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 공식 블로그

한국과 딴판인 동유럽의 성탄절, 이유는? 본문

교육부 국민서포터즈

한국과 딴판인 동유럽의 성탄절, 이유는?

대한민국 교육부 2010. 12. 24. 11:00


볼록 카락소니(Boldog Karacsony), 베셀레 바노체(Vesele Vanoce), 부옹 바딸리(Buon Batale), 글래드 율 (Glad Yul). 하나 같이 알 수 없는 말 뿐이다. 하나같이 생소한 문장이라서 고개가 갸우뚱해지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비록 말은 다르지만 그 의미는 하나다. 유럽 대륙에 있는 각 나라들의 성탄절 인사다. 블록 카락소니는 헝가리어, 베셀레 바노체는 체코어, 부옹 바딸리는 이태리어, 글래드 율은 스웨덴어다. 

Merry Christmas 라는 영어에 너무 익숙하다보니 유럽에 있는 나라들의 성탄 인사가 자못 생소하게 들린다. "즐거운 성탄절 보내세요."  라는 우리말을 듣고 유럽 사람들도 똑같이 생각할 것이다. 어쩌면 극동 아시아에 위치한 한국에는 크리스마스가 있을까라고 의문을 가질 지도 모른다. 업무상 출장으로 헝가리, 체코, 오스트리아, 스위스를 다녀왔다. 유럽에는 이미 11월 셋째 주부터 크리스마스 분위기가 고조되고 있었다.
 
남녀노소를 막론하고 어린 시절 크리스마스에 대한 추억이 없는 사람은 없을 듯싶다. 빨간 옷을 입은 산타클로스 할아버지가 자고 있는 동안 머리맡에 선물을 놓아두고 갈 것 같았고, 루돌프가 끄는 썰매에는 내게 줄 선물 주머니로 가득 차 있을 거 같은 환상이 초등학교를 졸업할 때까지 계속되었던 기억이 새롭다. 크리스마스가 전국적인 행사로서 우리에게 친숙하게 된 것은 1950년대 이후임에도 불구하고, 성탄절을 우리의 명절이 아니라고 생각해본 적도 없고, 추석, 설날과 더불어 가장 기다려지는 날이 되었다.
  

유럽에는 크리스마스 4주 전부터 마을 광장에 Christmas market 이 열린다.

 

체코의 수도 프라하 광장에 크리스마스 트리가 세워졌다.


성인이 되어서도 크리스마스는 여전히 낭만적인 날이어서 왠지 밖으로 나가지 않고 집에 있으면 안 될 거 같은 기분에 휩싸인 적인 많았다. 누군가에게 선물을 하지 않으면 안 되고, 누군가로부터 선물을 받고 싶은 날이 성탄절이었다. 성탄절의 의미와 유래보다는 현란한 네온사인과 길 밖으로 퍼져나가는 캐럴 송의 선율에 더 열광했다.
 
사실 성탄절이 아기 예수가 태어난 것을 기리는 종교적인 날임에도 불구하고 그 종교성은 사라진 지 오래고 지금은 태국 같은 불교국가에서조차 여러 가지 행사를 벌이는 국제적인 연중행사가 되었다. 동시에 많은 회사들이 매출을 올리게 위해 '크리스마스 마케팅'에 열을 올린다. 양말 속에 선물을 넣어준다는 산타할아버지에 대한 이야기는 19세기 초 미국회사가 만들어 낸 그럴듯한 이야기라는 것을 알았을 때 마음속의 동심이 사라져 버린 것 같은 허전함을 느꼈었다. 그래서 그런지 상업적인 것으로 변질된 성탄절이 예전과 같이 마음속으로 다가오질 않는다.
  

크리스마스 트리는 프라하 광장에 있는 시계탑과 아름다운 조화를 이룬다

 

계단으로 올라가면 크리스마스 마켓이 한눈에 들어 온다. 프라하 광장에 설치된 간이 전망대.


