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안전성 (4)
교육부 공식 블로그

◈ 시설 및 실내외 환경 안전 등 ‘교육시설안전 인증’을 통한 교육시설 안전성 검증 ◈ 학교 밖 건설공사도 착공 전 ‘교육시설 안전성평가’를 의무적 실시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유은혜)는 「교육시설 등의 안전 및 유지관리 등에 관한 법률」의 후속 조치로 「교육시설안전 인증 운영 규정」및「교육시설 안전성평가 운영 기준」고시를 제정하여 운영한다고 발표하였다. 이번에 제정된 교육시설안전 인증을 통해 교육시설 전반에 대한 안전성 확보 여부를 검증하고, 이를 바탕으로 시도교육청과 학교는 취약요소에 대한 개선 방향을 수립하도록 하였다. 아울러, 건설사업자가 학교 내·외부 건설공사 전에 안전성평가를 실시하여 교육시설의 균열과 침하 방지, 통학로 안전 확보 등 사전 조치하도록 하였으며, 시도교육청과 학교는 건설사..

학교 석면해체·제거업체에 대한 관리를 강화하겠습니다. 2019년 10월 17일 목요일 연합뉴스TV(정주희 기자)에서 보도된 '‘무경험 업체’가 학교 석면제거, 교육부 뭐하나' 보도내용에 관련하여 알려드립니다. 동 보도내용에 대한 설명 학교 석면해체·제거업체 선정은 지방계약법에 따라 시도교육청이 입찰·계약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교육부는 기존의 가격위주 선정방식을 보완하고자, 안전성 평가 등급을 반영한 “학교시설 석면해체제거 적격심사 세부기준(안)”을 배포하였습니다.(‘18. 10월) ※ (기존) 입찰가격 위주 → (개선) 안정성평가 등급, 시공경험 등 반영 이에 따라, 시도교육청은 ‘19년 여름방학부터 지역여건 등을 반영한 적격심사 세부기준을 마련하여 시행 중에 있으며, 적격심사기준 시행 후 일정규모 이상..
원자력의 강점과 단점을 알아봐요 원자력이 궁금해요! 원자력 I 안전성 I 원자력교육 I 원자력골든벨 I 우라늄최근 집중 호우, 가뭄, 한파, 폭설 등 전 세계적으로 기상이변을 초래하고 생태계의 변화를 가속하는 지구온난화 때문에 온실가스를 감축할 수 있는 청정성, 경제성을 갖춘 에너지가 필요합니다. 특히 우리나라와 같이 에너지의 95%를 수입하는 상황에서는 무공해 에너지를 개발하여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의미에서 [원자력]이 미래 에너지원으로써 주목받고 있습니다. 하지만 [원자력]은 일본의 '후쿠시마 원전 사태'로 인하여 '위험하다'는 인식이 국민에게 심어졌습니다. '위험성'을 극복하여 '안전성'이 담보된다면 [원자력]은 미래의 에너지원으로써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 에너지로서의 [원자..
방사선?! 위험하기만 할까? 얼마전 전례없는 지진으로 일본 후쿠시마에서 원자력발전소 사고가 발생했다. 이로 인해 어느때 보다 방사선에 대해 일반 국민들이 관심이 많다. 이웃 국가에서 발생할 사고로 인해 의도치 않게 방사선 피폭이 될까봐 두려워하는 국민이 대다수이다. 또한 방사선은 눈이 보이지 않고 냄새도 나지 않기에 국민들은 정부와 전문기관의 발표에 더욱더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물론 후쿠시마 원자력발전소 사고 후 방사능 비로 인한 피폭 등으로 민감해 있는 국민에게 단순히 "안전하다"라고만 되풀이하는 것은 오히려 국민들의 이해를 이끌어 내기에 부족했다. 보다 많은 정보를 공개하여 객관적인 기준에서 "사람 또는 환경에 따라 노출이 많이 될 수 있으니 이런 점에서 주의하라." 또는 "연간 피폭된 량이 얼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