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2020/09/21 (8)
교육부 공식 블로그
"누구나 한 번쯤은 들어봤을 4차 산업혁명! 교육은 4차 산업혁명을 어떻게 준비하고 있을까요?" PBL(Problem/Project Based Learning)부터 컴퓨팅적 사고, 창의적 문제해결 등등 교육에서도 4차 산업혁명을 대비하며 다양한 형태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그리고 오늘 소개해 드릴 교육도 마찬가지로 4차 산업혁명 시대에서 주목받고 있답니다! 바로, “디자인 씽킹” 입니다! 디자인 씽킹이란, 디자이너들이 무엇인가를 디자인하며 문제를 풀어가던 사고방식으로 보통은 기업에서 제품이나 기술의 디자인에 있어서 외형적인 부분부터 콘텐츠, 마케팅, 기획 등 제품이나 기술 전 과정에서의 디자인적 사고를 뜻합니다! 이러한 디자인 씽킹은 제품이나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람들에 대한 공감, 인간 중심적 사고에 기반..
능력중심 인사제도 확산 및 산업계 변화를 반영한 인재양성을 유도하기 위해 중소기업 현장 의견을 청취하는 등 정보통신(IT) 분야 고졸인재 양성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였습니다. #정보통신 #고졸인재 #교육부 #이스트소프트
- 4개 시도 123개 학교 등교수업일 조정 - 9월 18일 0시 대비 학생 13명 증가 (누적 664명) ▶ 자세히보기 : bit.ly/3hMd0Fd #등교수업 #안전등교 #교육부
◈ 등교수업일 조정 현황[9.21.(월) 10:00 기준] - 4개 시·도 123교 등교수업일 조정 ◈ 학생 미등교 사유 및 진단검사 현황[9.21.(월) 00:00 기준] - 등교 이후 확진자 누계 9.18.(금) 00시 대비 학생 13명 증가 【누계 664명(학생 549명, 교직원 115명)】 ※ (학생) 9.17. 이전 확진 3명 /9.18. 확진 7명 / 9.19. 확진 2명 / 9.20. 확진 1명 등교수업일 조정 현황 □ 등교수업 조정 현황(방학 학교 제외) □ 등교수업 조정 사유 ㅇ 9.21.(10시 기준) 4개 시·도 123개 학교가 등교 수업일 조정 중 - 9.18.(10시 기준) 7,018교에서 6,895교 감소(90교 등교수업 조정, 6,985교 등교수업 개시) □ 등교수업 조정 사유..
202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응시원서 접수 결과 - 작년보다 55,301명 감소한 493,433명 지원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2020. 12. 3.(목)에 실시되는 202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응시원서 접수 결과를 다음과 같이 발표하였다. □ 접수 및 변경 기간: 2020. 9. 3.(목) ∼ 9. 18.(금) □ 접수 장소: 시험지구 교육지원청(86개) 및 학교 □ 지원자 현황 ◦ 자격별・성별 (단위: 명) 학년도 합 계 자 격 별 성 별 재학생 졸업생 검정고시 등 남 여 2021 493,433 (100%) 346,673 (70.2%) 133,069 (27.0%) 13,691 (2.8%) 254,027 (51.5%) 239,406 (48.5%) 2020 548,734 (100%) 394,024 (71..
◈ 교육부-정보통신(IT)기업, 맞춤형 인재양성 및 능력중심 인사제도 확산을 위해 협력 ◈ 부총리, 고졸채용 비대면 사전면접에 명예면접관으로 참여 ◈ 교육부, 코로나19 상황에 필요한 비대면 면접 확산 노력 교육부에서는 능력중심 인사제도 확산 및 산업계 변화를 반영한 인재양성을 유도하기 위해 중소기업 현장의 의견을 청취하는 등 고졸청년 채용활성화 분위기 조성을 위해 적극적으로 앞장서고 있다.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유은혜)와 ㈜이스트소프트*(대표이사 정상원)는 9월 21일(월) ㈜이스트소프트 본사(서울 서초구 소재)에서 정보통신(IT) 분야 고졸인재 양성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였다. * 백신 소프트웨어 ‘알약’으로 널리 알려진 코스닥 상장 중소기업(1993.10월 설립)으로, 매출 689억 원, ..
서울한산초를 방문하여 등교를 재개하는 학교의 수업 진행상황을 확인하고 현장 의견을 청취하였습니다. 교육현장에서 헌신과 열정으로 학생의 교육과 안전을 책임지고 계시는 선생님과 학교 관계자분들께 감사드립니다. #수도권 #수업참관 #교육현장 #안전 #감사 #교육부
초등학생들도 일상생활 속에 무의식적으로 욕설의 심각성을 모른 채 비속어를 사용하는 경우가 점차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언어 교육 활동이 필요하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인터넷 및 일상생활 속에서 비속어, 은어, 신조어를 과도하게 쓰는 경우가 많아 이를 개선하기 위해 학교 현장에서 할 수 있는 언어 개선 활동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1. 창의적 체험활동 수업과 연계하기 먼저 학생들과 비속어, 은어, 신조어 등을 쓰는 이유에 대해 허심탄회하게 이야기를 나누어 보았습니다. 많은 학생들이 무의식적으로, 습관이 돼서, 친구들과 대화를 하다 보니 자연스럽게 나오는 경우가 많았고, 화가 나거나 뭔가 세게 보이고 싶을 때 등 다양한 이유 등이 존재했습니다. 그리고 하루에 사용하는 외국어, 줄임말, 욕설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