시간이 지나면서 성탄절도 대륙별로 국가별로 조금씩 변형이 되었다. 크리스마스 캐럴을 부르는 풍습은 영국에서 시작이 되었고, 독일은 크리스마스 장난감으로 유명하다. 미국의 경우는 크리스마스트리를 꾸미는 것을 좋아하고 음악회 등의 축제 프로그램이 많은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기독교 인구가 많은 우리나라에서 성탄절을 기념하는 것은 이해가 되지만 기독교 인구비율이 전 국민의 0.5프로 밖에 되지 않은 일본의 경우는 종교적인 색채를 찾아 볼 수 없는 성탄절이라는 것이 그 특징이다. 종교성이 전혀 없는 단순히 예쁘고 깜찍한 성탄절이라니.
 
 

크리스마스 마켓은 사람들로 붐비고 크리스마스가 다가올 수록 축제분위기는 점점 고조된다


크리스마스 4주 전에 각 도시의 광장에는 '크리스마스 마켓'이 선다. 집에서 직접 만든 수제 치즈나 소시지 등을 가지고 나와 파는 사람도 있고, 꿀이나 끓인 와인을 파는 사람도 있다. 끓인 와인은 독일에서는 Gluehwein(글뤼바인)이라고 하고 불어권에서는 Vin Chaud(뱅쇼)라고 하며, 영어로는 Mulled Wine이라고 한다. 와인을 끓여서 먹는 것은 일본 술인 사께를 뜨끈하게 끓여서 먹는 것과 비슷한 이치라고 보면 된다. 단순히 와인을 끓이는 것이 아니라 생강이나 레몬 또는 계피 등 자신만의 제조법으로 여러 가지 향료를 넣어서 만들기 때문에 파는 가게마다 맛이 조금씩 다르다. 추운 날 Mulle Wine을 한잔 먹게 되면 온 몸이 좍 풀리는 느낌을 받는다. 나도 이번 여행에서 몇 잔 맛을 봤는데 맛이 제각기 달라서 계속 맛보고 싶어질 정도였다.
  

직접 집에서 만든 소시지를 크리스마스 마켓에 가지고 나와 판다


특히, 헝가리 부다페스트의 크리스마스 마켓은 유럽에서도 손에 꼽힐 정도로 유명하다. 파는 음식의 종류도 광범위할 뿐만 아니라, 동양 사람들에게도 아주 친숙하다. 한국 사람들에게는 다른 유럽과는 다르게 친근함이 느껴지는 장면도 많이 볼 수 있다. 헝가리의 시조는 동쪽 나라에서 왔다고 전해지는데, 실제로 헝가리 사람들은 우리와 같이 몽고반점이 있으며 이름을 구성하는 요소 중에 성이 먼저 쓰이고 이름이 나중에 쓰인다. 발린트 톰이라는 헝가리 친구가 있는데 발린트가 성이고 톰이 이름이다. 

동질감이 있다고 생각하고 봐서 그런지 사람들의 용모도 왠지 동양 사람들과 비슷한 것 같아서 큰 이질감이 느껴지지 않는다. 더구나 한국 사람들이 즐겨먹는 족발과 너무 비슷한 음식을 보니까 더 그랬다. 실제로 맛도 우리의 족발과 비슷했는데, 돼지고기의 냄새를 제거하기 위해 마늘이나 양파 등을 넣어 함께 끓여내는 방식이 너무도 흡사했다. 마자르족은 정말 동양에서 발원한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헝가리는 본래 동방에서 온 마쟈르 족이 기원이어서 그런지 친숙하게 보이는 음식이 많다


성탄절 기간에만 맛볼 수 있다는 끓인 와인. 추울 때 한 잔 마시면 속이 쫘악 풀린다


공장에서 대량 생산되는 물건을 공급받아 최종 소비자들에게 다시 판매하는 것이 아닌, 집에서 오랫동안 정성들여 만든 음식을 크리스마스 시즌에 맞추어 광장에서 판다한다는 의미는 '재화를 판다' 라는 경제활동에 중심을 두는 것이 아니라 크리스마스라는 축제를 위해 특별히 만든 것을 모든 사람과 '공유한다' 는 뜻이 더 강하다. 

미국의 거대 회사에서 대량으로 만들어 낸 똑 같은 상품을 돈을 주고 사고파는 상업적인 성탄절과는 확연하게 달랐다. 모든 사람들이 축제를 즐기는 가운데 집에서 만든 수제품들은 그 정성을 아는 사람들에게 조금씩 팔려 나갈 뿐이다. 원료가 다르고 맛이 각기 다른 치즈의 종류에 놀랐지만, 다 팔리고 나면 다음 크리스마스 때까지 기다려야 하는 것들이어서 더 특별한 의미를 갖는 거 같았다.  
  

