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세계화 (7)
교육부 공식 블로그
세계화의 의미 ■ 지구의 하나의 마을로!옛날에는 다른 나라의 소식을 듣기 위해서는 직접 가거나 우편이나 신문을 이용해야 했고, 사람들이 입는 옷과 음식은 집이나 가까운 마을에서 만들어졌습니다. 지구 반대편에 있는 나라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아는 것은 상상조차 할 수 없었으며, 베트남에서 만들어진 옷을 입거나 미국에 살고 있는 사람에게 물건을 파는 것은 더더욱 불가능한 일이었습니다. ▲ 아랍에미리트에 진출한 여러 미국 기업들(출처: 에듀넷) 그러나 오늘날에는 거실에 앉아 텔레비전을 보면서 다른 나라의 주요한 소식을 한눈에 알 수 있고, 심지어 내가 그 일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통해 전 세계의 사람들에게 바로 알릴 수 있습니다. 또한 세계 곳곳에서 생산된 물건은 인터..
세계화의 나쁜 점 ■ 빠른 속도로 퍼지는 지병과 유해 물질 세계화로 인해 우리의 식탁과 생활에는 세계 여러 나라에서 생산된 식품과 물건이 등장하였습니다. 그런데 때로는 이렇게 여러 국가로 판매되는 상품이 질병이나 해충과 같은 유해한 물질을 옮기는 경로가 되기도 합니다. 선진국에서 생산되는 제품의 경우 규제가 엄격하고 감시가 철저하기 때문에 비교적 제품이 안전하게 생산됩니다. 그러나 개발도상국은 선진국에 비하여 규제가 느슨하기 때문에 제품의 질을 보장받기가 어렵습니다. 선진국의 많은 기업들이 최대한 많은 이윤을 얻기 위해 개발도상국으로 공장을 옮기면서, 위생이나 소비자의 안전이 무시된 채 생산된 제품이 세계 시장으로 유통되어 피해를 보는 사례가 생기기도 합니다. 일례로 지난 2008년에는 중국에서 발생한 ..
세계화의 좋은 점 ■ 다른 나라에서 만든 다양한 물건을 살 수 있어요. ▲ 세계화로 인해 쉽게 접할 수 있는 다른 나라의 제품들(출처: 에듀넷) 우리가 세계화의 장점을 가장 실감하는 순간은 물건을 살 때입니다. 오늘날에는 내가 구입하고자 하는 물건이 우리나라에서 생산되지 않는 것이라도 가까운 슈퍼마켓이나 대형 마트, 백화점 등에서 쉽게 구할 수 있으며, 점점 더 다양한 제품을 접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대형 마트에 가면 열대 지방에서 기른 각종 과일과 케냐나 브라질에서 재배된 커피, 스위스의 초콜릿, 독일의 가전제품 등 다른 나라에서 생산된 수많은 제품들을 구입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현상은 모두 세계화로 인한 활발한 국제 무역의 결과물입니다. 심지어 인터넷을 활용하면 집 밖에 나가지 않고도 내가 필요로..
농업의 세계화는 나비효과를 발생시키기도 해요 식당에 가면 농산물 원산지를 표기해둔 안내판을 본 적 있나요? 한국산이 아닌 쌀 등의 농산물도 많답니다. 우리 식탁 위에는 이미 외국에서 수입된 농산물이 많이 올라오고 있어요. 하지만 부작용도 큰데요. 부작용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아요. ■글로벌 농업의 문제점 세계 여러 나라의 교류가 활발해지고 많은 영향을 주고받는 오늘날에는 농업의 형태도 변화하고 있어요. WTO 체제로 인해 농산물 또한 대량으로 거래되는 무역 상품이 되었답니다. 예전에는 가까운 농촌에서 생산하고 도시로 이동해서 판매되는 것이 일반적이었지요? 하지만 세계화 시대에는 다국적 곡물 회사들의 등장으로 농산물을 대량 생산하는 체제로 변화했어요. ▲ 과거 농업의 모습 (출처 : 에듀넷) ▲ 글로벌 기업..
“글로벌 교육의 내일을 그리다!”- 교과부, 2012 글로벌 교육심포지엄 개최- 교육과학기술부는 ‘12년 10월 25일(목)『2012 글로벌 교육심포지엄(이하, 심포지엄)』을 서울 롯데호텔에서 개최하였습니다. 글로벌교육심포지엄은 교과부가 국가간 글로벌교육정책의 공유를 통해 글로벌 교육에 대한 관심을 환기시키고 국제적 교육협력네트워크를 구축하고자 2010년부터 매년 개최해 오고 있는 국제 행사로서, 올해는 “글로벌 교육의 수요와 가능성”이라는 주제로 국내·외 교육관련 전문가들이 한자리에 모여 글로벌 교육 실천 사례를 발표하고, 변화하는 교육환경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뜻 깊은 자리가 되었습니다. [2010-2011 글로벌 교육심포지엄 주제] - 2010년 : 국제교육인증기관의 역할과 상..
[해외 과학기술 현장을 가다!] 1.한미과학협력센터 ‘지구촌 시대’, ‘국제화’, ‘세계화’라는 단어들은 이제는 어느 나라에서도 어색하지 않습니다. 그만큼 어느 나라에서도 다른 나라 사람들을 쉽게 볼 수 있으며 다른 나라와 교류 없이는 살기가 힘들어졌다는 것이지요. 당장 오늘 우리가 입고 사용하는 물건 중에도 해외에서 생산되어 무역거래를 통해 수입된 것이 많이 있습니다. 이처럼 지구촌의 세계화는 생산의 효율성을 높이고, 소비자에게 저렴한 가격에 공급하는 데 필요한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과학기술 분야도 국가 간의 교류와 국제협력이 꼭 필요한 분야 중의 하나입니다. 다들 아시다시피 우리나라는 미국, 중국, 일본, 유럽 국가 등 선진국과의 협력이 활발한데요. 특히, 미국과의 과학기술 협력이 가장 두드러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