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2020/11/03 (7)
교육부 공식 블로그
안녕하세요. 교육부 국민 서포터즈입니다. 혹시 오늘이 무슨 날인지 알고 계신가요? 바로 학생 독립운동기념일입니다. 아마 많은 분들께서 잘 모르고 계시지 않았을까 하는데요, 오늘은 학생독립운동기념일에 대해서 알아보고, 그 의미를 되새겨 보고자 합니다. "학생독립운동기념일이란?" 11월 3일, 학생독립운동기념일은 일제강점기 때 일어난 학생항일운동의 정신을 계승하고 발전시켜 학생들에게 애국심을 기리게 하는 목적으로 제정된 법정 기념일입니다. 즉, 학생들의 자율적인 역량과 애국심을 함양시키고자 하는 날인데요. 학생독립운동기념일은 학생의 날이라는 명칭으로 1953년에 처음 국가기념일로 제정된 것으로 처음 등장했습니다. 하지만 10월 유신 시대에 학생들의 민주화 투쟁이 계속됨에 따라 ‘각종 기념일 등에 관한 규정’..
◈ 등교수업일 조정 현황[11.3.(화) 10:00 기준] - 4개 시·도 63교 등교수업일 조정 ◈ 학생 미등교 사유 및 진단검사 현황[11.3.(화) 00:00 기준] - 등교 이후 확진자 누계 11.2.(월) 00시 대비 학생 6명 증가 【누계 896명(학생 754명, 교직원 142명)】 ※ (학생) 11.1. 3명, 11.2. 3명 등교수업일 조정 현황 □ 등교수업 조정 현황 □ 등교수업 조정 사유 ㅇ 11.3.(10시 기준)4개 시·도 63개 학교가 등교 수업일 조정 중 - 11.2.(10시 기준)74교에서 11교 감소(14교 등교수업 개시, 3교 등교수업 조정) 학생 미등교 사유 및 진단검사 현황 □ 학생 미등교 사유별 현황(11.2. 16시 기준) * 진단검사 결과 확진 판정 또는 확진자와의..
코로나19가 확산되고 있는 상황에서 앞으로 치러질 2021학년도 대입 수능 관련 방역 시 고려할 사항과 2학기 방역 관련 추가 필요사항 등을 자문받았습니다. #코로나19 #수능 #방역 #간담회
◈ 초등단계 학업중단학생도 한국교육방송공사(EBS) 온라인 프로그램을 통해 학교 밖에서 학력 취득가능 ◈ 학교 밖 학습이력 및 경험을 누적 관리하여 학력인정자 59명배출 교육부(부총리 겸교육부장관 유은혜)는 4일(수)초등단계 학업중단학생들이 학교 밖에서 한국교육방송공사(EBS) 온라인 프로그램을 통해학력을 취득할 수 있도록초등 온라인 학습 시스템*을 개통한다고 밝혔다. * 접속 방법 : 학습지원 사업 누리집(www.educerti.or.kr)을 통해 접속 그간, 교육부와 시도교육청, 한국교육개발원은 2017년부터 「의무교육단계 미취학・학업중단학생 학습지원 사업」을 추진하면서 학교 복귀가 어려운 학생들이 교육감이 인정하는 졸업학력을 취득할 수 있도록 노력해왔다. < 의무교육단계 미취학・학업중단학생 학습지원..
2020년 11월 3일, 제91주년 학생독립운동기념일입니다. 일제강점기에 학생들이 주도한 '학생독립운동기념일'을 꼭 기억해주세요~ #교육부 #11월3일 #학생독립운동기념일 #대한독립만세 #기억해주세요 나주역 사건, 광주에서 시위 1929년 10월 30일, 나주역에서 한일학생 간 충돌이 발단이 되었습니다. 1929년 11월 3일, 광주의 학생들이 일본의 편파적인 수사와 식민지교육에 저항하는 대대적인 시위를 벌였습니다. 1920년대의 학생조직과 학생들의 주장 1920년대 후반, 교육시설 개설과 기회 확대, 식민지 노예교육 철폐를 외치는 학생의 동맹휴학이 빈번했으며, 학생들은 '독서회'등 활동을 전개했습니다. 전개와 확산, 전국적 독립운동 1929년 11월 12일 이후, 광주의 학생들의 반일시위가 전국적으로 ..
◈ 수능 당일 안전하고 원활한 환경을 조성하고 수험생의 응시기회를 보호하기 위해 관계부처 합동 종합 대책 시행 교육부(유은혜 부총리겸 교육부장관)는 대학수학능력시험(이하 ‘수능’)을 안정적으로 시행하기 위해서 2020년 11월 3일(화)에 열린 국무회의에서「2021학년도 수능 시행 원활화 대책」을 보고․발표하였다.2021학년도 수능은 2020년 12월 3일(목) 8시 40분부터 17시 40분까지 전국 86개 시험지구 1,352개 시험장에서 실시되며, 응시자는 전년보다 55,301명 감소한 493,433명이다. ※ 시험장 출입은 수능 당일 6시 30분부터 가능, 시험실 입실은 8시 10분까지 완료 이번 대책은 ▴12월 시험 시행 ▴코로나19 상황 등 예년과는 다른 시험 여건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부·처·청..
공부란 무엇일까요? 국어사전에서는 공부를 ‘학문이나 기술을 배우고 익힘’으로 정의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학문이나 기술을 ‘어떻게’ 배우고 익히면 좋을까요? 무작정 암기만 하면 되는 걸까요? 물론 아닙니다. 공부에는 늘 ‘이해’가 바탕이 되어야 합니다. 이해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먼저 반복적으로 익힌 다음에 어느 순간 이해로 이어지는 방법이 있는가 하면, 이해를 한 다음에 점차 어려운 방향으로 익혀나가는 방법이 있습니다. 오늘은 둘 중에 후자의 방법, 즉 먼저 ‘이해’하는 것에 초점을 맞춘 공부법을 소개하려고 합니다. 아마 이미 많은 분들이 이미 알고 계시리라 생각하는데요, 바로 ‘스토리텔링’ 공부법입니다. 스토리텔링 공부법이란? 스토리텔링 공부법이란, 스토리(story)와 텔링(tell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