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한국연구재단 (65)
교육부 공식 블로그
2013 대학 창업교육 및 창업문화 한마당 개최- 도전하는 청춘, 함께여는 미래 -교육부(장관 서남수)와 전국학생창업네트워크(이하 SSN: Student Startup Network)(회장 김주환)가 공동으로 주최하고 한국연구재단, 벤처기업협회, 한국청년기업가정신재단,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창업교육센터협의회가 공동으로 주관하는 『2013 대학 창업교육 및 창업문화 한마당』행사가 6월 3일(월) 서울대학교 글로벌공학교육센터에서 개최되었습니다.이번 행사는 “도전하는 청춘, 함께여는 미래”라는 주제를 가지고 학생창업 생태계 관계자들이 창조경제 실현의 주축인 대학생 창업인재 육성을 위한 추진 전략과 비전을 함께 공유하고 소통하는 장이었습니다.제1부 행사(창업한마당 발대식)는 청년창업의 주축이 될 학생과 이를 ..
'사람과 삶, 세상을 잇는 인문학’이란 제목으로 진행되어 온 인문학 대중화 사업이 올해로 6년째가 됩니다. 인문학과 대중과의 소통을 확대하여 인문학의 효용성과 가치에 대한 국민의 인식을 높여왔다는 평을 받고 있습니다. 그 중 교육부 주최, 한국연구재단 주관, 서울역사박물관 협찬으로 이루어지는 석학인문강좌가 3월 개강하였습니다. 첫 강의는 ‘미래와 만나는 한국의 선비문화.’라는 주제로 서울대학교 명예교수이며 이화여자대학교 석좌교수이신 한영우 교수님이 해 주셨습니다. 강연내용이 실려있는 책자, 강연을 듣는 사람 모두에게 매주 한 부씩 제공되었습니다. 네 번으로 이루어지는 3월 강의를 두 번에 나누어 소개하겠습니다. 먼저, 3월 9일과 16일에 있었던 강의입니다. 제1강 미래와 만나는 한국의 선비문화-한영우 ..
산화물의 특성차이 규명 - 미국 세라믹학회지 발표, 산화 환원의 온도 의존성 차이가 기포제거 능력을 좌우 - 국내 연구진이 TFT-LCD 이나 OLED 등 디스플레이용 모듈의 핵심부품인 기판유리의 최종 품질을 좌우하는 기포제거 공정, 즉 청징*에 쓰이는 화합물들의 기포제거 능력 차이에 대한 원인을 알아냈습니다. 앞으로 태양전지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고 투과율 기판 유리 개발 등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 청징(Fining) : 기판유리를 만들기 위해 여러 고순도 세라믹 원료의 혼합물을 녹이는 용융과정에서 발생하는 기포를 제거하는 공정입니다. 산화물을 청징제로 이용합니다. ○ 군산대학교 신소재공학과 김기동 교수가 수행한 이번 연구결과는 교육과학기술부(장관 서남수)와 한국연구재단(이사장 이승종)이 추..
스티커형 전자소자 개발 - 첨단기능성 물질지 표지논문 발표, “종이, 피부, 곡면 등에도 전자소자 제작 가능” - 국내 연구진이 어디든 쉽게 붙였다 떼었다 할 수 있는 스티커형 전자소자를 개발해냈습니다. 이를 이용하면 종이나 피부, 요철이 있는 곡면에도 전자소자를 스티커처럼 붙일 수 있어 탈부착형 디스플레이, 태양전지, 배터리, 의료 및 환경 감시 센서 등에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 광주과학기술원(총장 김영준) 고흥조 교수 연구팀이 수행한 이번 연구결과는 교육과학기술부(장관 서남수) 및 한국연구재단(이사장 이승종)이 추진하는 중견연구자지원사업(핵심) 및 광주과기원 특화연구(국제협력)의 지원을 받아 이뤄졌으며, ○ 재료과학 분야 권위지 첨단기능성 물질(Advanced Functional Ma..
