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지구 (35)
교육부 공식 블로그

올해 5월 26일에는 개기월식이 일어난다는 소식, 모두들 들으셨나요? 듣기는 들었는데 분명 수업시간에도 배운 것 같은데 그게 뭔지 잘 모르시겠다고요? 그래서 교육부 국민 서포터즈 '누리울림'이 '이곳'에 가서 개기월식은 물론, 지구가 어떻게 만들어졌는지도 알아왔다고 하네요! 빨리 알고 싶다면? 영상 시청해주세요! #국립과천과학관 #개기월식 #과학 #지구 #우주 #교육부 #2021년 #국민서포터즈 개기월식? ✔ 월식에서 달이 지구의 본그림자에 가려져 나타나는 현상으로, 지구가 달과 태양 사이에 위치할 때 일어나는 현상 ✔ 중학교 지구과학 및 고등학교 지구과학Ⅰ에서 확인 가능 태양계 행성 ✔ 지구형 행성 : 수성, 지구, 금성, 화성 ✔ 목성..

하루 한 번 지구를 위해 행동하자! 지구를 지키는 어플리케이션 기후행동1.5℃ 함께해요~ ✅ 바로가기 : www.c-action.kr #지구 #환경 #기후행동 #지구지킴이 #환경지킴이
위성을 많이 거느린 행성 ■ 행성이란 무엇일까요? 밤하늘을 반짝 반짝 수놓는 많은 별들이 있죠? 우리가 말하는 별은 스스로 빛을 내는 천체라는 것을 잘 알고 있을 거예요. 그 대표적인 예가 태양이죠. 그런데 우주에는 이러한 천체 외에도 스스로 빛을 내지 못하고 천체의 주변을 돌고 있는 것도 있는데, 이러한 것을 바로 행성이라고 합니다. 태양의 주위를 돌고 있는 지구가 행성의 대표적인 예라고 할 수 있습니다.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와 같이 태양을 중심으로 돌고 있는 행성들이 모여 있는 곳을 태양계라고 하는데, 태양에서 가까운 순서대로 수성, 금성, 지구, 화성,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이 나열되어 총 8개의 행성이 존재합니다. 이 행성들은 물리적 특성에 따라 지구형 행성과 목성형 행성으로 구분합니다...
우리 은하와외부 은하 ■ 빅뱅 이론, 우주의 탄생우리가 살고 있는 우주는 어떻게 생겨났을까요? 정확한 답을 찾기는 어렵지만 상식적으로 가장 보편화된 이론 중 하나인 ‘빅뱅 이론’이 있습니다. 빅뱅 이론은 천문학 또는 물리학에서 우주의 처음을 설명하는 우주론인데요, 이 빅뱅 이론에 따르면 아주 큰 에너지를 가지고 있는 작은 물질과 공간이 약 150억 년 전 거대한 폭발을 통해 우주가 되었다고 합니다. 빅뱅 이론은 오늘날 우주에 존재하는 모든 물질과 에너지는 작은 점에 갇혀 있었다고 설명합니다. 우주 시간 ‘0초’의 폭발 순간에 그 작은 점으로부터 물질과 에너지가 폭발하여 서로에게서 멀어지기 시작했고, 이 물질과 에너지가 은하계와 은하계 내부의 천체들을 형성하게 되었다고 보고 있습니다. ▲ 빅뱅 이론(출처:..
낮과 밤이생기는 까닭 ■ 낮과 밤이 생기는 까닭을 밝히기 위한 노력 : 프톨레마이오스에서 갈릴레이까지일반적으로 해가 뜰 때부터 질 때까지를 낮, 해가 질 때부터 뜰 때까지를 밤이라고 합니다. 그렇다면 낮과 밤이 왜 생기는 걸까요? 아주 오래전 사람들은 하늘에서 일어나는 일은 신과 관련 있다고 생각하였습니다. 예를 들어 보르네오 섬에 살던 사람들은 원래 낮만 존재했지만 여신 ‘망’이 바구니에 어둠을 담아와서 밤이 생겼다고 믿었습니다. 또한 고대 그리스 사람들은 태양의 신 ‘아폴론’이 태양을 마차에 싣고 하루에 한 번씩 동쪽에서 서쪽으로 날아가기 때문이라고 믿었습니다. ▲ 태양의 신 아폴론(출처: 에듀넷) 이후 고대 그리스에서는 과학과 철학이 발달하면서 많은 학자들이 낮과 밤이 생기는 이유에 대해 탐구하기 ..
우주 탐사의과정과 탐사선 ■ 우주 탐사 방법우주란 모든 물질과 에너지를 포함하는 시공간의 전체입니다. 흔히 우주라고 하면 지구 밖 세상을 말하지요. 우주 탐사는 우주를 탐사하며 우주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해서 여러 가지 방법으로 관측, 조사하는 것을 뜻합니다. 인류의 우주에 대한 호기심과 열망은 옛날부터 이어져 왔습니다. 처음에는 맨눈으로 우주를 관찰하였고 그 뒤로 망원경이 발명되어 좀 더 정밀한 관찰이 가능해졌습니다. 오늘날에는 우주 탐사선이나 인공위성, 로봇 등을 이용해 우주를 탐사하고 있습니다. 각각에 대해 간단히 알아볼까요? ▲ 우주 탐사의 여러가지 방법(출처: 에듀넷) 인공위성인공위성은 로켓을 이용해 쏘아 올려진 인공의 물체로 천체 주위를 돌도록 만들어졌습니다. 목적에 따라서 여러 가지 위성으로..
지구 온난화와환경 변화 ■ 지구 온실, 지구 온난화지구 온난화란 지구를 둘러싸고 있는 대기 중에 온실가스가 너무 많아져서 지구의 평균 기온이 빠르게 상승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 때, 지구를 둘러싼 대기는 뜨거운 태양 광선이나 운석으로부터 지구를 보호하고, 생명체가 살아가는 데 필요한 산소를 공급합니다. 또한 대기는 지구 표면의 열이 우주로 빠져나가는 것을 막아 지표의 온도를 비교적 높게 유지시켜 주기도 하는데 이런 현상을 온실 효과라고 합니다. 만약 대기가 없다면, 지표면에 도달한 태양 에너지는 바로 우주 공간으로 빠져 나가게 되어 지금처럼 생물이 살 수 있는 온도가 유지되지 않겠지요. 하나 더, 대기 중에서 온실효과를 일으키는 기체를 온실 기체라고 하는데 여기에는 이산화탄소, 수증기, 메탄, 프레온 ..
위성·소행성·혜성 위성(Moons) 위성이란 행성의 주위를 도는 천체를 말하는 것으로, 8개의 태양계 행성 중 수성과 금성을 제외한 6개의 행성은 위성을 거느리고 있습니다. 수성과 금성에는 아마 위성이 존재하지 않거나, 존재한다 해도 대단히 작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대개 모행성에 비해 지름이 수십 분의 1 이하이고, 질량은 수만 분의 1 이하지만 지구의 위성인 달은 예외(지름 약 4분의 1, 질량 약 100분의 1)로 모행성에 대한 비율이 태양계 가운데 가장 큰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태양과 가까이 있는 4개의 지구형 행성 중에는 지구가 1개(달, 지름 3476㎞), 화성이 2개(포보스, 데이모스)의 위성을 거느리고 있습니다. ▲ 각 행성의 위성들(출처: 에듀넷) 좀 더 멀리 떨어져 있고 덩치가 큰 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