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산학협력 (52)
교육부 공식 블로그
「2013년 교육역량강화사업」지원대학 최종 확정 - 기본적인 교육여건 및 성과 우수대학 82개교를 선정하고, 2,010억 지원 - 교육부(장관 서남수)는 7.31(수), 「2013년 교육역량강화사업」 지원대학을 최종 선정․발표하였습니다. 금년도「교육역량강화사업」은 총 150개 대학(분교 3개교 포함)이 신청하였으며, 이 중 기본적인 교육여건 및 성과가 우수한 대학 82개교를 선정하였습니다. 이들 대학 중 상위 72개 대학은 1단계 정량평가* 결과만으로 지원을 확정하여 1차 발표(’13.7.10)하였고, 차하위 대학인 18개교(유형별 각 2교)는 정량평가 지표에 대한 2단계 정성평가를 실시한 후, 정량평가(70%) 및 정성평가(30%) 결과를 종합하여 10개 대학을 2..
"교육부 장관, 제4차 아셈 교육장관회의 참석" - 서남수 교육부 장관, 「산학협력」주제발표 및 노르웨이 등과의 양자회담으로 한국 교육의 우수사례 공유 - - 말레이시아 한국학교 설립 출범식 만찬 참석해 관계자 격려 아시아․유럽간 유일한 고위급 교육협의체인 아셈(ASEM) 교육장관회의가 말레이시아(쿠알라룸프르)에서‘13.5.13~14 양일간 개최되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서남수 교육부장관이 참석하여, 13일 개최된 산학협력 세션의 아시아 대표 발제자로 나서, 한국의 산학협력 정책의 성과 및 한계와 향후 방향에 대해 논의하고 아셈을 통한 아시아․유럽간 산학협력 활성화를 제안하였습니다. ․(제1차) ‘08.5.5(월)~5.6(화), 독일 베를린 / 박종구 차관 ․(제2차) ‘09.5.13(수)~5.16(토)..
산학협력의 길잡이,「산학협력 업무매뉴얼」발간 - 현장 실무자의 업무 이해도 증대로 산학협력 정책의 안정적 추진 기대 - 교육과학기술부와 한국연구재단이 대학 산학협력 실무 현장의 업무 수행에 도움을 주기 위해「산학협력 업무매뉴얼 개정판」을 발간하였습니다. 산학협력 업무매뉴얼은 연구지원, 연구성과 관리, 산학연협력 계약 등 대학 본부와 다르고 다양한 특징을 갖고 있는 산학협력 업무를 일선 담당자들이 알기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제작되었습니다. 이번 개정 업무매뉴얼에는 2008년 산학협력 업무매뉴얼의 첫 출간 이래 산학협력 정책변화와 산학협력 범위의 확대에 따른 산학협력 업무의 변경 및 추가된 사항을 반영하여 이전 업무매뉴얼에 비해 많은 예시와 상세한 설명을 담아 산학협력단의 정의, 조직, 회계, 세무, 연구..
교과부, 대학의 산학협력 선도모델 확산에 적극 나서-「산학협력 선도대학(LINC) 육성사업」우수사례 발표회 개최 - 교육과학기술부가 산학협력 선도대학(LINC) 육성사업 선도모델을 조기에 발굴‧확산하기 위하여 “산학협력 선도대학(LINC) 육성사업(이하 LINC사업) 우수사례 발표회”를 8월 14일 한국연구재단 연구관 1층 대강당에서 개최합니다. 교육과학기술부는 LINC사업 참여 대학 선정을 위한 공고(’12.1.11) 이후 지역산업의 수요에 부응하는 인력양성과 기술개발을 통한 지역대학과 지역산업의 동반성장을 견인할 산학협력 선도대학 51개교와 산학협력 선도전문대학 30개교를 지난 3월에 선정‧발표한 바 있습니다. 이번 발표회는 LINC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대학의 우수한 산학협력 사례를 발굴·공유하여 L..
1. LINC 사업?? LINC (Leaders in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는산학협력선도대학 사업으로써, 대학과 기업 간 산학 협력을 통해 취업난 및 적성에 맞지 않는 취업을 줄이고교육 시스템을 개선하여 대학과 지역산업이 골고루 발전할 수 있도록 하는 사업이지요.이로서 대학의 경쟁력이 강화되고 지역 산업의 성장을 돕는 역할을 하게 됩니다. 지역에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기업에서 요구하는 우수인재를 양성하기 위해서는 지역기업과 대학이 긴밀히 협력해야 한다는 취지를 가지고 있습니다. 대학교 졸업반에 재학중인 기자로써는, 상대적으로 소외당하고 있는 지역의 기업들과,"지방대학교"라는 타이틀이 부정적으로 생각되고 있는 이 시점에서교육과학기술부의 LINC 사업은 정말 반가울 ..
1. 산학협력선도대학(LINC) 선정 및 육성 대학이 변하고 있다! 기업과 함께 맞춤형 교육과정을 마련하고 연구를 수행하는 ‘산학협력선도대학'이 선정되었습니다. 정부는 대학 50곳에 1,700억원을 지원하고자 합니다! 2. 산업단지 캠퍼스 운영 대학 산업현장에 더 가깝게! 지리적 위치 뿐만 아니라 제도까지 산업현장에 가깝게 다가가는 ‘산업단지 캠퍼스’가 올 봄부터는 3곳으로 늘어납니다! 산업단지 캠퍼스 운영대학 3. 계약학과를 통한 맞춤형 인재양성과 산학협력 중점교수의 채용 산업계의 고수를 교수님으로 모십니다! 대학의 산학협력을 이끄는 ‘산학협력 중점교수’. 특별한 만큼 임용 조건 또한 특별합니다. 산학협력 중점교수의 임용 조건에 대해 알려드립니다! 또한 기업의 맞춤형 인재양성을 위한 '채용조건형 계약학..
미국을 움직이는 힘, 실리콘밸리 미국 샌프란시스코 남쪽에 있는 실리콘밸리하면 무슨 생각이 나시는 지요? 무엇보다도 세계 벤처산업의 발상지이자 세계적인 산학연 협력 산업 클러스터로 유명한 곳입니다. 2차대전 이후 방위산업 기술, 반도체 기술, 컴퓨터 기술, 인터넷 기술의 총 4차례에 걸친 기술혁신 물결을 거치면서 실리콘밸리는 완성되었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이 곳 실리콘밸리 지역의 경제력만으로도 세계 10위권이라고 하니 놀라움을 금할 수 없습니다. 실리콘밸리는 미국 뿐만 아니라 전세계적인 기술혁신의 상징이 되었습니다. 미국 내 투자자본의 3분의 1 가량이 실리콘밸리에서 이뤄지고 있으며, 1인당 특허 수, 엔지니어의 비율, 모험자본의 투자 등의 면에서 미국 내 최고수준을 유지하고 있지요. 2008년 세계 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