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지자체 (29)
교육부 공식 블로그

□ 교육부, 사회정책 연구기관과 함께 2022년 제4차 사회정책 공개토론회 개최 □ 사회정책 전문가와 함께 느린학습자 실태 분석, 정책 지원방안 논의 교육부는 한국직업능력연구원 등 사회 분야 연구기관*과 함께 ‘느린학습자** 정책 지원방안’을 주제로 10월 28일(금), 제4차 공개토론회(포럼)를 대면·비대면 병행 방식으로 개최한다. * 교육·복지·노동 등 사회정책 분야별 연구기관(20개)으로 구성된 연합체(네트워크) ** 지능지수(IQ) 70~85에 해당되며 평균 지능지수보다 낮은 경계선 지능을 가진 사람 우리나라 인구의 약 14%가 느린학습자로 추정되나, 장애와 비장애의 경계에 위치하여 특수교육과 일반교육 어디에도 속하지 못하고, 부처별·기관별로 사업이 분절적으로 추진되다 보니, 지원대상이 중복되거나..

제2회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사업 성과포럼 개최 □ 사업 추진 3차연도를 맞이하여 지역혁신플랫폼별 주요 성과를 공유하고, 지역소멸 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토론회·우수사례 발표 등 실시(8.30.(화)) ㅇ (울산·경남) 채용연계형 직무실습(인턴십) 프로그램 통해 인턴십 82명, 채용 52명 (충북) 바이오 기업 창업지원을 통해 시제품제작 11개 기업, 지역 내 창업 6개 기업 (광주·전남) 에너지신산업 창업 관련 1,308명 교육, 창업플랫폼 구축·운영 (대전·세종·충남) 대전·세종·충남(DSC) 공유대학 본격 운영(8개 융합전공, 359명 모집)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주최하고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사업 발전협의회’가 주관하는 ‘제2회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사업 성과포럼’이 8월 ..

이제는! 앞으로도! 함께하는! 지방대학시대📢 이제는 지방대학시대가 온다고요? ✓지역고등교육협의회(가칭) ✓지역인재 투자협약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사업 ✓고등교육혁신특화지역 지정 ▶ 자세히 보기 : https://bit.ly/3vPTjGs #교육부 #지방대학 #지역고등교육협의회 #지역인재 #투자협약 #지자체 #고등교육혁신특화지역

□ 올해 30개 연합체(컨소시엄, 기초자치단체+전문대학) 선정, 총 국비 405억 원 지원 □ 교육부-행정안전부-산업통상자원부 협업으로 전문대학 입학-교육-취업-정주로 이어지는 선순환 구조 창출 유도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유은혜)는 ‘고등직업교육거점지구사업’ 기본계획을 3월 23일(수), 제5차 사회관계장관회의에서 확정한다. 사업을 통해 전문대학이 기초자치단체와 협력하여 지역의 중장기 발전목표에 부합하는 지역 내 특화분야*를 선정하고, 교육체계를 연계·개편하는 등 지역기반 고등직업교육의 거점 역할을 수행하도록 지원한다. * 지역일자리 창출 및 경쟁력 강화에 중심적 역할을 하거나 지역의 발전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분야 올해 선정된 30개 연합체(컨소시엄, 전문대학+기초자치단체)에는 연합체당 15억 ..

지자제-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 사업(RIS)으로 지역 대학생들은 이론과 실습을 함께 할 수 있는 풍성한 대학 생활과 취업 지원을 보장받고, 각 지역의 대학은 지역, 지자체와 함께 다양한 분야의 학과 신설과 우수인재 양성을 통해 지역 경쟁력을 얻게 되는 일석삼조 효과를 볼 수 있다는 이야기는 들어보신 적 있으실 텐데요. 실제로 OECD에서 지역 대학은 지역 안에 있는 대학이 아닌 지역의 대학이라고 평가한 것처럼 오늘날에는 주체적으로 참여하여 지자체의 발전을 이끌어가는 역할이 지역 대학에 강조되고 있어 지역혁신 사업의 중요성 또한 증가하고 있습니다. 2021년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 사업, 말만 들어봤지 실제로 정말 그 성과가 있는지 궁금하신 분들이 있으실 것 같아요. 그런 분들을 위해 지난 9월 1..

◈ 9월 13일(월) 온라인을 통해 지역별 핵심분야 인재양성을 위한 각 지역혁신플랫폼의 1차년도 성과 공유 - (충북) 충북산학융합본부를 중심으로 충북대 등 11개 대학 및 기관이바이오헬스분야 관련 정보를 통합하고 공유하는 ‘바이오 원스톱 플랫폼’ 구축 - (경남) 3개 분야 5개 전공 300명 학생을 선발하는 울산경남공유대학(USG+)을 운영(’21.2학기~)하고, LG전자 채용연계형 직무실습(인턴십)을 운영하여 20명 중 12명 채용 - (광주·전남) 전남대를 중심으로 ‘미래에너지 융합전공’을 개설하여 6개 타 대학(조선대, 동신대 등)에 개방, ’20년 171명 수료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유은혜)와 한국연구재단(이사장 직무대행 김성수)이 주최하고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혁신지원사업(RIS*)..

외국인 유학생을 보호·관리한 경험을 살려, 이번 2학기에도 정부-대학-지자체 협력을 통해 코로나19 해외 유입을 방지하고 대학과 지역사회 안전을 확보하겠습니다. ▶자세히 보기 : https://bit.ly/3iUUAEZ - 14일간 자가격리 및 코로나19(PCR) 검사 3회 실시 - 자국 내 온라인 수강 활성화 등을 통한 입국 지연·분산 변이 바이러스 유행국가 유학생 보호·관리 강화 - 전 국민 70% 백신 1차 접종 완료 후 입국 유도 - 대학혁신지원사업비 등을 활용하여 방역관리 지원 #교육부 #2학기 #외국인 #유학생 #코로나19 #대학 #지자체 #방역 #관리 #입국 #안전

대면수업을 단계적으로 확대하여 대학의 일상을 회복하겠습니다. ✅ 대면수업 및 수업 외 대면활동 단계적 확대 ✅ 대학 내 방역 관리 철저 ✅ 대학 협의체-지자체, 방역 관리 체계 구축 자세히 보기 : https://bit.ly/2T3ZXJ9 #교육부 #대면수업 #대학일상회복 #대학 #대학교 #일상회복 #대면활동 #소규모수업 #대교협 #전문대교협 대면수업을 단계적으로 확대하여 대학의 일상을 회복하겠습니다. 2021학년도 2학기 대학의 대면활동 단계적 확대 방안 6.24. 대면활동의 단계적 확대를 통한 대학의 일상회복을 추진합니다. 실험실습실기, 소규모 강좌 / 소규모 수업 외 활동 / 전문대 실험실습실기 중점 → 국민 70% 1차 접종 완료 → 철저한 방역으로 학내 대면활동 단계적 확대 실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