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유아교육 (38)
교육부 공식 블로그

언론사명 / 보도일시 : 서울경제(구경우기자 외 2명) / 2020.7.23.(수) 조간 제목 :「초저출산인데,,, 올 교육부 4,209명 증원, 박정부 땐 692명 < 동 보도내용에 대한 설명 > 2020년 교육부의 정원이 증가한 주요 이유는 유아교육의 국가 책무성 확보와 장애학생 학습권 보장을 위한 유치원 및 특수교사의 증원, 법정정원을 충족하지 못하고 있는 보건ㆍ영양ㆍ사서․상담교사의 증원에 따른 것입니다. ※ 2020학년도 법정정원 확보 현황 : 유치원(78%), 특수교사(82.0%), 보건교사(81.1%), 영양교사(60.7%), 사서교사(38.7%), 전문상담교사(24.9%) 교육부는 미래사회 환경변화와 교육의 질 제고를 위해 다양한 수요를 고려하여 적정 규모의 정원을 관리해 나갈 것입니다.

✔ 교육의 국가책임 강화 : 유아교육 공공성 강화, 온종일 돌봄체계 구축, 고교무상교육 등 학비부담 경감 ✔ 희망 사다리 복원 : 대입 공정성 제고, 고졸 취업 활성화 ✔ 고등.평생 교육 혁신 : 평생학습 활성화, 대학 혁신지원 ✔ 초.중등 미래교육 발전 #정부3주년 #교육부 #교육공공성 #교육희망사다리 #평생학습 #미래교육

유아부터 초등까지 학부모가 안심하는 책임 교육을 만들어갑니다! [2020년 교육부 업무계획 - 책임 교육 편] 유아교육의 공공성과 건강 안전관리 책임을 강화하겠습니다. 학습-안전-돌봄 전 영역에서 초등 1학년을 책임 지도하겠습니다. - 입학 초기 단계 기초 학력을 튼튼하게 지원합니다. - 등하굣길 어린이보호구역 내 교통안전시설과 보행로를 만듭니다 - 방과 후 돌봄 공백에 대한 학부모님들의 우려를 해소합니다. 교육부는 학부모들이 자녀를 안심하고 맡길 수 있는 교육시스템 구축을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올해부터 유아교육 투명성·공정성 더 강화된다 - 생활적폐대책협의회, '유치원 3법', '고등교육법' 개정 등 유아·청소년기 교육 분야 생활 속 반칙과 특권 해소 제도개선 올해부터 개정된 ‘유치원 3법(유아교육법, 사립학교법, 학교급식법)’과 ‘고등교육법’이 시행돼 유아·청소년기 교육 분야의 투명성과 공정성이 더욱 높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반부패 정책총괄기구인 국민권익위원회(위원장 박은정, 이하 국민권익위)를 중심으로 관계부처가 참여하는 ‘생활적폐대책협의회(의장 이건리, 이하 협의회)*’는 입시, 학사관리 등 공교육에 대한 신뢰를 높이고, 모든 유아가 양질의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교육 분야 생활 속 반칙과 특권(생활적폐)을 해소하기 위한 제도개선을 추진해 왔다. * 국민권익위원회 부위원장 겸 ..

유치원 3법의 통과로 유아교육 현장의 확실한 변화를 기대합니다. 국민이 바라는 유아교육 미래상을 꼼꼼히 준비하겠습니다. < 유치원 3법 개정 내용 > - 유치원 교비의 관리감독 기능 강화 - 질 좋은 유치원 급식 제공 - 유아의 학습권 보호 강화 #유치원3법 #학부모 #유치원 #유아교육 #유치원교비 #급식 #유아 #학습권 #교육부

유아교육 국가책임 확대를 위해 국공립유치원을 확대해 나가겠습니다. 2020년 1월 17일 금요일 조선일보(유소연 기자)에서 보도된 '사립유치원 폐업땐 공립 전환? 불안한 학부모’ 보도내용에 관련하여 알려드립니다. 동 보도내용에 대한 설명 교육부는 문재인 정부 핵심 국정과제인 ‘유아교육의 국가책임 확대’에 따라 국·공립유치원 확충(취원율 40%)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 국공립유치원 학급 수(개) : (’17)10,395 → (’18)10,896 → (’19)11,889 지난 ‘18년「유치원 공공성 강화 방안(10.25)」의 국․공립유치원 다양화 모델의 일환으로 공립유치원 선호도가 높은 지역, 저소득층 밀집지역 등에 우선하여 ‘매입형 유치원’*을 설립하고 있습니다. 이는, 기존에 운영 중인 사립유치원을..

국공립유치원 다양화 모델로 매입형 유치원을 공립유치원 선호도가 높은 지역, 저소득층 밀집지역 등으로 우선 설립•확대해 나가고 있습니다. #교육부 #사이다 #사실은이렇습니다 #유아교육 #국가책임 #국공립유치원 #확대 #선호도 #저소득층 #통학버스

2020년 교육부 주요정책 개선사항 (44건)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유은혜)에서는 2020년도의 교육부 주요정책 개선사항 44건을 발표했다. □ 유아 및 초중등 교육 분야 (18건) 정책명 현행(’19년) 개선 및 신규 추진사항(’20년) 문의처 ‧ 고등학교 무상교육 실시 ‧ 고3학년 도입(’19.2학기~, 47만 명) - 입학금·수업료·학교운영지원비·교과서비 지원 (연간 약 160만원) ‧ 고2학년까지 확대 시행(’20.3~, 88만 명) 교육복지정책과 ☏044-203-6517 ‧ 누리과정 지원 단가 인상 ‧ 유아교육의 국가책임 확대를 위한 어린이집 누리과정 국고 지원 - ’19년 어린이집 누리과정 국고분 : 1조 9,812억(100%) ‧ ’20년 누리과정 지원단가 인상 및 어린이집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