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반도체 (21)
교육부 공식 블로그

□ 반도체 등 첨단산업 인재양성 정책과제 발굴 및 점검·관리를 위한 특별팀 구성·운영 □ 반도체 등 첨단분야 인재양성 지원방안 수립 추진 방향, 반도체 산업 동향, 반도체 인력 현황 공유 교육부는 6월 15일(수), ‘반도체 등 첨단산업 인재양성 특별팀(팀장 장상윤교육부차관)’첫 회의를 개최한다. ‘반도체 등 첨단산업 인재양성 특별팀(이하 특별팀)’은 교육부 이외에도 기획재정부ㆍ산업통상자원부 등 관계부처와 한국반도체산업협회, 반도체기업 인사담당자 등 기업계 전문가, 한국직업능력연구원, 한국산업기술진흥원 등 연구기관과 함께 민관 합동으로 구성·운영될 예정이며,반도체 등 첨단분야 인재양성 정책과제를 발굴·협의하고, 정책이 현장의 요구에 따라 추진되고 있는지 점검하고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 [참고] 반..
온도에 따라달라지는 저항 저항은 물질의 단면적, 길이에도 영향을 받지만 온도에 따라서도 크기가 달라집니다. 온도의 변화는 물질이 고유하게 가진 전기적 특성인 비저항을 변화시킵니다. 일반적으로 도체의 경우 온도가 높아질 수록 비저항이 커지는 경향을 보입니다. 이것은 온도가 높아지면 분자 운동이 활발해지는 것과 같은 것입니다. 물질의 온도가 높아지면 물질을 구성하고 있는 원자의 운동이 활발해집니다. 원자의 운동이 활발해지면 물질을 통과하는 전자와 부딪힐 확률이 더욱 증가하게 되므로 전자와의 충돌 횟수가 증가하여 비저항이 커지게 됩니다. 도체와 다르게 반도체와 부도체는 온도가 높아질 수록 비저항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입니다. 이것은 온도가 높아질수록 원자에 들어 있는 전자가 에너지를 얻기 때문입니다. 에너지를 ..
산업체 맞춤형 교육으로 반도체 명장 키운다 우리나라 유일의 반도체 마이스터고인 충북반도체고(교장 김수태)는 최첨단 장비를 갖추고 현장 중심의 전문직업교육을 하는 대표적인 마이스터고로 손꼽힌다. ‘최초’, ‘유일’이라는 말이 상징하듯 불모지였던 반도체교육 분야를 고교교육에 우뚝 세워놓았다. 전문교과 교사와 산업체의 전문가, 교수 등이 한마음 한뜻으로 반도체 교육과정을 완성하고, 산업체 맞춤형 교육을 통해 영-마이스터를 길러내고 있다. “우리학교는 ‘명장 육성, 명품 취업’을 슬로건으로, 반도체 라인에 들어가는 자동화 설비를 관리하고 유지, 보수하는 설비엔지니어(메인트)를 길러내는 곳입니다. 학교에서 반도체 분야의 최고 기술명장을 양성한다는 데 자부심과 긍지를 느끼고 있습니다.” 김수태 교장의 설명이다. 충..
스티커형 전자소자 개발 - 첨단기능성 물질지 표지논문 발표, “종이, 피부, 곡면 등에도 전자소자 제작 가능” - 국내 연구진이 어디든 쉽게 붙였다 떼었다 할 수 있는 스티커형 전자소자를 개발해냈습니다. 이를 이용하면 종이나 피부, 요철이 있는 곡면에도 전자소자를 스티커처럼 붙일 수 있어 탈부착형 디스플레이, 태양전지, 배터리, 의료 및 환경 감시 센서 등에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 광주과학기술원(총장 김영준) 고흥조 교수 연구팀이 수행한 이번 연구결과는 교육과학기술부(장관 서남수) 및 한국연구재단(이사장 이승종)이 추진하는 중견연구자지원사업(핵심) 및 광주과기원 특화연구(국제협력)의 지원을 받아 이뤄졌으며, ○ 재료과학 분야 권위지 첨단기능성 물질(Advanced Functional Ma..
새 교육과정으로 탄생한 '융합형 과학' 교육과정 개편으로 2011년 고등학교 1학년부터 '융합형 과학'을 배우게 된다. 오래전부터 과학자 양성을 위한 과학교육에서 벗어나 과학과 기술의 의미 및 가치를 이해시키는 교양 과학교육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있었다. 지금까지 과학교과서는 단원별 집중 심화 교육으로 네러티브를 가지지 못한 형태였다. 이 덕분에 고등학교 물리, 화학, 지구과학, 생물을 모두 배워도 '과학이 왜 필요한가?' '과학이란 무엇인가?' '고대 철학자는 왜 과학자이기도 한가?' 등의 문제는 생각해 볼 기회가 없었다. 그뿐만 아니라 과학교과서와 현재의 과학기술과는 많은 괴리가 생겨 신문이나 일상에서 흔히 등장하는 '반도체'라는 단어를 과학교과서에서는 찾을 수 없었다. 이런 면에서 볼 때 와 에 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