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학교 (536)
교육부 공식 블로그

◈ 집중방역 기간 동안 전국 146,077개 교육시설 특별점검 실시 - 전국 유·초·중·고 집중방역 기간(4.21.~5.11.) 동안 학교의 코로나19 확진자 발생 추이 소폭 감소 ◈ 서울·울산교육청, 이동형 유전자증폭(PCR) 검체팀 시범 운영 기간(5.3.~5.14.) 동안 67개교 학생 4,669명 검사 ◈ 학원 종사자에 대한 선제적 유전자증폭 검사 실시 ◈ 서울대학교 신속분자진단 2주간 운영 결과 검사자 전원 음성 판정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유은혜)는 코로나19 4차 대유행에 대비한 학교의 안전과 일상회복 지원을 위해 4월 21일(수)부터 3주간 ‘전국 학교·학원 집중방역 기간’으로 정하여 운영하였다. 그 기간에 ①교육기관에 대한 기본방역 수칙을 안내하여 철저히 준수하여 줄 것을 요청하였으..

17개 시도교육청의 부교육감과 ‘제3차 학교일상회복지원단 회의’를 진행하였습니다. 학교의 일상 회복을 지원하기 위하여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방역, 백신 등 주요 사항을 공유하고, 시도교육청의 방역 현장 점검 상황과 애로 사항에 대해 의견을 청취하였습니다. #교육부 #교육청 #학교ㆍ학원집중방역기간 #특별방역관리주간 #학교일상회복 #방역

◈ 유·초·중등 등교수업 및 진단검사 현황 등 - 전체 20,512교 중 20,285교(98.9%)가 밀집도 조정을 통한 등교수업 실시 - 전체 학생 593만 명 중 431만 명(72.7%) 등교수업 실시 - 4.15.∼4.21.간 일 평균 학생 52.7명, 교직원 9.4명 확진 - 경기 고양 ㅇㅇ고·ㅁㅁ고·△△초 학생·교사 확진 관련 1,318명(학생 1,160, 교직원 158) 전원 음성 ◈ 대학 코로나19 확진자 발생 보고 현황 - 4.15.∼4.21.간 일 평균 학생 22.2명, 교직원 2.1명 확진 1. 유·초·중등 등교수업 및 진단검사 현황 등 학교 현황(4.22. 10시 기준) 등교수업 학교 현황 구 분 학교 수 (잠정) 등교수업 학교 (밀집도 조정 등) 등교 조정 (전학년 원격수업) 재량휴..

더 특별한 학교 방역과 각별한 관심을 당부드립니다. 전국 학교·학원 코로나19 방역대응 강화 조치 발표 ✔ 전국 학교·학원 대상 집중방역기간(4.21.~5.11.) 운영 ✔ 서울지역 학생·교직원 대상 이동검체 검사 시범 운영 ▶자세히 보기: https://bit.ly/3n3Sq7y #교육부 #학원 #학교 #코로나19 #방역대응 #강화

◈ 전국 학교·학원 대상 집중방역기간 운영 - ’21.4.21.부터 5.11.까지 유·초중고·대학 및 학원 3주간 운영 - 모든 학생·교직원 5대 예방수칙 준수 강조, 학교에서 반복 교육 및 학교 안팎 생활지도, 유증상자 관리 및 시설 방역 등 강화 - 교육부, 교육기관 현장점검단 6월 하순까지 집중 운영 - 교육부·교육청은 「학교일상회복지원단」, 교육부·대학은 「대학 방역관리 전담팀(TF)」 가동하여 주기적 점검 ◈ 서울지역 학교순회 이동 검체팀 시범 운영 - 서울지역 선제적인 PCR 검사 시범 추진, 추후 타시도 확대 검토 교육부(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는 4월 21일(수)부터 3주간「전국 학교·학원 집중방역기간」(4.21.~5.11.)으로 정하고, 서울특별시교육청 소속 학생 및 교직원 중 희망..

방역관리 및 학사운영 현황을 점검하기 위해 전문대학(연성대학교), 고등학교(양명고등학교) 현장을 방문했습니다. 코로나19 확산과 그에 따른 학생 및 교직원 감염이 증가함에 따라 각급 학교현장을 직접 점검하고 현장 간담회를 통해 방역 및 학사운영 시 애로사항 등 학교 관계자의 폭넓은 의견을 청취하였습니다. #교육부 #학교 #현장 #코로나19 #방역관리 #현장간담회

"학교를 떠올리면 어떤 그림이 떠오르나요?" 아마 우리나라 사람들은 모두 위 그림과 같은 모양의 학교를 그릴 것입니다. 누가 이렇게 그리라고 강요하지도 않았을 텐데 말입니다. 이것은 1962년 학교시설 표준설계도 제정에 따라 시설은 남향 배치, 현관 양측으로 3~4개 교실 배치, 10m 내외 폭의 ㅡ자 형 건물, 편복도라는 기준을 정해놓고 오늘과 같은 학교들이 우후죽순 늘어나게 되었습니다. 이 제도는 1992년 공식적으로 폐지되었으나 아직도 학교 설계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하는데요. (신원식(2013) 연구) 학교는 저마다 동네도 다르고, 학교의 구성원 수도 다르고, 학교의 특색 교육과정도 다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학교들은 비슷한 형태와 교실의 모습을 가지고 있습니다. 쉴 공간과 놀이 공간이 부재한..

코로나 19로 등장한 온라인 등교와 함께 주목받고 있는 학습법 "자기주도학습" 이를 위해 가장 먼저 중요한 것은 부모의 계획이 아닌 아이 스스로 세운 계획! 부모는 어떤 역할을 해야 하는지, 계획은 어떻게 세우면 좋을지 함께 알아볼까요? #교육부 #초등학생 #학습공백 #자기주도학습 자기주도학습이란? 아이 스스로 자신에게 잘 맞는 공부법, 현재 자신의 공부 수준과 위치 등을 파악하고 채워가는 과정 1단계: 마음먹기(목표 설정) ✔ 아이가 목표를 세우고, 꿈을 가질 수 있도록 본격적인 대화 시작 ✔ 지금 하는 공부의 주인이 다른 사람이 아닌 아이 자신임을 인식하도록 지원 "공부는 누구를 위해서 하는 것일까?" "부모님도, 선생님도 아닌 바로 저를 위해서요!" 2단계: 도전하기(공부 계획 수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