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조사결과 (8)
교육부 공식 블로그

2023년 「초‧중등 진로교육 현황조사」 결과 발표 디지털 전환 등 사회 변화에 따라 생명과학자, 컴퓨터공학자 등 희망 순위 상승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이주호)와 한국직업능력연구원(원장 류장수)은 ‘2023년 초·중등 진로교육 현황조사’ 결과를 발표한다. 교육부와 한국직업능력연구원은 2007년부터 매년 전반적인 학교급별 진로교육 현황을 조사하고 있다. 이번 ‘초・중등 진로교육 현황조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2023년 학생 희망직업 조사 결과, 1~3위 희망직업은 교사, 의사, 간호사, 운동선수 등으로 지난해와 유사하나, 고등학생의 경우 생명과학자‧연구원 희망직업 순위가 지난해보다 크게 상승(9위→3위)했다. ※ 초: (2022)1위 운동선수, 2위 교사, 3위 크리에이터→(2023)1위 ..

항을 조사한 ‘2023년 교육기본통계’ 조사 결과를 발표한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① 유․초․중등교육 (학교 수) 전국 유·초·중등학교 수는 20,605개교로 전년 대비 91개교 감소하였으며, 유치원은 감소하였으나 초․중․고․기타학교는 모두 증가하였다. ※ (유치원) 8,441개원 (전년 대비 121개원↓), (초등학교) 6,175개교 (전년 대비 12개교↑), (중학교) 3,265개교 (전년 대비 7개교↑), (고등학교) 2,379개교 (전년 대비 6개교↑), (기타학교) 345개교 (전년 대비 5개교↑) (학생 수) 전체 유·초·중등 학생 수는 5,783,612명으로 전년(5,879,768명) 대비 96,156명(1.6%↓) 감소하였다. 유치원은 521,794명으로 31,018명(5.6%↓) ..

교육부와 한국교육개발원(원장 류방란)은 전국 유·초·중등 및 고등교육기관의 학교, 학생, 교원 현황 등을 조사한 ‘2022년 교육기본통계’ 조사 결과를 발표하였다. 교육부와 한국교육개발원은 매년 전국 교육기관(2022년 23,595개)과 관련된 교육 분야 기본 사항을 조사·발표하고 있으며, 그 결과는 교육정책 수립과 연구 등에 활용되고 있다. 교육기본통계 조사 개요 조사 근거 「유아교육법」 제6조의2, 「초·중등교육법」제11조의2, 「고등교육법」제11조의3, 「통계법」 조사 기관 한국교육개발원 교육데이터연구본부 교육통계센터 조사 대상 유치원~대학, 교육청 등 23,595개 교육(행정)기관 1) [유‧초‧중등교육기관] 21,041개교(유 8,750개원, 초‧중‧고 12,016개교, 기타 275개교) ※ 폐..

□ 2021년 사교육비 총액·참여율, 코로나19 이전(2019년) 수준 이상으로 반등 ㅇ (학교급별) 모든 학교급에서 2020년 대비 2021년 사교육비 증가 - 초등학교는 2020년 감소 후 2021년에 반등하여 2019년보다 높게 증가했고, 중․고등학교는 코로나19 상황에도 2020년과 2021년 지속 증가 ㅇ (교과별) 일반교과와 예체능 사교육비 모두 2020년 대비 2021년 증가 - 일반교과 중 국어, 사회/과학 사교육비의 2019년 대비 증가율이 크고, 예체능은 2020년 감소 후 2021년은 증가하여 2019년 수준으로 회귀 ※ 이상 학교급별/교과별 분석은 전체학생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 기준임 ㅇ 유료인터넷 및 통신강좌 등 온라인 관련 참여유형의 사교육비 증가 □ 학교 일상회복을 통한 학습..

◈ 2020년 직업계 고등학교 졸업자 유지취업률 77.3% ◈ 직업계고 졸업자의 유지취업률 첫 조사로 취업의 질적 수준 확인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유은혜)와 한국교육개발원(원장 반상진)은 ‘2020년 직업계 고등학교 졸업자 취업통계조사 유지취업률’ 조사 결과를 3월 31일(수)에 발표하였다. ※ 유지취업률(%) : (4.1.기준 취업자 중 10.1기준 취업자 / 4.1기준 취업자) x 100 취업자 : 건강보험 직장가입자 또는 고용보험 가입자 교육부는 지난해 11월, 직업계고 졸업자의 졸업 후 상황 분석에 대한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공공데이터베이스(DB)를 활용하는 방식으로 취업통계 조사 체계를 개편하고 시범조사 결과를 발표한 바 있다. [참고] 2020 직업계고 졸업자 취업통계 조사 개요(202..

◈ 고등교육기관 졸업자 취업률 67.1%(0.6%p↓), 유지취업률 80.2%(1.2%p↑) ◈ 올해부터 통계청과 협업하여 ‘고등교육기관 졸업자 일자리 이동통계’ 발표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유은혜)와 한국교육개발원(원장 반상진)은 12월 29일(화) 「2019년 고등교육기관 졸업자 취업통계조사」결과를 발표하였다. 이번 조사는 전국 일반대학, 교육대학, 산업대학, 전문대학, 각종학교, 기능대학 및 일반대학원의 2019년 2월 및 2018년 8월 졸업자 55만 354명을 대상으로 2019년 12월 31일 기준 취업 및 진학여부와 급여 수준, 취업 준비기간 등 취업 세부정보를 파악하였다. 이를 위해, 국민건강보험공단, 국세청, 고용노동부, 병무청, 한국산업인력공단 등 공공 데이터베이스(DB)와 연계하여..
2013년 사교육비‧의식조사 결과 발표 1. 사교육비 총규모 4년 연속 감소, 참여율 ․ 참여시간 6년 연속 하락세 ◦ ’13년 사교육비 총 규모는 약 18조 6천억원으로 ’12년 19조원 대비 4,435억원(△2.3%) 감소하였음 ◦ 사교육 참여율은 68.8%로 전년 대비 0.6%p, 참여시간은 주당 5.9시간으로 전년 대비 1.7% 감소하여 ’07년 조사 이래 감소세 지속 2.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 3천원 증가, 실질 사교육비는 6천원 감소 ◦ 학생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는 23.9만원으로 전년 대비 3천원(1.3%) 증가하였으나, 실질 사교육비는 21만원으로 전년 대비 6천원(△2.8%) 감소 ◦ 초등학교 23.2만원(5.9%), 중학교 26.7만원..
한국사 교과서 선정 변경 관련 특별조사 결과 발표 교육부(장관 서남수)는 ‘14년 1월 6일(월) ~ 7일(화) 실시한 한국사 교과서 선정 변경 관련 특별조사 결과를 1월 8일(수) 발표하였습니다. 단위 학교에서 정상적인 절차에 따라 교과서가 선정된 이후, 외부의 압력에 의해 번복되는 것은 교육의 정치적 중립성과 단위학교의 자율성을 심각하게 훼손할 우려가 있다고 판단하여 총 20개교의 교과서 변경과정에 대한 특별조사를 실시하였습니다. ○ 이번 조사의 중점 내용은 한국사 교과서 선정 번복 사유와 번복 과정에서 외부의 부당한 압력 행사 여부 등입니다. 이번에 실시한 특별조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 학교 관계자의 진술에 의하면 일부 시민 단체 등의 특정 교과서 선정 결과에 대한 일방적 매도로 인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