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문대학 (62)
교육부 공식 블로그

고숙련 전문기술인재 양성을 위한 전문기술석사 7개 교육과정 신규 인가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이주호)는 6월 14일(수), 2024학년도 전문대학 전문기술석사과정(7개교 7개 교육과정, 정원 103명 규모) 인가 결과를 발표한다. 교육부는 이론 중심의 일반대학원과 차별화하여 직무·기술 중심의 분야별 고숙련 전문기술교육을 실시하기 위해 2022년 최초로 전문기술석사과정을 도입하였으며, 현재 14개 전문대학에서 23개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전문기술석사과정은 참여자 종합만족도 조사에서 직무 전문성 향상, 현장 전문성 보유 교원, 현장과 동일·유사한 실습환경 등에서 높은 평가*를 받은 바 있다. * 종합만족도 조사 결과(만점 100점) : (학생) 93.4점, (교직원) 95.73점 (산업체) 93...

2022 전문대학 혁신지원사업 성과확산 토론회(포럼) 개최 전문대학의 교육, 산학협력 등 영역별 우수 혁신성과 사례 44건을 공유·확산하고 전문대학 혁신지원사업 성과 강화 지원 주제발표와 권역별 간담회를 통해 전문대학과 고등직업교육 발전 방안을 논의하고 대학주도의 혁신 원동력 강화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이주호)와 한국연구재단(이사장 이광복)은 ‘2022 전문대학 혁신사업 성과확산 토론회(포럼)’를 1월 17일(화)부터 1월 18일(수)까지 호텔인터불고 대구에서 개최한다. 이번 성과확산 토론회(포럼)는 각 전문대학의 2022년 혁신지원사업 운영 성과(교육혁신, 산학협력 혁신, 기타 혁신)를 공유·확산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전문대학 혁신지원사업’은 혁신성장을 주도하는 창의적 현장실무인재 양성을 목표..

안녕하세요, 누리울림입니다. 어느덧 12월입니다. 여러분께서는 12월 하면 어떤 단어가 떠오르시나요? 저는 ‘새로운 시작’이라는 단어가 떠오르는데요. 다가오는 한해를 맞이하는 목표도 세우며 새로운 시작을 할 생각에 설레는데요. 오늘 준비한 콘텐츠의 주제도 ‘새로운 시작’과 관련이 깊습니다. ‘고등직업교육거점지구 HiVE 사업’이 지역사회와 전문대학이 힘을 합쳐 새로운 시작을 준비하고 있다고 합니다. 저와 함께 살펴볼까요? 고등직업교육거점지구 사업이란? 우선, 오늘의 주제인 ‘고등직업교육거점지구(HiVE) 사업’에 대해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HiVE는 벌집, 중심지를 의미합니다. 벌은 벌집을 중심으로 주변 생태계와 상생하지요. 벌이 꽃 사이를 오가며 식물의 수분을 돕는다는 사실도 잘 알고 계실 겁니다. 즉..

□ 전문대학-기초자치단체 간 협력‧연계를 통해 입학에서부터 교육-취업-계속 정주로 이어지는 선순환 체계 구축 □ 고등직업교육거점지구(HiVE) 사업에 선정된 30개 연합체(컨소시엄)에 2022년 기준 총 국비 405억 원 지원, 3년간 사업 추진 교육부는 9월 29일(목), 대구보건대학교에서 ‘고등직업교육거점지구(HiVE) 사업’ 출범식을 개최한다. ※ H i V E(중심지) : Higher Vocational Education hub district ‘고등직업교육거점지구’는 전문대학이 기초자치단체와 협력하여 지역의 중장기 발전목표에 부합하는 지역 내 특화 분야*를 선정하고, 교육체계를 연계·개편하는 등 전문대학이 지역 기반 고등직업교육의 거점 역할을 수행하도록 지원하는 사업으로, * 지역 일자리 창출 ..

□ 기업가형·산학일체형 (전문)대학으로 진화하는 산학연협력 혁신 시대 개막 □ 신기술․신산업 인재 양성, 산학연 공유⸱협업 관련 우수 추진 계획 공유의 장 □ 기업협업센터(ICC), 산학공동연구 등 산학연협력 특성 살린 인재양성 모델 확산 추진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이사장 이광복)은 ‘3단계 산학연협력 선도(전문)대학 육성사업(이하 링크3.0*)출범식’을 6월 30일(목), 충남대학교에서 개최한다. * 링크3.0(LINC3.0) : Leaders in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3.0 본 출범식은 지난 3월부터 5월에 거친 선정평가 통해 선발된 링크3.0 사업 참여 대학 총 135개교(일반대 76개교, 전문대 59개교)가 한자리에 모이는 첫 행사로 전체 사업 수행 대학의 사..

□ 4년제 일반 및 교육대학의 기회균형선발 비율 14.3%로 전년보다 1.6%p 상승 □ 채용 조건형 계약학과는 일반대학(58개교, 9.4%↑), 전문대학(28개교, 64.7%↑) 모두 전년 대비 증가 교육부와 한국대학교육협의회(회장 홍원화)는 6월 30일(목) 「2022년 6월 대학정보공시 분석결과」를 발표한다. 이번 6월 공시를 통해 학생 선발, 산학 협력, 강사 강의료, 원격강좌 등의정보를 공시하고, 4년제 일반및 교육대학194개교, 전문대학 133개교에대한 분석 결과를 공개한다. 2022년 6월 일반 및 교육대학 194개교의 공시 항목별 주요 분석결과는다음과 같다. 1) 신입생 선발 결과 (기회균형 선발 결과) 2022년 일반 및 교육대학 입학생 331,906명중 기회균형선발*로 입학한 신입생의 ..

□미래 산업 변화, 현장의 인력수요에 대응한 고숙련 전문기술인재양성을 위해 2023학년도 전문대학 8개교, 10개 전문기술석사과정 인가 교육부는 2023학년도 전문대학 기술석사과정(8개교 10개 과정, 정원 122명 규모)을 6월 15일(수), 최종 인가하였다. 이번에 전문기술석사과정 인가를 받은 전문대학들은 직무중심의 고도화된 교육과정을 제공하는‘마이스터대’운영을 통해 신기술·신산업 분야의 고숙련 전문기술인재를 양성하게 된다. 마이스터대 개요 대학의 일부 학과(또는 전체)에서 고숙련 전문기술인재 육성을 위해 직무 중심의고도화된 교육과정(단기-전문학사-전공심화과정(학사)-전문기술석사과정)을 편성하여 운영 교육부는 지난해 12월 마이스터대 시범사업 참여대학 8개교를 대상으로 2022학년도 전문기술석사과정 ..

□ 2022년 기준 총 국비 405억 원 지원, 3년간 사업 추진 □ 전문대학과 기초자치단체 간 협력‧연계‧공유를 기반으로 지역소멸 등 위기 대응 및 지역특화분야 인재양성, 지역 내 평생직업교육 활성화 추진 □ 지역 내 전문대학 입학-교육-계속 정주로 이어지는 선순환 구조 창출 유도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이사장 이광복)은 고등직업교육거점지구 사업(이하 거점지구 사업)에 선정된 연합체(컨소시엄)를 6월 2일(목) 발표한다. 이 사업은 전문대학이 기초자치단체와 협력하여 지역의 중장기 발전목표에 부합하는 지역 내 특화 분야*를 선정하고, 교육체계를 연계·개편하는 등 지역기반 고등직업교육의 거점 역할을 수행하도록 지원하는 사업이다. * 지역일자리 창출 및 경쟁력 강화에 중심적 역할을 하거나 지역의 발전역량을 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