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온돌 (5)
교육부 공식 블로그
추운 겨울 생각나는뜨끈뜨끈한 너 '온돌' 우리 조상들의 지혜가 담긴 효율적인 난방 방식 온돌.온돌에는 어떤 원리가 숨어있는지, 현재는 어떤 모습으로 이어져오는지온돌에 대한 모든 것을 카드뉴스로 전해드립니다.
온돌로 보는문화의 특징 ■ 우리의 전통 문화, 온돌우리나라의 전통 문화는 다양하며 세계에 자랑할 만한 것들이 많습니다. 하지만 한복을 입는 문화가 사라진 것처럼 우리나라 사람들이 과거의 전통 문화를 버리고 서양식을 따라가는 풍조가 주류를 이루게 된 것이 사실입니다.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도 꾸준히 이어져 온 문화가 바로 온돌이며, 온돌은 실용적이고 과학적인 문화입니다. 온돌의 과학은 서양보다 1000년 이상을 앞선 발명이며 경제적이며 효율적인 난방 방식입니다. 온돌은 따뜻하게 데운 돌이란 뜻으로 에너지를 절약하면서 쾌적한 난방을 하는 방법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아무리 서양식 아파트와 주택에 살고 있어도 온돌식 주거 문화를 버리고 신발을 신고 생활하는 한국인은 없습니다. 서양식 벽난로나 히터는 전체 열의 2..
세계가 주목하는 우리의 온돌 한국형 온돌식 냉난방 채택한 모델, 유럽 솔라 주택 콘테스트 우승 - 에이빙 뉴스 2010.09.01 아프리카에 한국 온돌 깔린다 - 재경일보 경제 2010.10.17 키르기스스탄 ‘좔 아티스’ 온돌 채택 등 한국형 아파트 문화 전파 - 동아일보 2011.03.23 최근 참살이(웰빙) 열풍으로 온돌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고, 온돌의 가치를 재조명하려는 노력이 상업적으로나마 시도되고 있다. 그러나 정작 전통 구들의 장점을 살려 복원·발전시키려는 노력은 미흡한 감이 있다. 주거형태와 온돌의 역사 거주지의 기후와 거주지에서 구하기 쉬운 건축 재료를 기본으로 하고, 여기에 민족 고유의 미적 감각이 가미되어 독특한 주거 문화가 발현되기 마련이다. 선사시대의 주거형태를 보면 추운 북방은 ..
연일 지속되는 매서운 추위에 전국이 꽁꽁 얼어붙었습니다. 이는 북극의 기온이 평년을 훨씬 웃돌아 차가운 공기가 중위도까지 내려와 생겨난 현상이라고 합니다. 사람들은 불쑥 찾아온 한겨울 추위로 창틈에 문풍지를 바르고, 내의를 챙겨입는 등 단단히 대비를 하고 있습니다. 서둘러 귀가하고 보일러를 아무리 가동해도, 채워지지 않는 온기. 기나긴 겨울 밤이 한없이 길게 느껴지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추위는 추위로 이겨보자' 는 '이한치한(以寒治寒)'의 마음으로 완전무장을 한 저는 강원도 어느 특별한 산골마을을 찾았습니다. 금방이라도 바람에 날아가 버릴 것 같은 너와지붕. 그 지붕 아래 백여명 남짓의 주민들이 오손도손 모여 꿈을 품고 살고 있는 바로 강원도 삼척의 신리 너와마을 입니다. '너와지붕'은 초등학교 시절 ..
쓰레기 더미에서 건저올린 우리의 위대한 유산 1. '동궐도' 속 궁중온실 ‘창순루’ 조선의 두 번째 궁궐 창덕궁. 고려대학교 박물관에 소장된 동궐도를 살펴보면, 지금은 유실되어 창덕궁 후원으로 진입하는 길이 되어버린 '중희당' 왼쪽으로 ‘창순루’라는 건물이 있다. 동궐도에 그려진 창순루(蒼荀樓)를 보면 반 타원형체의 둥근 지붕, 창살이 없는 문과 섬돌이 놓여 있는 쪽마루가 있고 마당엔 붉은 꽃이 핀 화분이 놓여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이 창순루는 실내 온도를 데워주는 벽장이라는 가온 시설을 갖춘 독특한 목조건물로 궁중에서 겨울철 대전이나 왕대비전에 꽃을 피워 올리기 위해 운영되었던 정조 때 온실로 확인되었다. 동궐도(東闕圖): 국보 249호. 경복궁의 동쪽에 있는 창덕궁과 창경궁을 통칭 ‘동궐’이라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