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반도체 (21)
교육부 공식 블로그

방과후학교란 2006년부터 초·중·고등학교에서 정규교육과정 이외의 시간에 다양한 형태의 프로그램으로 운영하는 교육체제를 의미합니다. 2022년 여름, 학교에서는 방학을 맞아 학생의 기초학력을 보완하고, 다양한 꿈과 끼를 키우는 방과후학교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전면등교 이후 학생들의 다양한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배움이 느린 학생을 위한 지도, 일대일 성장 멘토링 키다리샘 지난해 교육부는 ‘교육회복 종합방안’을 발표하며, 교육(학습·정서·사회성)결손 회복을 위해 시도교육청별로 ‘교과보충 집중(학습 도움닫기) 프로그램’을 지원했습니다. 학습 도움닫기 프로그램은 교과보충 집중 프로그램의 이름으로, 학습결손 해소가 필요하거나 희망하는 학생이 방과 후·방학 중에 교사의 도..

첨단분야 인재 양성을 위한 정원 규제 개선 □ 교원확보율 100% 충족 시 반도체 등 첨단분야 학과(학부) 신·증설 허용 □ 총 입학정원 범위 내 자체조정 시 교원확보율 기준 적용 폐지 앞으로 대학이 첨단분야 인재양성을 위해 정원을 증원하는 경우, 교원확보율만 충족하면 학부의 학과 신·증설이 가능해진다. 교육부는 ‘반도체 관련 인재양성 방안’(7.19.)의 후속조치로 이러한 내용을 담은 「대학설립·운영규정」개정안을 8월 19일(금), 입법 예고한다. 기존에는 전문대학·일반대학이 정원을 증원하는 경우, 교지, 교사, 교원, 수익용기본재산 등 4대 교육요건을 모두 충족해야만 했으나 대학(학부과정)이 교원확보율(겸임․초빙교수 포함)만 충족하면 첨단분야의 학과를 신·증설할 수 있도록 규제를 완화한다. ※ 대학원..

언론사명 : 한국경제 / 2022. 8. 3.(수) 제목 : 서울대도 미달인데․․․ 반도체 석·박사 정원 늘려준다고? 기술혁신을 이끌 신기술 분야 인재양성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반도체 등 첨단 분야 석·박사급 고급인재는 여전히 부족한 상황이며, 첨단 분야의 석·박사급 인력양성을 위해 대학 자체적으로 입학정원의 조정·증원을 추진하고 있으나, 대학 내에서 학문 분야 간 정원 조정·협의에 어려움도 있습니다. 이에 고급‧전문인재의 수요가 많은 첨단분야에 대해서는 교원확보율 100%*만 충족하면 석·박사 정원을 증원할 수 있도록 제도개선을 추진한 것입니다. * 대학이 석·박사 정원을 증원하기 위해서는 교사(敎舍), 교지(敎地), 교원(敎員), 수익용 기본재산의 4..

2022년 부처 협업형 인재양성사업, 14개 분야별 143개 대학 지원 □ 교육부-7개 부처가 협업하여 올해 첫 시작, 2022년 총 420억 원 지원 □ 신산업·첨단산업 분야 특화 교육과정 운영 등 대학의 인재양성 역량 강화 □ 반도체, 에너지 등 미래 핵심인재 연 4,300여 명 양성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박순애)는 반도체 등 국가 혁신성장을 선도할 신산업·첨단산업 인재를 양성하는 「부처 협업형 인재양성사업」 지원대학 143개교(중복 제외 64개교)를 선정하고, 2022년 총 420억 원을 지원한다. 동 사업은 국정과제에 따라 올해 처음으로 대학혁신지원사업(2022~2024년) 내 세부사업으로 신설·추진되며, 교육부와 신산업·첨단산업 분야 전문 부처가 협업하여 2022년부터 2024년까지 연간..

언론사명 : 세계일보, 한국경제, 경향신문 / 2022. 7. 20.(수) 제목 : 반도체학과 등 수도권대 1,300명 증원 계획... 지방대 반발 커질 듯 교수확보하면 정원확대? “연봉 5억 반도체 전문가, 대학 오겠나?” 지방대는 반발... “10년 후엔 인력 과잉 우려” 지적도 교육부는 「반도체 관련 인재 양성방안」 수립 과정에서 반도체 관련 학과 신·증설(정원 증원)에 대한 대학의 의향 및 애로사항을 파악하고자 ’22.6월 전국의 대학 중 총 40교를 대상으로 표집 조사를 실시한 바 있으며, 그 결과, 일반대는 27개교에서 1,877명, 대학원은 12개교에서 약 665명의 정원 증원 검토 의향이 있는 것으로 파악하였습니다. 다만, 사전조사는 대상 대학이 정원 증..

반도체 관련 인재 양성방안 ✔규제의 과감한 혁파 및 지원으로 반도체 관련 정원 확대! ✔고급인력 양성에 주력하면서 반도체 인재양성 저변 확보! ✔반도체 인재 양성 중장기 지원 기반 구축! ▶ 자세히 보기 : https://bit.ly/3cpXqSU #반도체 #인재양성 #15만명 #규제혁파 #정원확대 #기반구축 #교육부

반도체 초격차 이끌 인재 10년간 15만 명 양성 반도체 등 첨단산업을 선도할 미래 인재 양성이 대한민국의 새로운 도약을 위한 출발점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 자세히 보기 :https://bit.ly/3IPbzoD #교육부 #반도체 #초격차 #인재양성 #15만명 #정원확대 #고급인력양성 #기반구축

19일 국무회의서 ‘반도체 관련 인재 양성방안’보고 □ (배경) 향후 10년 간 반도체 관련 인력 12.7만 명 증가 전망 ❶ (정원확대) 대학 정원, 교원 자격 등 규제 혁파하고 재정투자 확대 ❷ (질적제고) 전공 간 구분 없는 융합교육으로 반도체 인재양성 저변 확보 ❸ (기반구축) 시설ㆍ장비 투자 집중한 반도체 인재양성 거점 구축·연계 정부는 관계 부처 합동으로 마련한 ‘반도체 관련 인재 양성방안’을 대통령 주재로 7월 19일(화)에 열린 국무회의에서 보고하였다. 이번 방안은 미래 산업의 핵심이자 국가 안보 자산인 반도체 기술의 초격차를 확보할 전문 인재를 양성하고, 반도체 기업의 인력난을 해소하여 인재 육성과 산업 성장의 선순환 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마련하였다. 이 방안 마련을 위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