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지자체 (29)
교육부 공식 블로그

개학 연기 관련 결식우려 아동에 대해서는 차질 없이 급식을 지원할 계획입니다. 2020년 2월 27일 목요일 연합뉴스(이재경 기자)에서 보도된 '개학 연기에 결식아동 지원 중단 우려...교사노조 "성금모금"' 보도내용에 관련하여 알려드립니다. 동 보도내용에 대한 설명 각 시·도교육청에서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로 인한 개학연기에 따라 결식하는 아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해당 자치단체와 협의하여 차질 없이 급식을 지원할 계획입니다. ※ 교육부에서는 학교에서 개학 연기 및 휴업 시에 결식우려 아동에 대한 급식지원이 중단되지 않도록 시·도교육청에 안내(2.3., 2.8.) ※ 방학 및 토·공휴일의 결식우려 아동에 대한 급식지원은 관할 지자체에서 지원 앞으로도 교육부는 시·도교육청, 지자체 등과 협력하여..

지자체, 대학 그리고 지역의료기관과 핫라인을 구축하고 더 꼼꼼히 대응책을 챙기겠습니다! ※ '지자체-대학-지역의료기관' 직통 회선(핫라인) 구축 ※ 대학의 대응현황 공유 및 현장 애로사항 청취를 통한 지원방안 마련 ▼ 현장 영상 보기 #교육부 #코로나19 #대학대응상황점검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 사업」 충청권 간담회 개최 ◈ 사업의 현장 적합성과 효과성 향상을 위한 현장 의견수렴‧반영 ◈ ‘코로나-19’에 대한 대학의 대응 상황 점검과 공유 및 대책 지원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유은혜)는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 사업」의 기본계획*을 확정하기에 앞서 현장의 의견수렴을 거쳐 사업의 효과성과 현장 적합성을 높이기 위하여 2월 17일(월) 14시에 충남 공주대학교에서 사회부총리 주재로 충청권 간담회를 개최한다. *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 사업」의 주요 사항은 2020. 1. 20.(월) 발표 이번 간담회에서는 위 사업과 관련한 지자체별 추진 현황을 공유하고, 지역 현장의 애로사항이나 규제혁신이 필요한 상황 등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여 사업 기..

중국 입국 유학생 관리 지원을 위해 지자체에 적극적인 협조를 요청하였으며, 성균관대, 경희대 등 대학 현장을 점검하며 대학의 코로나19 대응상황을 확인하였습니다. #교육부 #코로나바이러스 #코로나19 #지자체 #대학 #중국 #입국 #유학생 #관리 #기숙사

대학과 지자체 등 다양한 주체가 자율적으로 지역 혁신 계획을 수립하고 추진하도록 교육부가 적극 지원합니다. ▶자세히 보기: http://bitly.kr/YkNh3Tfu 최근 인구 감소, 지역경제 침체 등으로 지역 위기가 심화되고 있습니다. 특히 향후 30년간 세종시를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생산연령인구 감소가 예견되는 상황이죠. 대학들이 지역과 함께 혁신을 이끌어가도록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 사업을 추진합니다!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 사업이란? 대학, 지자체 등 다양한 주체가 지역혁신 플랫폼을 구축하고, 지역혁신 계획을 자율적으로 수립·추진하는 것을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지역혁신 플랫폼에서는 대학의 지역혁신 역량이 발위될 수 있는 지역의 최우선순위 분야, 즉 핵심분야를 지자체와 대학 ..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긍정적인 변화, 2020년 혁신적 포용국가를 만들겠습니다. ✔️ 사회정책 협력 활성화 - 다부처 협업의제 기획 관리 - 지속적인 점검 보완으로 체감도 제고 ✔️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 사업 추진 - 지자체와 지역대학, 지역기업이 상생·협력체계 구축 - 대학지원사업, 지역혁신사업을 지역이 통합적 관리 ▶️ 자세히보기: https://bit.ly/2NAKIS5 #교육부 #2020년 #사회관계장관회의 #혁신적_포용국가 #국민체감 #변화 #사회정책 #지역혁신 #지자체 #대학

우리 딸이 이번에 초등학교에 입학하는데, 저희 부부가 맞벌이라 방과 후에 아이를 돌봐줄 사람이 없어서 걱정이에요. 저는 학교 끝나고 피아노, 미술, 태권도, 영어 학원에 다녀요. 좀 힘들긴 해도 부모님 일이 끝나실 때까지 집에 혼자 있는 건 너무 싫어요. 통계청이 발표한 ‘2018년 하반기 지역별 고용조사(부가항목) 맞벌이 가구 및 1인 가구 고용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10월 기준) 맞벌이 가구 수는 557만 5000가구로, 이는 전체 유배우 가구 중 무려 46.3%에 달하는 수치입니다. 이러한 맞벌이 부부의 증가 양상과 함께 많은 초등학생 자녀들은 방과 후 혼자 집에 남겨지거나 늦은 시간까지 학원에 있어야만 했는데요. 자녀의 방과 후 돌봄 문제는 맞벌이 부부뿐만 아니라 한부모, 저소득층 가정에도 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