귀금속 나노촉매 개발 - 효능 손실없이 반복 사용 가능한 귀금속 나노 촉매 개발 - 효능의 손실 없이 반복해서 재사용이 가능한 귀금속 나노촉매가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되어 환경오염을 줄이고, 나노소재의 실용화 가능성이 높아져 막대한 경제적 효과를 나타낼 것으로 기대됩니다. ○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원장 문길주) 분자인식연구센터 우경자 박사팀과 특성분석센터 안재평 박사가 공동으로 수행한 이번 연구는 교육과학기술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추진하는 나노·소재 기술개발사업 및 KIST 기관 고유사업의 목적으로 수행되었으며, ○ 20일, 세계 최고 권위의 과학저널 네이처(Nature)의 자매지인 ‘Scientific Reports’ 에 게재되었습니다. * 논문명 : Core-Shell Bimetallic Nan..
생분해성 미립자 개발- 골프공 형태로 제조하여 반응성과 이동성 탁월 - 국내 연구진이 조영제나 형광물질과 같은 바이오이미징 물질을 운반할 수 있는 수㎛ 크기의 골프공 모양 생분해성 미립자를 개발하였습니다. 골프공처럼 표면에 보조개(dimple) 같은 요철이 있는 이 미립자는 기존 구형의 매끄러운 미립자보다 세포와의 상호작용 우수하여 세포 안으로 함입되는 능력이 훨씬 뛰어난 것으로 판명되었습니다. ○ 공주대학교 신소재공학과 조국영 교수와 충남대학교 분석화학기술대학원 임용택 교수가 공동으로 수행한 이번 연구결과는 교육과학기술부(장관 서남수)와 한국연구재단(이사장 이승종)이 추진하는 일반연구자지원사업(기본연구)의 지원으로 수행되었으며, ○ 고분자 분야 유수저널 Macromolecular rapid commun..
불연속 상전이 현상 규명- 억압하는 환경 속에서 대규모 집단 형성의 비밀 밝힘- 국내 연구진이 성장을 억압하는 환경에서 소규모 집단이 대규모 집단으로 급진적으로 진화할 수 있는 조건을 물리학의 상전이 개념을 이용하여 밝혀냈습니다. ○ 교육과학기술부(장관 이주호)와 한국연구재단(이사장 이승종)이 추진하는 중견연구자지원사업(도약연구)의 지원을 받은 서울대학교 물리천문학부 강병남 교수 연구팀이 스위스 공과대학 Herrmann 교수와 공동으로 수행한 이번 연구결과는 사이언스지 3월 8일 자 온라인판에 게재되었습니다. * 논문명 : Avoiding a Spanning Cluster in Percolation Models 서로 모르는 사람들도 시간이 흐르면서 사회적 관계를 통해 집단을 형성하게 됩니다. 이 경우 소..
‘동해 독도’에서 신규 로돕신 발견 - Genome Biology and Evolution지 표지논문 게재 - 국내 연구진이 ‘동해 독도’라는 애칭으로 불리는 독도의 해양미생물 논라벤스(동해아나) 독도넨시스에서 새로운 타입의 미생물 로돕신* 단백질을 찾아냈습니다. * 미생물 로돕신(microbial rhodopsin) : 빛을 이용해 사는 미생물이 가진 광활성 이온펌프 또는 센서 단백질, 레티날을 이용하여 광화학적 반응을 일으키는 데 관여합니다. ○ 연세대학교 시스템생물학과 김지현 교수(한국 생명공학연구원 바이오합성연구센터 초빙연구원) 연구팀이 주관하고 성균관대학교 윤정훈 교수와 한국 생명공학연구원 오태광 박사 등이 참여한 이번 연구는 교육과학기술부(장관 이주호)와 한국연구재단(이사장 이승종)이 추진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