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통계 (6)
교육부 공식 블로그

요즘 직업계고 취업을 지원하는 정책이 눈에 띄게 늘어나고 있는데요, 많은 학생들이 직업계고는 실제로도 취업이 잘 되는지, 또 이들을 위해 어떤 정책들이 시행되고 있는지 궁금해할 것 같아요! 그래서 오늘은 교육 통계자료를 바탕으로 직업계고의 취업률에 관한 과거와 현재 사이의 변화, 미래에 나아가야 할 방향을 소개해드릴게요! 직업계고 졸업자의 유지취업률 조사를 통해 무엇을 알 수 있나요? 교육부는 지난해 11월 직업계고 졸업자를 대상으로 이들의 졸업 후 상황에 대해 공공데이터베이스(DB)를 활용하여 조사를 진행했는데요. 이때 신뢰도 있는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취업통계 조사 체계를 개편한 후, 이에 대한 시범조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그리고 올해 직업계고 졸업자의 유지취업률을 처음으로 조사했다고 해요. 이렇게..

2,380만, 94%, 86% 이 수치들이 의미하는 것은 무엇일까요? 뜬금없이 나온 이 숫자들의 의미가 궁금하시다면, 이 글을 읽을 준비가 되셨네요! 지체할 것 없이 바로 답을 알려드릴게요! 1) 코로나19로 인해 약 2,380만 명의 어린이들과 학생들이 다음 해에 학교로 수업을 받을 기회가 없거나 자퇴할 위기에 놓여있다. 2) 코로나19로 인한 학교와 다른 교육 공간들의 폐쇄는 전 세계 학생의 94%까지 영향을 미쳤다. 3) 휴교에 대한 대처 능력은 국가의 발달 수준에 따라 상이하게 달랐다. 2020년 2분기까지 저개발국가 초등학생의 86%가 학교를 떠났지만, 선진국의 경우에는 겨우 20%만 학교를 떠났다. 이 통계는 2020년 8월에 UN에서 발표한 ‘코로나 시대 교육과 향후 전망에 관한 정책 보고서..
중학생을 위한통계로 세상 배우기 우리는 데이터가 넘쳐나는 시대를 살고 있습니다. 특히 디지털화나 인터넷의 영향으로 세계적으로 데이터가 축적되는 것이 더욱 가속화되고 있죠. 이렇게 축적되는 다양한 형태의 방대한 양의 데이터로 인해 ‘빅데이터’라는 환경이 만들어졌다고 합니다. 빅데이터와 통계최근 언론 등 각종 매체에서 자주 등장하는 빅데이터란 정확히 무엇을 의미하는 것일까요? 빅데이터의 의미를 찾아보면 ‘기존의 데이터베이스 관리도구로 수집, 저장, 관리, 분석할 수 있는 역량을 넘어서는 대량의 정형·비정형 데이터의 집합, 이러한 데이터로부터 가치를 추출하고 결과를 분석하는 기술’이라고 정의하고 있습니다.(출처:위키백과) 빅데이터에 대한 정의나 빅데이터를 바라보는 관점은 바라보는 주체에 따라 조금씩 다르긴 하..
통계지도 ■ 통계 자료의 내용을 지도에 옮겨 담아요.서울의 각 지역에는 얼마나 많은 초등학생이 살고 있을까? 우리나라에서 홍수가 가장 자주 발생하는 지역은 어디일까? 혹시 이런 궁금증을 가져본 적 있나요? 이러한 정보를 한눈에 비교해 볼 수 있도록 지도에 옮겨 표현한 것이 바로 통계지도입니다. 다시 말해, 통계지도란 수치화된 통계자료를 지도 위에 표현한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2013년 서울시 구별 초등학생 수(통계자료)(출처: 에듀넷) ▲ 2013년 서울시 구별 초등학생 수(통계지도)(출처: 에듀넷) 위의 통계자료는 서울시의 구별 초등학생의 수를 나타낸 것입니다. 그리고 이것을 통계지도로 나타낸 것이 그 아래의 지도입니다. 통계자료의 경우, 어떤 구의 초등학생 수가 몇 명인지는 알기 쉽습니다. ..
며칠 전 'EBS Math' 활용 안내의 가정통신문을 학교에서 받았습니다. 이용 대상이 중학교 1학년으로 되어 있어 흥미를 느끼지 않았다가 사이트를 방문해 보았는데요. 참 좋은 사이트라고 느껴 소개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중학교 3학년인 저에게도 재미있고 도움되는 동영상과 웹툰이 많았거든요. 현재 제공되는 주요 서비스로는 수학 동영상 콘텐츠 96편, 인터랙티브 게임 45편뿐만 아니라 수준 있는 문제 2,000개가 서비스되고 있다고 안내되어 있습니다. 둘러본 결과 꼭 추천해드리고 싶은 사이트입니다. 자, 그럼 제가 특히 흥미로웠던 수학 단원에서 '통계'와 '문자와 식'에 대해 어떻게 개념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지 알려드리겠습니다. 생각을 합리적으로 할 수 있다. 통계 공부해 볼까? 통계, 왠지 계산..
오늘도 어김없이 고등학교 3학년 자율학습실에는 밤늦게까지 불이 켜져 있다. 많은 고3 학생들이 올해 11월 18일에 시행될 2011학년도 수능을 향한 긴 여정을 달리고 있는 중이다. 대부분의 학생들이 가장 어려워하는 과목은 단연 수리영역, 즉 ‘수학’이다. 그런데 내년부터는 수능이 바뀐다. 특히나 수리영역은 제도가 많이 바뀐게 된다. 현 고3학생들은 7차 교육과정에 따라 구성된 수학 교과서로 공부하고 있지만 현 고2 학생들은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서 바뀐 수학 교과서로 공부하고 있다. 개정된 수학교과 과정, 어떻게 바뀌었고 바뀐 이유는 무엇일까? 그리고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 수학교과서, 어떻게 바뀌었나? 7차 교육과정 상에서 수학교과는 수학 10-가 · 나, 수학Ⅰ, 수학Ⅱ가 있었다. 그리고 선택과목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