텔 명동에서 개최한다. ‘2021년 미디어 학생정책참여단’으로 참여한 학생들의 활동내용을 함께 되돌아보고, 우수 참여단을 시상하고 격려하며, 부총리와 대화를 통해 교육부 주요 정책에 대해 직접 제안하고 소통하는 시간을..

수능도 끝나고, 시험 결과도 발표된 지금, 이 시간을 어떻게 보내면 좋을지 고민되는 분들 많으실 텐데요. 교육부 국민 서포터즈 '누리울림'의 하제가 이런 고민이 담긴 사연을 듣고, 해결해주기 위해 나섰어요! 아르바이트를 하고 싶어하는 학생, 미디어 교육을 혼자 공부하고 싶어하는 학생, 의미있는 봉사활동을 하고 싶어하는 학생 등등 다양한 분야에 도전하고 싶은 학생들에게 맞춤형 해답을 준비했다고 하니 궁금하다면 영상으로 만나볼까요? #수능 #사회초년생 #아르바이트 #경제 #미디어 #미리네 #봉사활동 #e청소년 #학생안전특별기간 #교육부 #2021년 #국민서포터즈 수능이 끝나고, 이 시간을 어떻게 보내야 할까요? 하제 ✔ 우선 어떤 분야에서 교양을 쌓고 싶은지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각자 다른 관심사..

"디지털과 우리는 떼려야 뗄 수 없는 사이!" 디지털 시대에서는 주체적인 디지털 미디어 사용 능력, 즉 미디어 리터러시가 꼭 필요한데요! 미디어 리터러시에 관심 있는 당신에게 추천하는 다큐 를 카드뉴스로 먼저 만나볼까요? #교육부 #호모미디어쿠스 #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란? ✔ 다양한 미디어에 접근하여, 미디어 정보와 콘텐츠를 비판적으로 이해하고, 자신의 생각을 미디어로 책임감 있게 표현하고 소통할 수 있는 능력 1부 왜 허위 정보에 속는가? (인지심리학자 김경일) #허위정보 #가짜뉴스 #탈진실 #확증편향 ✔ 사실을 담은 뉴스보다 자극성과 참신함으로 무장한 '허위 정보'가 6배 빨리 전파된다는 사실! "누구나 허위 정보 생산자가 될 수 있는 탈진실 시대에 우리가 할 수 있는 대처..

코로나19로 인해 외부 활동이 어렵다 보니 어린이들의 미디어 이용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2021년 1월 한국언론진흥 재단이 발표한 에 따르면 어린이들은 하루 평균 4시간 45분을 미디어를 보는 데 사용하고 있었습니다.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미디어 콘텐츠 시청에 만 7~9세는 약 5시간 36분, 만 5~6세는 약 4시간 24분, 만 3~4세는 약 4시간 8분을 쓰고 있었습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만 2~4세 어린이의 경우 하루 1시간 이상 스마트폰 등 전자기기 화면을 지속해서 보지 않도록 권고하고 있습니다. 현재 한국 어린이의 미디어 사용 시간은 WHO 권고의 4배가 넘는 수준입니다. " 많은 시간을 미디어에 쓰는 우리 아이들, 준비 없이 콘텐츠를 보면 위험할 수 있습니다 " AI 프로젝트 실험 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