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우수기관 (10)
교육부 공식 블로그

2023년 공공부문 인적자원개발 우수기관으로 48개 공공기관 인증 및 최우수기관 4개 선정 인증기관에 인증패 수여 및 3년간 정기근로감독 면제, 최우수기관에 교육부장관상 추가 수여 담당자 연수 및 기관별 인적자원개발 상담 제공하여 지속적인 성장 견인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이주호)와 한국직업능력연구원(원장 류장수)은 9월 19일(화), 세종국책연구단지에서 ‘2023년 공공부문 인적자원개발 우수기관 인증 수여식’을 개최한다. 올해 공공기관 인적자원개발 우수기관 인증(Best-HRD)에 총 55개 기관이 참여하였으며, 이 중 48개 기관이 인증기관으로 선정되었다. 또한, 48개 인증기관 중 역량 중심 인사제도와 구성원 역량 제고를 위한 교육훈련 제도가 탁월한 재단법인 경북테크노파크,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

산학협력 활동성과 및 계획 평가를 통해 최종 35개 기관 선정 2년간 여신금리 인하 등 금융혜택 제공 및 정부지원사업 신청 시 가점 부여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이주호)와 대한상공회의소(회장 최태원)는 5월 9일(화)에 35개 기관을 산학협력 우수기관으로 인증한다고 발표한다. 올해 처음으로 도입한 ‘산학협력 우수기관 인증제’는 대학생 현장실습, 산학협력 교육과정 운영, 기술이전 등 산학협력 활동을 통해 실적점수(마일리지)를 적립한 기관 중 우수기관을 선정하여 인증을 부여하는 제도이다. 산학협력 우수기관으로 인증 받은 35개 기관은 여신금리 인하, 각종 수수료 할인 등 금융혜택과 함께 정부부처 사업 신청 시 가점 부여 등의 우대를 받을 수 있으며, 인증효력은 선정일로부터 2년간 유지된다. 이번 산학협..

□2022년 공공부문 인적자원개발 우수기관 인증수여식 개최 □ 최우수기관으로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광주광역시 남구청, 양주도시공사, 서울올림픽기념국민체육진흥공단 4개 기관 선정 교육부와 한국직업능력연구원은 ‘2022년 공공부문 인적자원개발 우수기관 인증제’ 인증수여식을 9월 28일(수), 세종국책연구단지에서 개최한다. 올해에는 총 46개 인증기관(신규 17, 재인증 29)에 인증서와 인증패를 수여하며,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광주광역시 남구청, 양주도시공사, 서울올림픽기념국민체육진흥공단 4개 기관이 최우수기관으로 선정되었다. 일시/장소 2022.9.28.(수) 14:00~15:30 / 세종국책연구단지 주요 내용 46개 인증기관에 인증서와 ..

□ 인적자원개발 우수기관 신청·접수: 4월 7일(목)~5월 31일(화) □ 우수기관에 3년간 유효한 인증 수여, 정기근로감독 면제 등 혜택 부여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유은혜)와 고용노동부(장관 안경덕)는 ‘2022년도 인적자원개발 우수기관 인증(Best HRD)’ 사업을 4월 7일(목) 공고한다. 사업 신청 기간은 4월 7일(목)부터 5월 31일(화)까지이며, 공공부문과 민간부문(대기업, 중소기업, 선취업 후학습 기업)으로 나눠 진행된다. 특히, 올해부터 민간부문은 온라인 접수*로도 신청·접수가 가능하며, 기존처럼 한국산업인력공단 지부·지사를 통한 우편 및 방문접수도 가능하다. * www.hrd4u.or.kr 참조 (인적자원개발 우수기관 인증 페이지>온라인 신청>신청서 작성) 한편, 2006년부..

◈ 코로나 상황 대응 비대면 상담 지원 확대, 교육활동침해 예방 중점 교육활동보호 모델 정립, 교육활동보호 통합적(원스톱) 지원 등 성과 ◈ 교원치유지원센터를 중심으로 교원의 심리적 회복 지원프로그램 지속 확대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유은혜)는 전국 17개 교육청의 교원치유지원센터(이하 지원센터)의 기반 시설 구축 현황, 프로그램 운영의 우수성 등을 평가한 결과, 강원‧경남‧인천교육청(가나다 순)을 2021년 우수기관으로 선정하였다고 12월 10일(금)에 발표했다. ※ 우수기관 선정 현황: (2017)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 (2018) 부산, 광주, 경기, 강원, 충북, 제주 (2019) 부산, 인천, 광주, 충북, 전남, 경남 / (2020) 서울, 대구, 경남 교원치유지원센터는 ..

◈ 3월 30일부터 5월 31일까지 인적자원개발 우수기관 신청‧접수 ◈ 2021년도부터 민간부문 인증기준 및 관리 강화, 심사지표 개선 운영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유은혜)와 고용노동부(장관 이재갑)는 「2021년도 인적자원개발 우수기관 인증사업(BestHRD)」을 3월 30일(화) 공동으로 공고하고, 공공부문과 민간부문(대기업, 중소기업, 선취업-후학습 우수기업)으로 나누어 5월 31일(월)까지 신청을 받는다. 올해는 코로나19로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되고, 비대면 문화가 확대되어 사회 전반에 피로가 누적됨에 따라, 직장 구성원이 사회 변화의 흐름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배려하여 ‘일과 삶이 슬기롭게 공존하는 사람 중심의 일터 문화 확산’을 기본방향으로 추진한다. 특히, 민간부문에서는 비..

◈ 2020년 공공기관 인적자원개발 우수기관 인증제 사업 결과 발표 ◈ 한국동서발전(주), 광주광역시도시철도공사, 국립 강릉원주대학교, 공군교육사령부 분야별 최우수기관으로 선정 □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유은혜)와 한국직업능력개발원(원장 나영선)은‘2020년 공공부문 인적자원개발 우수기관 선정 결과’를 발표한다. ※ 공공부문 인적자원개발 우수기관 인증제(이하 Best HRD)는 인적자원개발․관리가 우수한 공공기관에게 정부가 인증을 부여하는 제도 ◦ 지난 3월 사업을 공고하고 8월까지 공정한 심사절차를 거쳐, 능력중심 인재채용, 역량기반 인사관리 기획 및 재직자 교육훈련 기회 확대 등 인적자원개발에 모범이 되는총 49개 공공기관(신규20개, 재인증29개)을선정하였다. ☞ [붙임 2] 참조 ※ 2006..

2020년 인적자원개발 우수기관 인증(Best HRD) 사업 공고 ◈ 신규 심사지표 추가 등 인증 심사 운영 체계를 개선하여 운영 ◈ 선취업-후학습(고졸채용 후 진학 등 후학습 지원) 우수기업 분야 신설 □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유은혜)와 고용노동부(장관 이재갑)는 공동으로 올해 3월 3일(화) 사업을 공고하고, 5월 25일(월)까지 공공·민관 기관들로부터 신청을 받아 『2020년도 인적자원개발 우수기관 인증 사업』을 운영한다. □ 올해 공공부문은 4차 산업혁명시대에 따른 사회 변화를 반영하고 인증 심사를 더욱 체계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역량 중심의 신규 지표*를 추가하고 인사·노동 법과 관련한 비위·위반 사실에 대한 심사기준을 구체화**한다. ** 역량기반 인사관리 기획, 역량모델 계획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