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2020/11 (168)
교육부 공식 블로그
점점 더 다양한 직업이 생겨나고, 사라지면서 진로에 대한 고민을 하는 학생들이 많을 것 같은데요. 이러한 학생들의 진로 고민을 해결하는 다양한 방법들, 교육부 국민 서포터즈와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교육부 #국민서포터즈 #진로고민 #커리어넷 #진로박람회 ※위 기사는 2020 교육부 국민서포터즈의 의견으로 작성되었습니다.
◈ 수능 전날부터 종료 시까지 관계기관 간 비상대응체계 가동 중 ◈ 수능 특별 방역기간 동안 입시학원 확진자 발생 현황 및 조치사항 - 최근 확진자가 다녀간 목동, 강남 학원은 현재까지 추가 감염 없음 ◈ 2021학년도 중등교원임용시험(1차) 관련 사항 - 현재까지 임용시험을 통한 추가 감염 없음 ◈ 등교수업일 조정 현황[11.30.(월) 10:00 기준] - 11개 시·도 223교 등교수업일 조정 ※ 대학수학능력시험 대비 원격수업 전환학교는 미포함 ◈ 학생 미등교 사유 및 진단검사 현황[11.30.(월) 00:00 기준] - 등교 이후 확진자 누계 11.27.(금) 00시 대비 학생 132명, 교직원 27명 증가 【누계 1,547명(학생 1,300명, 교직원 247명) 1. 수능 대비 관계기관 협력 추..
시도교육청 상황실과 19개 소방본부가 긴밀히 소통하고 협력하여 긴급 이송 등이 필요한 수험생을 지원할 수 있도록 최대한 지원하겠습니다. #수험생 #긴급이송 #비상협력체계 #소통
언론사명 / 보도일시 : 세계일보(이종민 기자) / 2020. 11. 29.(일) 제목 : 고졸 취준생 “차별과 취업난서 고졸(苦卒)하고 싶어요” 교육부는 국가승인통계로서 직업계고 졸업자 취업 통계 조사를 진행하였고 이에 따른 공식 취업률은 50.7%*입니다. * 취업률 산출식 = 취업자 / (졸업자-진학자-입대자-제외인정자) ※ 기존방식과 유사하게 학교에서 인지하고 있는 취업률을 파악한 결과는 60.7% 수준 취업 관련 유사 통계와 용어에 대한 정의 등을 고려할 때, ◆ 교육부 “고등교육기관 졸업자 취업통계” - 취업률 = 취업자/(졸업자-진학자-입대자-취업불가능자-외국인유학생) × 100 ◆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유은혜)와 소방청(청장 신열우)은 11월 30일(월) 서울종합방재센터에서 안전한 수능시험 시행 지원을 위한 협의회를 열고 아래의 사항에 합의하였다. 교육부와 소방청은 수능시험 전날인 12월 2일(화)부터 수능시험 종료 이후까지 발생 가능한 상황에 대하여 점검하고 상황 발생 시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해 “공동 핫라인을 구축”하여 수험생 지원을 위해 최선을 다해 협력하기로 하였다. 특히 소방청은 수험생 이송지원 및 긴급상황 발생 시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해 “119특별상황실”을 12월 2일(화)부터 12월 3일(수) 수능시험 종료 시까지 운영한다. 코로나19로 자가 격리 중인 수험생, 이동이 어려운 수험생 등을 별도시험장까지 전담구급대 등으로 긴급 이동 지원할 예정이며, 수능 시험일..
‘채용’은 기업에게도 어려운 과제 중 하나이죠? 지원자 중에서 기업에서 원하는 기술을 비롯한 스펙을 갖춘 인재를 찾는 게 참 어려운 일입니다. 처음부터 기업이 필요한 기술을 배우고 끝까지 기업이 원하는 인재상이 될 수 있다면 얼마나 채용이 편할까요? 처음부터 끝까지, 회사 맞춤형 인재를 원한다면 ‘조기취업형 계약학과’를 통해 채용을 시작해보세요! ‘조기취업형 계약학과’라면 처음부터 끝까지, 회사 맞춤형 인재로 기업의 ‘대업’을 이룰 수 있습니다! ‘조기취업형 계약학과’란 교육부에서 육성사업으로 지원하여 ‘기업’과 ‘대학’이 함께 인재를 양성할 수 있는 맞춤형 인재 양성 학과입니다. 첨단의료기기학과, 스마트팩토리융합학과, ICT융합공학과 등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하는 학과로 구성되어 입학 전 ‘기업’이 면접..
11월 29일(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이하 중대본)는 대전·충청, 대구·경북, 제주 등 비수도권 지역의 사회적 거리두기를 1.5단계로 격상(12.1.화요일부터 2주간 적용)하였다. ※ 11.29.(일) 이전 거리두기 현황 : 수도권 및 일부 기초지자체 2단계, 호남·강원(영서 일부)·부산·경남 및 일부 기초지자체 1.5단계 이에, 1.5단계로 새롭게 격상된 비수도권 지역의 학교는 ‘거리두기 단계별 학사운영 기준’(11.1.)에 따라 학교 밀집도 2/3를 준수하여야 하며, 학교의 자율적 판단에 따라 보다 강화된 밀집도 적용도 가능하다. ※ (예시) 1.5단계 적용지역에서 2단계 조치인 밀집도 1/3 적용 구분 1단계 1.5단계 2단계 2.5단계 3단계 생활방역 지역적 유행 단계 전국적 유행 단계 학..
언론사명 / 보도일시 : 조선일보(박세미, 유소연 기자) / 2020. 11. 28.(토) 제목 : 직업계高 취업률 51%→28%, 文정부 3년만에 주저앉았다 1. “올해 직업계고 취업률 28%”에 대한 반박 국가승인통계로서 직업계고 졸업자 취업 통계 조사를 진행하였고 이에 따른 공식 취업률의 정의가 존재함에도 별도의 취업률을 계산하는 것은 적절하다 보기 어렵습니다. 보도에서는 취업률을 “취업자/졸업자”로 계산하여 27.7%라 하였으나, 직업계고 졸업자 취업 통계 조사에서 공식적인 취업률을 “취업자 / (졸업자-진학자-입대자-제외인정자)”로 설정하고 발표하였으며,그 결과는 50.7%입니다. ※ 기존방식과 유사하게 학교에서 인지하고 있는 취업률을 파악한 결과는 6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