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첨단분야 (19)
교육부 공식 블로그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6JQhS/btsCG5KQbAU/X5r6o34BviOKXozrgqdNgK/img.jpg)
숫자로 보는 12월의 교육뉴스 ① ‘EBS 중학프리미엄’ 무료화, 20만 명 학생 혜택 : bit.ly/4atCxzL ② 학교전담경찰관 105명 증원, 학교·교사, 악성 민원서 벗어나 ‘교육’에 역량 집중 : bit.ly/3Nfm3Bc ③ 2024학년도 첨단분야 대학원 석·박사 정원 582명 증원 : bit.ly/4auDFD6 ④ 에스오에스(SOS) 장학금, 학생 1,000명 선발 : bit.ly/48y5pFl ⑤ 교육부가 인증한 진로체험기관 2,736개 운영 : bit.ly/46LpZRh ⑥ ‘우리 함께, 예술로’ 전국 2,900여 명 학생 참가 : bit.ly/47MN4UV #교육부 #12월 #교육뉴스 #EBS #중학프리미엄 #학교전담경찰관 #첨단분야 #대학원 #에스오에스 #장학금 #진로체험 #학생예..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PYiCI/btsnzGsjURB/JOMdDenU36hDfbrBHyV3Vk/img.png)
첨단분야 학과 개편으로 직업계고 혁신을 지원합니다! ✔️98개 학과에 총 402억 원 지원 ✔️마이크로교육과정 10개 시범운영 더 자세한 내용은 교육부 누리집에서 확인하세요 #교육부 #직업계고재구조화지원사업 #첨단분야 2023년 직업계고 재구조화 지원사업 선정결과 발표(7.13.) 첨단분야 학과 개편으로 직업계고 혁신을 지원합니다! 2023년 '직업계고 재구조화 지원사업', 98개 학과에 총 402억 원 지원 올해부터 기존 전공과 신기술을 융합한 마이크로교육과정 10개 시범 운영 *마이크로 교육과정 : 전공과 연계한 신산업·신기술분야 융복합 능력 함양을 위한 다양한 교과목으로 구성된 작은 학점 단위의 교육과정 *예시 : AI융합과정, 시스템반도체설계, 자율주행자동차 등 더 자세한 내용은 교육부 누리집에서..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7b5uc/btsnrvv041w/a8ymuGEs73WN62YkWQRuD1/img.jpg)
2023년 ‘직업계고 재구조화 지원사업’, 98개 학과에 총 402억 원 투입 올해부터 기존 전공과 신기술을 융합한 마이크로교육과정 10개 시범 운영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이주호)는 7월 13일(목), ‘2023년 직업계고 재구조화 지원사업’ 선정결과를 발표한다. ‘직업계고 재구조화 지원사업’은 직업계고의 경쟁력 제고를 위해 산업구조 변화에 따라 경쟁력이 부족한 직업계고 학과의 개편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교육부는 2016년부터 현재까지 총 900여 개 학과 개편을 지원하였다. 교육부는 반도체‧디지털 등 신산업‧신기술분야의 실무기술인재를 양성하고 학생들에게 양질의 경력 경로를 제공하기 위해 직업계고의 교육과정 고도화를 추진하고 있다. 이에 올해 직업계고 재구조화 지원사업은 신산업‧신기술분야 및 지역..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WnkIc/btsmlhzApk8/KBGO4YRtoMjOlRKOCpIjWk/img.jpg)
(반도체) 대구전자공업고, 예산전자공업고, (디지털) 경북소프트웨어고 2년간 준비과정을 거쳐 2025년 3월 개교 예정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이주호)는 디지털, 반도체 인재 양성을 위해 대구전자공업고, 예산전자공업고, 경북소프트웨어고 3개교를 2023년 산업수요맞춤형고등학교(이하 마이스터고)로 신규 지정한다. ※ (산업수요맞춤형고) 산업수요 맞춤형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특수목적고등학교로, 현재까지 54개교가 지정·운영 중 이번 신규 지정을 위해 학계 및 교육·산업 현장 전문가로 구성된 지정위원회에서 신청 학교들을 대상으로 서면·현장 평가를 실시하였고, 교육부는 지정위원회 심의 의견에 따라 지정 동의 1개교, 조건부 동의 2개교 등 총 3개교를 신규 지정 학교로 확정하였다. 조건부 동의 2개교는 8월..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smBxe/btsl0Xip63M/VXsPgu7uXOEUkIiJp6yeL1/img.jpg)
