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세포 (6)
교육부 공식 블로그
무성 생식과유성 생식의 비교 ■ 무성 생식생식이란 모든 생물이 자신을 닮은 자손을 만들어 내는 것을 뜻합니다. 생물의 수명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종족을 유지하기 위해 자기와 닮은 새로운 개체를 만들어 냅니다. 이렇게 생식은 생물이 무생물과는 다른 특징으로, 생물은 생식을 통해 개체수를 증가시키고, 부모의 형질이 자손에게 전달되는 유전이 일어납니다. 생식은 방식에 따라 유성 생식과 무성 생식으로 나누어집니다. 무성 생식은 다른 개체의 유전 물질의 개입 없이 일어나는 생식입니다. 즉, 생식을 전담하는 장기나 세포의 형성 없이 자신과 똑같은 유전자를 가진 개체 수의 증가가 일어난다면 무성 생식입니다. 또한, 무성 생식은 생식 세포 없이 자손을 만드는 생식 방법입니다. 분열법, 출아법, 영양 생식, 포자 생식..
단세포 생물 대부분의 생물의 몸체는 무수히 많은 세포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다세포 생물은 이러한 무수히 많은 세포들이 각각의 위치에서 제 역할을 올바로 수행할 때, 생명을 유지해 갈 수 있습니다. 반면, 하나의 세포만으로 이루어진 생물도 있습니다. 단세포 생물이 그것입니다. 단세포 생물은 세포 하나가 생명 유지에 필요한 모든 기능을 수행합니다. 원핵생물, 원생생물, 균류 등이 대부분 단세포 생물입니다. 거의 모든 단세포 생물은 맨눈으로는 볼 수 없을 정도로 매우 작지만, 맨눈으로 볼 수 있는 정도의 크기를 가진 단세포생물도 있습니다. ‘크세노피오포어(Xenophyophore)’와 ‘시링감미나 프라길리시마(Syringammina fragilissima)’라는 복잡한 이름을 가진 단세포 생물은 크기가 큰 단..
세포 소기관 세포는 생물체를 구성하는 기본 단위입니다. 창문 밖으로 보이는 나무도 세포로 이루어져 있고, 우리 몸도 세포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여러분의 손등을 한번 들여다보세요. 무수히 많은 가로줄, 세로줄, 대각선줄이 보입니다. 세포가 보이는 것 같으시나요? 세포는 매우 작기 때문에 맨눈으로는 볼 수가 없습니다. 약 10~100㎛의 크기를 가지는 세포는 현미경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데, 이 작은 세포 속에는 더 작은 여러 가지 기관들이 들어 있습니다. 이렇게 세포 안에 들어 있는 작은 기관들을 ‘세포 소기관’이라고 합니다. 그렇다면, 세포 소기관에는 어떤 것들이 있으며 그것들은 세포 안에서 어떤 역할을 할까요? 함께 알아봅시다. 세포핵‘세포핵’은 모든 진핵생물의 세포에서 찾을 수 있는 세포 소기관으로,..
거울 뉴런 ■ 따라하는 역할을 하는 신경 세포, 거울 뉴런하품은 왜 주변 사람에게 전염되는 것일까요? 오래 사귄 연인들은 왜 서로의 행동을 따라 하는 것일까요? 그것은 바로 ‘거울 뉴런(Mirror neuron)’ 때문입니다. 뉴런(neuron)은 신경계를 구성하는 기본 단위로, 신체의 한 부분에서 다른 부위로 신경 신호를 전달합니다. 각각의 뉴런은 수천, 수만 개의 다른 뉴런들과 접촉할 수 있습니다. 이 접촉 부위를 ‘시냅스’라고 부르며, 뉴런이 다른 뉴런과 소통하는 수단입니다. 거울 뉴런(Mirror neuron)이란 무엇일까요? 거울 뉴런은 이름처럼 다른 사람의 행동을 거울처럼 반영한다고 해서 붙여졌습니다. 특히 특정 움직임을 행할 때나 다른 개체의 특정 움직임을 관찰할 때 활동하는 신경세포입니다...
생물을 구성하는 기본 단위인 세포는 어떻게 발견되었나? 생물을 구성하는 기본이 되는 구조를 세포라고 합니다. 어떤 생물은 세포 하나로 구성되어 있고, 어떤 생물들은 매우 많은 세포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인간은 대략 100조 개 정도의 세포로 구성되어 있다고 합니다. ■ 세포 발견의 역사세포라는 이름은 1665년 로버트 훅이 『마이크로그라피아(Micrographia)』라는 책에서 처음으로 사용한 단어입니다. 로버트 훅은 코르크가 물에 뜨는 이유를 밝히기 위해서 현미경을 이용하여 코르크를 관찰하였습니다. 훅은 코르크의 단면을 현미경으로 관찰했을 때 보이는 엄청난 수의 작은 구멍을 세포, ‘cell’이라고 불렀습니다. cell은 라틴 어로 작은 방을 뜻하는 cellua에 그 어원이 있다고 합니다. 로버트 훅은..
다시 깨어날 날을 기다리는 냉동인간- 죽음을 앞둔 사람의 희망, 냉동인간 - 사람들은 많은 병을 안고 사는데요. 의학이 발달하며 사람들의 생명은 연장되었지만 그만큼 많은 병도 등장했습니다. 그러나 아직 현대의학으로 고칠 수 없는 병도 있는데요. 불치병으로 시한부 인생을 판정받은 사람 중 더 발달할 기술을 믿으며 냉동인간을 선택하기도 합니다. 혹시 영화 을 보셨나요? 거기에는 냉동감옥이 등장하는데요. 죄수들을 얼려서 가둬놓았다가 다시 살려내죠. 그렇다면 현실에서 냉동인간이 가능할까요? ~ * 냉동인간 * ~ 먼저, 냉동인간은 무엇을 말하는지부터 살펴보겠습니다. 냉동인간은 인간을 냉동상태로 보존하는 것을 말합니다. 숨이 멎었더라도 세포가 살아있다면 다시 소생할 수 있다는 이론에서 시작되었습니다. 액화 질소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