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 공식 블로그
전 산업과 사회의 각 영역에서 활약할 디지털 인재를 양성하고,정보교육 내실화로 사교육 유발을 최소화하겠습니다. 본문
전 산업과 사회의 각 영역에서 활약할 디지털 인재를 양성하고,정보교육 내실화로 사교육 유발을 최소화하겠습니다.
대한민국 교육부 2022. 8. 23. 15:46
언론사명 : 다수 언론 / 2022. 8. 23.(화)
제목 : ‘100만 디지털 인재, 인력과잉에 취업 낭패 우려”, 수도권 쏠림, 초‧중 코딩교육 필수화 사교육 우려, 교원확보는 어쩌나 등
< 보도내용에 대한 설명 >
100만 디지털 인재는 디지털 산업분야뿐만 아니라, 사회 각 분야에서 활약할 인재인 점을 고려하면 공급 과잉이 아닙니다.
디지털 부문, 8개 세부분야* 실태조사 등을 기초로 향후 5년간(’22~’26)의 필요 인력 규모를 약 73.8만 명으로 추산했으며, 우리 사회‧경제 전반의 디지털 전환과 그 파급에 따른 여타 산업의 성장 가능성을 고려할 때 필요한 인력은 그 이상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 인공지능(AI), 일반SW(블록체인 등 포함), 클라우드, 사물인터넷, 확장가상세계(AR, VR 포함), 5G‧6G, 빅데이터, 사이버보안 등 총 8개 디지털 신기술 분야
이에 따라 일반 산업과 사회의 모든 영역에 걸쳐 소프트웨어(SW), 인공지능(AI) 등 디지털 역량을 갖춘 인재들의 수요는 급증할 것이고, 인재양성의 시차를 고려하면 지금부터 충분한 규모의 인재를 양성할 필요가 있습니다.
[사례1]
소프트웨어마이스터고 졸업생의 취업기관 다양화 |
(기존) IT‧SW기업에 주로 취업
→ (최근) 은행(핀테크), 금융감독원, 유통‧물류기업, 패션(트렌드 분석) 등 다양화 |
[사례2]
공공부문에 디지털 인재 활용 확대 |
제1차 데이터기반행정 활성화 기본계획(’21~’23)에 따라 데이터 전문인력(전산직렬 데이터직류 공무원 등) 확충 지원 등
|
[사례3]
다른 신산업에 디지털 기술 활용 확대 |
(구글) 반도체 설계에 AI 기술을 적용하여 설계 개발 시간을 대폭 단축
(스탠포드대) AI를 활용한 전기자동차 배터리 초고속 충전 최적화 기술 개발 |
아울러 디지털 전환 시대를 살아갈 미래세대와 모든 국민들이 디지털 역량을 갖추도록 지원하는 것은 국가의 책무입니다.
정부는 디지털 인재양성 종합방안을 통해 학생(직업계고 학생, (전문)대학생, 대학원생 등)뿐만 아니라 구직자, 재직자 등도 직업교육훈련과 전환교육을 통해 디지털 인재로 양성할 계획입니다.
이번 100만 명 인재양성 목표 중 학교(대학 등)가 주관하는 규모는 약 52%, 학교 외 기관(기업, 직업훈련기관 등)이 주관하는 규모는 약 48%입니다.
첨단 분야에 정원 제도를 개선한 것은 수도권 대학에만 특혜를 줄 의도가 아니라, 디지털 인재양성 역량이 충분한 모든 대학을 전폭적으로 지원한다는 의미입니다.
비수도권에서도 디지털 인재양성에 대한 역량과 의지가 있는 대학에 대하여는 강점 분야를 중심으로 적극적 역할을 수행하고 역량을 발휘할 수 있도록 지원을 강화할 계획입니다.
아울러, 사회관계장관회의, 첨단산업 인재양성 특별팀 등 범부처 협업체계를 통해 정책과제별 추진상황과 디지털 분야 인재의 수요와 공급 상황을 함께 주기적으로 점검하고 필요시 보완대책을 마련하는 등 이번 방안을 빈틈없이 이행하겠습니다.
< ‘정보교육 확대’에 대한 설명 >
디지털 사회로의 전환으로 디지털 소양이 미래세대의 핵심역량이 됨에 따라 ‘2022개정 교육과정’을 통해 정보교육을 확대하는 것입니다.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권역별 핵심교원 연수, 학생․학부모 공감&소통 콘서트, 공청회 등 대국민 의견수렴을 통해 정보 교육과정 강화를 추진하는 총론 주요사항*을 발표한 바 있습니다.
*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 주요사항 발표(2021.11.) : 대국민 의견수렴 등을 바탕으로 정보교육 시수 확대, 코딩교육 강화 및 코딩과목 신설 등 관련 사항 명시
학생들이 부담 없이 코딩교육을 포함한 정보교과수업 등 디지털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2022개정 교육과정’ 추진과정에서 세심하게 검토하겠습니다.
※ 총론 주요사항 발표(2021.11.)→총론 및 각론 개발‧고시(~2022.하)→적용(초1‧2, 2024~)
학교에서의 디지털교육도 정보교과 수업(초 34시간 이상, 중 68시간 이상)을 기반으로 학교자율시간 및 관련 교과와 창의적 체험활동 등을 활용하여 다양한 디지털 활용 역량을 키우며, 교과 융합 학습을 통해 디지털 역량을 확장하도록 지원하여 사교육과 차별화되는 학교교육의 혁신 모델을 만들어 가겠습니다.
이를 위해 초등교사는 재교육을 통해 기존 교원을 최대한 활용하고, 중등교사는 2025년부터 증가될 정보교과 시수에 맞춰 중장기교원수급계획에 반영할 계획입니다.
※ 정보‧컴퓨터교과 교사자격증 발급 규모는 연간 516명(2019~2021년 평균) 수준이며, 교원 신규임용도 연간 174명(2020학년도~2022학년도 평균) 수준
초‧중등교육부터 고등‧평생교육에 이르는 전주기적 교육 시스템 내에서 질 높은 디지털 교육의 충분한 기회를 보장하여 추가적인 사교육 부담을 갖지 않도록 정부가 노력하겠습니다.
※ (초중등) 인공지능(AI)교육 선도학교 확대, 디지털문제해결센터 운영, 방학중(방과후) 캠프 도입
(대학) 부트캠프 등
※ 보도자료 전체보기는 상단의 첨부파일을 확인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보도자료 > 설명·해명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육부 2023년도 예산안 편성에서지방대가 소외되었다는 지적은 사실과 다릅니다. (0) | 2022.08.30 |
---|---|
학교 수업 만으로도 충분한 정보교육을 준비하고,선행학습 유발 허위‧과장 광고에는 엄정 대처하겠습니다 (0) | 2022.08.29 |
연구윤리 확보를 위한 지침 개정안은 관련 절차에 따라 진행 중입니다. (0) | 2022.08.11 |
외국어고를 포함한 고교체제 개편 방안은 연말까지 시안을 마련하여 발표할 예정입니다. (0) | 2022.08.05 |
정부는 반도체 등 첨단분야에 필요한 석·박사 인력을 내실있게 양성해 나가겠습니다. (0) | 2022.08.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