첨단분야 혁신융합대학(COSS) 연합체 출범식 개최 첨단분야 우수 강좌 공유를 위한 반짝(팝업) 캠퍼스 운영(7.3.~7.7. 건국대)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이주호)와 한국연구재단(이사장 이광복)은 7월 3일(월) 건국대학교에서 2023년 첨단분야 혁신융합대학(COSS*) 사업 출범식을 개최한다. * Convergence & Open, Sharing System 첨단분야 혁신융합대학 사업은 대학들이 공동으로 교육과정을 개발·운영하고 인적·물적 자원을 공유·활용하여 학과(전공) 간, 대학 간 경계를 허물고 기업과 협업하여 첨단분야 인재양성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2021년부터 인공지능, 빅데이터, 차세대반도체 등 8개 신기술 분야 대학 연합체를 지원하였고, 2023년부터는 항공·드론, 반도체소부장,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Er4th/btsisPtG96v/raYVjnPRLrBydvFj0iBeIK/img.png)
‘항공드론, 반도체소부장, 이차전지, 차세대통신, 에코업’ 5개 분야 지자체 참여형 연합체 신규 선정 2023년부터 2026년까지 분야별 매년 102억 원 지원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이주호)와 한국연구재단(이사장 이광복)은 「첨단분야 혁신융합대학」 사업 신규 연합체(컨소시엄) 선정결과를 6월 5일(월)에 발표한다. 2023년에는 ① 항공드론 ② 반도체소부장 ③ 이차전지 ④ 차세대통신 ⑤ 에코업(業) 5개 첨단분야의 산업 기반을 갖추고 있는 ‘광역자치단체’ 참여를 조건으로 ‘지자체 참여형’ 연합체 선정을 진행하였으며, 5개 분야별 선정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신규 선정 연합체는 2023년부터 2026년까지 총 4년간 매년 102억 원 규모의 재정을 지원받아, 공동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 교원 및 학..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LVKML/btsg25KKfoz/lcW7el8h8S4aoc7kInOxCk/img.png)
계약학과 설치 없이도 기업맞춤 교육이 가능한 ‘계약정원제’ 도입 첨단분야 산업체, 전국 어느 대학에서나 소속직원의 직무교육 위탁 가능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이주호)는 산업환경 변화에 맞추어 첨단분야 등 산업계 수요를 반영한 인재양성을 촉진하기 위해 올해 「산학협력법 시행령」 개정을 시작으로 「계약학과 설치·운영 규정(교육부 고시)」까지 계약학과 제도를 대대적으로 개선한다. 이로써 첨단산업 분야의 인력양성을 위해 계약학과를 설치·운영하려는 대학과 산업체는 6월부터 대폭 완화된 계약학과 설치·운영 기준을 적용받게 된다. 첨단분야 산업체의 채용예정 인재를 양성하는 경우 별도의 계약학과 설치 없이도 기존 학과에 계약정원을 추가하여 운영할 수 있고, 산업체의 운영경비 부담비율도 기존 50% 이상에서 50%..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kikGX/btscYqexBlh/J1MptDlxMeI4rxuTFICrKK/img.jpg)
(첨단분야) 반도체분야 654명 등 1,829명 순증(수도권 817명, 비수도권 1,012명) (보건의료 분야) 간호학과 410명 등 5개 보건‧의료 학과에 532명 배정 (간호정원 : 수도권 39명, 비수도권 371명)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이주호)는 2024학년도 일반대학 첨단분야 및 보건의료분야 정원조정 결과를 확정하여 각 대학에 통보한다고 밝혔다. 1. 첨단분야 (신청현황) 2024학년도 첨단분야 순증 신청은 총 7,041명(33대학, 218개 학과)으로 이중 수도권 21개 대학에서 5,734명(81.4%), 비수도권 13개 대학에서 1,307명(18.6%)을 신청하였다. 분야별로는 반도체 2,011명, 인공지능 946명, SW‧통신 901명, 에너지‧신소재 917명, 미래차‧로봇 846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