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적성 (29)
교육부 공식 블로그
찾아가는 필통톡 시즌 3 돌잡이를 하는 아기부터 수능을 준비하는 고등학생에 이르기까지, 자녀를 둔 부모님이라면 공통으로 가지게 되는 질문이 있습니다. 그것은 바로 ‘우리 아이, 무엇을 잘할 수 있을까?’ 하는 궁금증인데요. 부모로서 아이가 자신의 적성과 흥미를 파악해 후일 본인에게 맞는 직업을 가지고 행복한 삶을 사는 것이 가장 큰 기쁨일 것입니다. 이를 위해 학교에서도 긍정적인 변화를 시도하고 있습니다. 어느 누구, 어떤 재능도 놓치지 않는 미래 인재 교육으로 우리 아이들이 스스로 가치 있는 일을 하면서 행복하게 살 수 있기를 바라며, 오늘도 긍정의 변화는 계속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학교의 변화를 공유하고 우리 아이들의 행복을 위해 함께 고민하는 자리가 열렸습니다. 무더위가 온 세상을 달구는 날씨만큼이..
대학교 입시처럼 중학교에서도 각자의 적성을 좀 더 일찍 파악하고 준비하는 학생들에게는 고등학교 입시가 있는데요. 방학을 맞아 본격적인 고등학교 입시 전형이 시작되었습니다. 그런데 언젠가부터 고등학교는 일반학교 이외에도 무척 다양해지고 있답니다. 이번 기사는 적성에 따라 선택 가능한 고등학교 진학을 앞두고 있는 중학생들에게 꼭 필요한 내용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학생들의 적성에 따라 선택이 가능한 고교 다양화 고교 다양화에 대해 들어보셨나요? 특목고, 특성화고, 자사고, 자율고 그리고 일반고까지 청소년 자녀가 있는 가정과 학교에서는 많이 들어보셨던 학교 분류 이름인데요. 하지만 비슷하면서도 다른듯하여 정확하게 각 학교의 특성에 대해 알고 있는 분들은 많지 않으신 것 같아요. 그래서 준비하였습니다! 고등학교 ..
며칠 전 교과부가 한국직업능력개발원에 의뢰하여 진로진학상담교사가 배치된 고등학교의 학생과 학부모를 대상으로 조사한 '2011년 학교 진로교육 현황조사 결과' 발표가 있었습니다. 예비 고1인 저에게는 앞으로의 진로에 대해 한참 고민하고 있는 시기라 그런지 굉장히 관심이 가는 내용이었는데요, 뜻밖에도 고등학생이 선호하는 직업 압도적 1위는 '교사'로 나타났습니다. 그리고 그 이유는 '안정적'이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교권이 바닥에 추락했다고 연일 언론에 기사화되고 있는 요즘 분위기에서도 안정적이라는 이유로 교사를 선호직업으로 선택한 것은 그만큼 미래의 삶에 대한 불안감이 작용했을 거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한편, 학부모가 원하는 직업 1위는 공무원이었으며 그다음 근소한 차이로 '교사'가 차지했습니다. 학생들의..
요즘은 자신의 능력을 알리기 위해서는 다른 사람들 앞에서 '면접'이라는 것을 꼭 해야하고, 성적만큼이나 중요시 되고 있는 것이 '토론'이라는 과정이다. 그 과정을 통과해 높은 점수를 얻어야지만 좋은 중학교, 고등학교, 대학교의 입학과 취업도 가능하다고 한다. 그러기 위해서 많은 초등학생부터 성인에 이르기까지 '독서'나 '웅변'같은 사설기관을 이용하기도 하는 것 같다. 하지만 누구나 적성이라는 것도 있고, 나같은 초등학교 6학년 남자아이들 같은 경우는 앉아서 하는 지루한 학습은 별로 효과가 없는 것 같다. 난 수줍음이 많고 활동적이지 못한 성격이다. 물론 다른 친구들 앞에서 내가 먼저 하겠다고 나서거나 말을 조리있게 하는 것은 꿈도 꾸지 못할 성격이다. 내가 유일하게 혼자서도 아무말도 하지 않고 할 수 있..
안녕하세요. 아이디어 팩토리의 낭만GO양이 입니다. ^^ 벌써 막바지를 향해 가는 여름방학을 잘 보내고 계신가요? 곧 개학을 하면, 얼마지나지 않아 고등학교 진학을 앞둔 학생들은 입학 원서를 준비해야 하겠지요. 최근 '고교 다양화' 정책이 추진되면서 학생들 각자의 적성을 살릴 수 있는 선택의 폭은 넓어졌지만, 막상 진학을 앞둔 예비 고등학생들의 고민은 그만큼 더 깊어진 것 같네요. 여러분의 '행복한 고민'에 조금이나마 도움을 드리고자, 여니연 기자님의 '혜성국제컨벤션고등학교' 소개에 이어 IT분야 특성화고교인 '선린인터넷고등학교'를 소개하고자 합니다. '미래를 디자인하는 교육' 이라는 슬로건을 내세운 선린인터넷고는 '학교란 공부 외의 적성을 가진 학생들까지도 즐겁게 자기 개발을 이룰 수 있는 환경이 되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