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사회 (155)
교육부 공식 블로그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eLgAOu/btqwonYAjug/ykimXrt5iAV9elhUtWc5XK/img.jpg)
√ 초등사회 교과서 수정은 교육과정에 따라 바로잡는 것으로, 전문가 의견을 수렴하여 절차에 따라 수정하였습니다. √ 교육과정과 교과서는 '18년 교과서를 교육과정의 취지와 내용에 부합하도록 수정하였습니다. √ 초등 사회 교과서 196곳은 맞춤법 등 단순 수정과 정확한 서술울 위한 내용이 대부분입니다. #초등6_사회교과서_수정_문제없습니다 #사실은이렇습니다 #사이다 #교육부 #교과서 #사회교과서
고구려를 이어받은 발해 ■ 고구려 장군의 아들 대조영, 고구려를 이어받는 나라 '발해'를 세우다. 고구려는 한반도 북부와 중국 동북 지역을 중심으로 약 700년간 존속해온 고대국가입니다. 훌륭한 사냥, 기마기술을 바탕으로 동북아시아를 호령하였으나 서기 668년, 결국 당나라에 의해 무너지게 되었죠. 고구려의 멸망으로 인해 고구려 장수의 아들이었던 대조영은 아버지와 함께 당나라로 떠나야 했습니다. 당나라 땅 영주라는 곳에서 기회를 노리고 있던 대조영은 당나라와 돌궐이 싸우는 틈을 타서 조용히 고구려 유민들을 모으기 시작합니다. 그러나 당시 영주 땅에는 고구려인들이 그다지 많지 않았기 때문에 말갈족과도 힘을 합쳤습니다. 서둘러 무기를 모으고 병사들을 훈련시킨 대조영은 고구려가 멸망한 지 30년이 지난 698..
몽골의 침략과 고려의 저항 ■ 무신정권의 등장 무신정권은 1170년(명종 1년) 무신이었던 정중부의 난으로부터 시작됩니다. 당시 고려 사회는 문신 중심의 정치를 해 나가며 무신들을 푸대접하는 경향이 있었는데 이에 불만을 품고 일어난 무신정변은 고려 사회의 질서를 무너뜨리는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습니다. 무신정변 결과 고려사회는 새로 정권을 장악한 무신들에 의해 새로운 형태의 정권이 성립되게 됩니다. 무신정권은 약 백 년간 계속되었는데 무신들은 백성이나 나라 걱정보다는 본인들의 이익을 생각하는 경우가 많았고 권력을 독점하여 고려사회는 점점 어려워져 가게 되었습니다. ▲ 무신정권의 계보(출처: 에듀넷) ■ 약해진 고려의 국력, 몽골의 침략 몽골이 고려를 침략한 시기는 바로 고려시대 무신정권기였습니다. 만주지역..
권력가 한명회와 압구정은무슨 관련이 있을까요? ■ 칠삭둥이로 태어나 권력을 움켜쥔 지략가, 한명회 영화 ‘관상’ 속에서 지략가로 나오는 인물로, 조선전기 계유정난의 설계자로서, 성공에 결정적인 기여를 한 사람은 누구일까요? ▲ 한명회(출처: 에듀넷) 바로 한명회입니다. 한명회는 7달 만에 태어나, 어려서는 몸이 불편했는데 차츰 성장하면서 체구가 보통 사람보다 커지고 지모가 남달리 뛰어났다고 합니다. 젊었을 때는 절에서 글을 자주 읽고, 짧고 간결하면서 설득력있게 상대방에게 전달하는 훌륭한 말솜씨를 지녔다고 합니다. 단종을 왕위에서 밀어내고 수양대군이 왕이 되기까지 지략의 중심이 된 인물인 한명회는 영의정까지 지내고, 두 딸을 예종과 성종의 후궁으로 들이면서 왕의 장인으로서 권력을 지녔으나, 그만큼 여러 ..
조상들은 어떻게혼례를 치렀을까요? ■ 우리 조상들의 여러 가지 결혼 풍습▲ 우리나라의 전통 혼례식을 치르는 현대인들의 모습(출처: 에듀넷) 우리는 흔히 ‘시집간다, 장가간다’라는 표현을 사용하곤 하는데요, 이것은 우리 조상들의 결혼 풍습을 나타내는 말이기도 합니다. 여자가 남자의 집으로 들어가는 ‘시집간다’는 표현과 남자가 장인의 집으로 간다는 의미인 ‘장가간다’는 표현이 사용되었음을 미루어 볼 때, 결혼에 관한 다양한 풍습이 있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삼국지]의 고구려 편에서 우리 고유의 결혼 풍습인 장가들기에 관한 기록을 찾아볼 수 있습니다. “혼인하는 경우, 구두로 미리 약속하면 여자 집에서 본채 뒤편에 작은 별채를 짓는데 그 집을 ‘사위집’이라 부른다.”이는 고구려의 독특한 혼인 풍습인 ‘서옥제..
조선왕릉 ▲ 세종대왕과 왕비 소헌왕후의 합장릉(출처: 에듀넷) 서울에 살고 있다면 선릉역, 태릉선수촌, 정릉동 등의 지명을 들어본 적이 있을 거예요. 능(陵)은 무덤을 뜻하는 한자입니다. 왕릉이란 왕의 무덤이라는 뜻이겠지요? 우리나라에는 여러 시대의 왕릉이 있지만 그중 조선의 왕릉은 특별한 가치를 인정받아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됐어요. 조선의 왕릉에 대해 살펴봅시다. 조선 왕조1392년 고려 왕조가 막을 내리고 탄생한 조선 왕조는 1910년까지 무려 519년이라는 긴 세월을 이어갔습니다. 이처럼 하나의 왕조가 5백 년 이상 지속된 것은 우리나라 뿐 아니라 세계적으로도 보기 드문 경우입니다. 이처럼 긴 역사를 가진 조선 왕조에는 27대 왕과 왕비가 있는데, 이 왕족의 무덤을 조선왕릉이라고 해요. 이들 조선의 ..
표현의 자유와 명예훼손사이에서의 줄다리기 ■ 표현의 자유인가? 명예 훼손인가? 지난 2011년, 인기 개그 프로그램 코너에서 한 개그맨이 국회의원들의 모습을 풍자하였습니다. “국회의원이 되려면 선거유세 때 시장을 돌아다니며 할머니들과 악수만 해주면 된다.”며 관객들의 웃음을 자아낸 것이죠. 그런데 전 국회의원이 개그맨을 집단모욕죄로 고소하면서 사람들의 이목이 집중되었습니다. 당시 온라인에서는 표현의 자유를 침해한 것, 풍자도 못하는 세상이라는 반응이 쏟아져 나왔습니다. 결국 국회의원은 고소를 취하하면서 사건은 마무리되었죠. ▲ 표현의 자유와 명예훼손(출처: 에듀넷) 대한민국에서 표현의 자유는 공동체의 구성원이라면 누구든지 누릴 수 있는 권리입니다.어떤 형태로든 개인의 의사를 표현할 수 있기에, 궁극적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