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 공식 블로그

우리나라의 전통 악기 본문

학습자료/사회

우리나라의 전통 악기

대한민국 교육부 2015. 7. 31. 15:03


우리나라의 전통 악기



예로부터 우리나라에서 연주되었던 악기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우리나라 전통 악기를 소개하고 있는 역사서를 통해 옛날 우리 선조들이 사용하던 악기에 대해 알아볼 수 있습니다. ‘삼국사기’라는 역사책에는 고구려, 백제, 신라의 악기 이름 일부가 소개되어 있고, ‘고려사’라는 역사책에는 30종의 악기가 소개되어 있습니다. 또한 조선시대의 ‘세종실록 오례의’에는 54종, 조선 전반기의 음악을 총정리한 ‘악학궤범’에 65종의 악기가 소개되어 있습니다. 


악기를 분류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그중 소리를 내는 방법에 따라 악기를 분류하는 방법이 있는데, 줄을 울려 소리를 내는 악기를 ‘현명 악기’, 공간을 울려 소리 내는 악기를 ‘공명 악기’, 몸체를 울려 소리 내는 악기를 ‘체명 악기’, 가죽을 울려 소리 내는 악기를 ‘피명 악기’라고 합니다. 그럼 우리나라의 전통 악기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함께 알아봅시다.



■ 현을 울려 소리 내는 현명 악기

줄을 울려 소리를 내는 우리나라 현명 악기로, 거문고, 가야금, 아쟁, 해금, 비파 등이 있습니다. 거문고는 오동나무와 밤나무를 붙여서 만든 울림통 위에 여섯 개의 줄을 매달고 ‘술대’라고 하는 막대기로 쳐서 소리를 내는 악기입니다. 거문고는 조선시대 선비들이 연주하던 대표적인 악기로, 비슷한 악기인 가야금에 비해 낮고 굵직한 음색을 냅니다. 가야금은 오동나무로 만든 몸체에 12줄을 매달아 오른손으로는 줄을 뜯고, 왼손으로 줄을 흔들거나 누르면서 연주하는 악기입니다. 거문고에 비해 가늘고 높은 음색을 냅니다. 아쟁은 오동나무 공명통 위에 7개의 줄을 걸고, 개나리 나무의 껍질을 벗겨 만든 활대로 줄을 문질러 소리를 내는 악기입니다. 거친 저음이 나는 아쟁은 합주 음악에 사용되는데, 전체 합주의 음량을 크고 웅장하게 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유목민들이 즐기던 악기였던 해금은 고려시대 때 우리나라로 전해졌습니다. 대나무로 만들어진 해금은 말총으로 만든 활로 줄을 문질러 소리를 내는 악기입니다. 물방울 모양의 몸통을 가진 비파는 줄을 튕겨서 연주하는 악기입니다. 밖으로 타는 것을 ‘비(琵)’, 안으로 타는 것을 ‘파(琶)’라고 하였는데, 그것이 그대로 이름이 된 악기입니다. 비파는 네 줄을 가지고, 목이 굽은 당비파, 다섯줄을 가지고 목이 곧은 향비파로 구분됩니다. 비파는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궁중의 안팎에서 널리 연주되었지만, 일제 강점기를 거치면서 연주법이 전승되지 않아 현재는 연주되지 못하고 있습니다.


  

   ▲가야금(출처: 에듀넷)                             ▲거문고(출처: 에듀넷)  


  

   ▲비파(출처: 에듀넷)                                 ▲아쟁(출처: 에듀넷)   

▲현명 악기



■ 공간을 울려 소리 내는 공명 악기

공간을 울려 소리를 내는 우리나라 악기로는 대금, 단소, 생황, 훈, 태평소, 나발 등이 있습니다. 대금은 우리나라 전통 관악기 중 길이가 길고 굵은 편으로, 다양한 연주기법으로 다양한 소리를 만들어 낼 수 있는, 표현력이 풍부한 악기입니다. 대나무로 만든 대금은 오른편으로 비껴, 가로로 잡고, 입김을 불어 넣어 소리를 내는 악기입니다. 단소는 세로로 부는 관악기로, 뒤에 한 개, 앞에 네 개의 손으로 막는 구멍인 ‘지공’이 있습니다. 부드럽고 청아한 음색을 내는 단소는 생황이나 가야금, 또는 거문고와 ‘병주’를 하기도 하고, 독주 악기로도 널리 애용되어 왔습니다. 피리나 대금보다 배우기가 쉽고, 편안하고 부드러우면서 청아한 소리를 내는 단소는 남녀노소 누구나 즐길 수 있는 우리나라 고유의 관악기입니다.