치즈와 소시지는 전부 가정에서 직접 만든 수제다

 

원료와 맛이 각기 다른 많은 종류의 치즈들


성탄절은 결코 화려한 날이 아니다. 오히려 화려하면 이상해질 수 있는 날이다. 아기 예수가 태어난 곳은 귀족들이 사는 웅장한 성도 아니고, 따듯한 벽난로가 설치된 안락한 집도 아니었으며, 출산의 고통을 덜어주는 의사가 있는 곳도 아니었다. 이 세상에서 가장 초라한 마구간의 한 구석이었으며 그것도 말의 먹이를 놓는 말구유 속이었다. 가장 초라하고 천해보이는 곳에서 태어난 아기 예수를 탄생일을 기념하는 날이 성탄절의 기원이다. 동유럽 사람들은 이런 성탄절의 의미를 잘 아는 것처럼 소박하게 보였다. 

대중교통 수단을 이용하여 시내의 광장에 열린 크리스마스 마켓에 가족들과 나와서 음식을 사먹는 광경이 왠지 우리나라에서 크리스마스 전야만 되면 예약 없이는 들어 갈 수도 없는 고급 레스토랑의 모습과는 너무 거리가 멀었고 앉을 자리가 없다는 이유로 손님들에게 두 배 세배로 값을 더 받는 바가지 상혼이 극성인 것과는 완전 딴판이었다.
  

부모를 따라 크리스마스 마켓에 나온 두 꼬마의 모습

 

크리스마스 마켓 한 구석에 아이들이 좋아하는 회전 목마도 볼 수 있다


성탄절이 되면 수백만 원을 호가하는 선물이 백화점에서 잘 팔린다는 뉴스의 인터뷰를 본 적이 있다. 비싸야 더 잘 팔리고 화려한 포장이 더 선호된다는 이야기를 들은 적도 있다. 길거리 간이 천막에서 밀가루 반죽으로 사람모양의 쿠키를 만드는 작은 경연대회를 보니 뭔가 휘황찬란한 규모를 자랑하는 페스티벌을 벌여야 뭔가 한 것 같은 느낌이 드는 우리의 성탄절 모습과 많은 차이를 느낄 수 있었다. 자못 진지한 모습으로 길거리 체스를 두는 사람들이 표정에서 소박한 성탄절의 의미를 찾을 수 있었다. 캐럴 송이 크게 울려 퍼지고 시끌벅적한 행사가 없으면 크리스마스 분위기가 나지 않는 것처럼 느껴지는 것은 이미 상업적인 성탄절에 익숙해진 우리의 현주소를 보는 거 같다. 다행스럽게 올해의 성탄절 모습은 예전과는 많이 달라진 거 같아서 다행스럽게 생각한다.     
 

도심에서는 사람 모양의 쿠키를 만드는 경연대회가 열렸다


크리스마스 마켓 옆에서 한가로이 길거리 체스를 두고 있는 모습


동유럽의 성탄절 풍경을 보면서 차분하고 가족적인 성탄절 모습이 그리워졌다. 가족이 한자리에 모여 앉아 일 년을 되돌아보고 가족의 행복을 이야기하는 성탄절을 맞이하고 싶다. 비싼 선물이 오가지 않아도 좋은 레스토랑에서 근사한 식사를 하지 않아도, 값비싼 공연을 보지 않아도 좋다. 가족과 함께하는 소박한 성탄절이면 될 거 같다. 동유럽의 성탄절 풍경을 보며, 성탄절의 의미를 되새겼다. 그리고 귀국행 비행기에서 얼마 남지 않은 2010년에 내가 잘한 일과 아쉬웠던 일을 되돌아보고, 내년에 꼭 해야 할 일과 하고 싶은 일을 노트에 적기 시작했다. 카메라에 담은 그들의 소박한 성탄절 모습을 한 장씩 다시 넘겨보면서.

동유럽의 성탄절은 상업적이지 않다. 소박한 아름다움을 여전히 간직하고 있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