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학교행사 (5)
교육부 공식 블로그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AYDLh/btrM8OzvPMX/YDKhP8ALyHr3TrKArNWZbK/img.jpg)
선선한 바람이 부는 가을, 독서의 계절이 왔습니다. 오늘은 독서의 중요성과 학교에서 독서를 장려하기 위해 진행하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소개하겠습니다. 독서의 중요성 좋은 책을 읽는다는 것은 과거 몇 세기의 가장 훌륭한 사람들과 이야기를 나누는 것과 같다. -르네 데카르트- 프랑스 철학자 르네 데카르트는 위와 같은 말을 하며 독서의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 그렇다면 우리는 1년에 책을 얼마나 읽을까요?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실시한 ‘2021년 국민독서실태조사(격년 시행)’에 따르면, 연간 독서량(교과서, 참고서, 수험서, 잡지, 만화를 제외한 종이책)은 성인 4.5권, 학생 34.4권으로 2019년과 비교하면 성인은 3권, 학생은 6.6권이 감소했습니다. 생활 영역에서 스마트폰의 이용 정도와 다양한 동영상 매체 ..
교장 선생님이 이메일을 자주 보내는 이유는? 미국에서 초등 학부모로 지내면서 가장 많이 받은 메일은 다름 아닌 교장선생님으로부터 발신된 메일입니다. 물론 학교에서 학생들을 통해 갖가지 안내문과 행사 일정을 보내고 숙제와 함께 전달사항도 보내는데요. 그럼에도 교장선생님이 자주 이메일을 보내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부모가 직접 확인하는 이메일은 학교와의 소통 수단으로 주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학교 행사를 안내문으로 배부할뿐 아니라 교장 선생님이 직접 학부모 이메일로 보낸다. ■ “학교와의 소통, 이렇게 하니 참 좋네요!”자녀가 학교에서 배부해준 안내문을 바로 전달해주지 않거나 전달사항을 까맣게 잊기라도 하면 학부모는 학교 행사나 일정을 전혀 듣지 못하게 되는 일이 생깁니다. 직장 때문에 바쁜 학부모들은..
하노이한국국제학교의 다양한 학교 행사 하노이한국국제학교 | 학교행사 | 가을운동회 | 수학여행 | 베트남 | 풍선날리기 | 체조 | 한울림 | 풍물단* 하노이한국국제학교에도 가을이 왔습니다.무더운 베트남 하노이에도 가을이 찾아왔습니다. 한국처럼 아름답게 단풍이 들거나 하는 건 아니지만 다소 선선해진 날씨에 가을이 왔다고 느껴집니다. 이 계절을 맞이하여 하노이한국국제학교 학생들을 다양한 행사들을 기획하고 참여합니다. 초등의 가을 운동회, 6학년 학생야영활동과 중등의 체육대회, 축제 등이 그것입니다. 학생들의 눈높이에 맞춘 다양한 행사들이 깊어가는 하노이의 가을을 더욱 의미 있게 하는 것 같습니다. * 초등 가을 운동회 소식을 전합니다.한국에서는 가을 운동회가 다 마무리된 시기인 것 같은데요, 하노이에서는 ..
학부모 중 자녀교육에 관심 없는 사람이 있을까요? 어떤 학부모이든 나의 아이가 올바르게 잘 자라줬으면 하는 마음을 갖고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학교나 교육기관 등에서 열리는 학부모 모임 가보면 아버지보다 어머니를 더 많이 볼 수 있습니다. 아무래도 시간적인 여유를 가진 아버지보다는 어머니가 더 많기 때문이겠지요? 그러나 예외는 있는 법~ 여기 학교 참여 활성화를 위해 나선 아버지들이 있습니다. 바로 '아버지 교육기부단'인데요. 인천시 서부교육청의 “아버지 교육기부단” 활동을 통해 어떤 변화가 이뤄지고 있는지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아버지 교육기부단이란? 지난 3월 교육과학기술부가 ‘아버지 학교참여 지원분야’ 선도적 교육지원청으로 지정한 인천시 서부교육청이 아버지들에게 학교참여 기회를 확대코자 만든..
막내초딩 | IDEA팩토리 박정호 명예기자 | jungho0818@naver.com 환경과 과학을 사랑하는 미래의 지식in ! 정호의 활약을 기대해주세욧! 공부만 하는 학교, 학생들의 성적만을 원하는 학교, 학생들은 이런 학교들을 좋아하지 않을뿐더러 학교에 가기 싫어합니다. 학교 공부로 스트레스를 받고 있는 학생들을 위해 학교에서는 지금 어떤 프로그램을 하고 있을까요? 그리고 학생들에게 공부나 성적 이외에 중요하고 의미 있는 학교행사들은 무엇이 있는지 취재해 보았습니다. 최근 주 5일 수업제로 변경된 후 **중학교에서는 각종 토요프로그램이 생겼습니다. 토요일, 등교하지 않는 대신 학교에서는 무료로 강의하고 있는데요. 이런 토요프로그램을 하면 학생들의 생활습관뿐만 아니라 학교생활을 좀 더 밝게 생활할 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