생황은 박으로 통을 짜고 그 위쪽 둘레를 돌아가며 구멍을 내고 거기에 대나무 관을 꽂아 만든 악기로, 우리나라 악기 중 유일하게 화음을 내는 악기입니다. 관의 개수에 따라, 화(13관), 생(17관), 우(36관) 이렇게 세 종류가 있었는데, 조선 후기에는 주로 17관의 생황이 사용되었습니다. 생황의 음색은 하모니카의 화음 소리처럼 맑고도 부드럽고, 약간 쇳소리가 섞인 듯하며 밝고 아름다워 단소와 함께 병주로 널리 쓰이고, 다른 소규모 합주에도 이용됩니다. 훈이라는 악기는 흙으로 빚은 뒤 구워서 만드는 관악기로, 입으로 불어서 소리를 냅니다. 저울추 모양의 우리나라 훈은 앞쪽에 세 개, 뒤쪽에 두 개의 지공이 뚫려 있으며, 궁중의 제사를 지낼 때 사용되었던 악기입니다. 날라리, 새납, 호적이라고도 불리는 태평소는 대추나무 등으로 만든 관대 끝에 놋쇠, 구리, 주석 등을 두들겨 깔때기 모양으로 만든 것을 붙인 악기로, 음량이 크고 음색이 화려하면서 강렬하여, 행진용 궁중 음악이나 야외용 민속 음악에 널리 사용되었습니다. 현대에 창작되는 국악곡에서도 많이 사용되는 악기입니다.


▲공명 악기(출처: 에듀넷)



■ 몸체를 울려 소리 내는 체명 악기

몸체를 울려 소리를 내는 우리나라 전통 악기로는 징, 꽹과리, 박, 편경 등이 있습니다. 대금이라고도 하는 징은 놋쇠로 만든 둥근 모양의 악기로 손에 들거나 매달아 놓고 헝겊을 감은 채로 쳐서 소리를 내는 악기입니다. 징의 소리는 여운이 길고 울림이 깊습니다. 또한, 채 끝에 헝겊을 감아 치기 때문에 부드러운 음색을 냅니다. 징은 풍물, 무속 음악, 불교 음악, 궁중의 종묘제례악 등에 두루 사용됩니다. 꽹과리는 놋쇠로 만든 둥근 모양의 악기로, 탱자나무와 같이 단단한 나무로 만든 끝이 둥근 채로 두드리면서 소리를 냅니다. 음색이 높고, 강하며 날카로운 악기로, 농악에서 중요한 리듬 악기로 사용되고, ‘소금’이라는 이름으로 궁중 음악에서도 사용되었습니다.

박이라는 악기는 여섯 조각의 박달나무로 만들어진 악기로, 여섯 조각의 박달나무 각각의 한쪽 끝에 구멍을 뚫고, 한데 묶어서 만든 악기로, 주로 궁중음악에서 악절의 끝이나 시작, 또는 춤사위의 변화를 지시하기 위하여 사용하였습니다. 편경은 ‘ㄱ’자 모양의 돌 16개를 두 개의 층으로 된 나무틀에 위층과 아래층에 각각 8개씩 매달아 놓고 치는 악기입니다. 음높이의 순서대로 매어 달린 경돌은 두꺼운 것은 높은 음의 소리가 나고, 얇은 것은 낮은 음의 소리가 납니다. 조선시대 초, 명나라에서 들여온 악기로, 궁중제례악에 사용되었습니다.


  

        ▲징(출처: 에듀넷)                                ▲꽹과리(출처: 에듀넷)    


 

    ▲박(출처: 에듀넷)                                ▲편경(출처: 에듀넷)   

▲체명 악기



■ 가죽을 울려 소리내는 피명 악기

가죽을 울려 소리 내는 우리나라 전통 악기로는 북, 장구, 소고 등이 있습니다. 북은 나무로 짠 통에 가죽을 씌우고 채로 두드려 연주하는 악기입니다. 북은 쓰임에 따라 여러 가지 종류가 있는데, 생김새와 이름이 다 다릅니다. 판소리 장단에 쓰이는 ‘소리북(고장북)’, 풍물에 사용되는 ‘풍물북’, 행진에 쓰이는 ‘용고’, 북춤에 쓰이는 ‘교방고’, 불교의식에 쓰이는 ‘법고’, 사당패나 선소리꾼이 소리치며 치는 ‘소고’, 농악에 쓰이는 ‘매구북(농악북)’, 농부들이 일하며 치는 ‘못방고’ 등이 있습니다. 장구는 ‘세고요’, 또는 ‘장고’라고도 하는데, 몸통이 잘록하고 양 끝을 가죽으로 씌운 악기로, 채, 또는 손바닥으로 두들겨 소리를 내는 악기입니다. 고려시대에 송나라로부터 들어온 장구는 궁중 음악의 악기로 쓰였고, 그 뒤 민속 음악에 널리 쓰이는 악기입니다.


▲장구(출처: 에듀넷)



[자료출처: 에듀넷]







 


'학습자료 > 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음을 전하는 옷, 캉가  (0) 2015.08.03
세계의 음식  (2) 2015.08.03
신라의 해상무역  (0) 2015.07.31
세계의 지형  (0) 2015.07.31
세계의 기후  (1) 2015.07.3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