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보도자료 (3542)
교육부 공식 블로그

교육부 누리집에 사교육 카르텔·부조리 및 입시비리 신고센터 설치 및 집중신고 기간 운영(11.1.~11.30.) 징계제도 정비 등 제도 개선을 추진하여 입시부정 대응 강화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이주호)는 기존 사교육 카르텔・부조리 신고센터를 ‘사교육 카르텔・부조리 및 입시비리 신고센터(이하 신고센터)’로 확대·개편하고, 11월 1일(수)부터 11월 30일(목)까지 입시비리 집중신고 기간을 운영한다. 교육부는 공정과 상식에 기반한 대입제도 마련을 지속 추진해 왔다. 이번 신고센터 확대・개편으로 입시비리 신고의 문턱을 낮추고, 신속한 조사를 추진하여 국민 눈높이에 맞는 공정한 입시전형 운영을 뒷받침한다. 또한, 신고센터를 기존 사교육 카르텔・부조리 신고센터와 통합 운영함으로써 사교육업계와 유착된 입시..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이주호)와 한국교육개발원(원장 류방란)은 2023년 「직업계고 졸업자 취업통계조사 결과」를 발표한다. 이번 조사는 전국 직업계고 578개교의 2023년 2월 졸업자 71,591명을 대상으로, 2023년 4월 1일 기준 취업 및 진학여부 등 취업 세부정보를 파악하였다. 이를 위해, 국민건강보험공단, 근로복지공단,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병무청 등 공공데이터베이스(DB)와 연계하여 조사하였다. ① 2023년 직업계고 졸업자의 취업률 및 진학률 2023년 2월 직업계고 졸업자 중 취업자는 19,526명, 취업률은 55.7%로 전년(57.8%, 2022.4.1. 기준) 대비 2.1%p 감소하였고, 졸업자 중 진학자는 33,621명, 진학률은 47.0%로 전년(45.2%, 2022.4.1..

4년제 일반 및 교육대학(193개교), 전문대학(132개교) 모두 소규모 강좌비율 증가(각각 0.6%p↑, 3.0%p↑)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이주호)와 한국대학교육협의회(회장 장제국)는 10월 31일(화), 「2023년 10월 대학정보공시 분석 결과」를 발표한다. 총 411개 대학의 전임교원 강의 담당비율, 학생 규모별 강좌 수, 사립대학 수익용 기본재산 및 법정부담금, 기숙사 운영, 실험·실습실 안전 관리 등의 정보를 공시하고, 4년제 일반 및 교육대학 193개교, 전문대학 132개교에 대한 분석 결과를 공개한다. 사이버대학, 폴리텍대학, 대학원대학 등은 분석 결과에서 제외했다. 4년제 일반 및 교육대학 193개교의 2023년 10월 공시 항목별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① 전임교원 강..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이주호)는 10월 30일(월) 서울청사에서 제9차 사회관계장관회의를 개최하고, ‘제2차 학생건강증진 기본계획(2024~2028)’, ‘폐의약품 회수·처리체계 개선방안’, ‘일학습병행제 성과와 향후 계획’을 발표한다. ‘제2차 학생건강증진 기본계획(2024~2028)’은 「학교보건법」에 따른 법정계획으로, 다양화되고 있는 학생 신체 및 정신건강 문제를 보다 적극적으로 예방·해결하기 위해 관계부처 합동(교육부, 복지부 등 17개 부처)으로 마련되었다. 과제별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이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체육활동 참여 기회를 증가시키기 위해 학교체육 활성화 4대 핵심과제를 추진한다. ➀ 학교 단위에서 ..

현장훈련과 토론훈련을 실시간으로 연계한 통합연계훈련 방식 도입 실제 상황을 가정한 훈련으로 교육현장의 재난 대응 역량 강화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이주호)는 교육기관의 재난 대응 역량을 높이고 안전한 학교 문화 조성을 위해 10월 30일(월)부터 ‘2023 재난 대응 안전한국훈련’을 실시한다. 안전한국훈련은 행정안전부 주관으로 범국가적 재난 대응 역량을 점검하는 훈련으로 올해부터 분야와 주제에 따라 참여기관을 분산하여 3회 실시한다. 교육부는 학교 등 시설 내 화재 발생을 주요 상황으로 설정하여 10월 30일(월)부터 11월 3일(금)까지 5일간 훈련을 실시한다. ※ 1회차 주간(6.5.~16. 풍수해, 도로터널 사고 등), 2회차 주간(8.28.~9.8. 지진, 가축질병 등), 3회차 주간(10...

‘인문학, 인류의 미래를 상상하다’ 주제로 인문주간 개최, 10.30.(월)부터 11.5.(일)까지 전국 49개 인문학 관련 기관에서 열려 인문학적 가치를 직접 체험할 수 있는 행사, 강연, 전시 등 다채로운 행사 마련, 국민의 인문학 가치 인식 향상 및 인문학 성과 향유 기대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이주호)와 한국연구재단(이사장 이광복)은 10월 30일(월)부터 11월 5일(일)까지를 「제18회 인문주간」으로 지정하고, 전국 49개 인문학 관련 기관과 함께 강연, 체험, 전시 및 공연 등 280여 개 행사를 개최한다. 인문주간 행사는 국민의 인문학 가치에 대한 인식을 높이기 위해 마련된 전국 인문학 축제로, 2006년부터 매년 10월 마지막 주에 개최되고 있다. 이번 인문주간은 ‘인문학, 인류의 ..

디지털 기반 교육혁신을 위한 환경 조성 및 케이(K)-클라우드 활용 촉진 케이(K)-클라우드 협의체 교육 분과를 신설하여 인공지능 디지털교과서에 적합한 개발도구, 기술지원, 인공지능 반도체 등 제공 추진 인공지능 디지털교과서 개발사의 클라우드 보안인증 부담 완화를 위해 보안인증 심사기간 단축 및 상담 지원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이주호)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이종호, 이하 ‘과기정통부’)는 10월 24(화), 서울청사에서 「디지털 기반 교육혁신과 케이(K)-클라우드 상생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한다. ※ 케이(K)-클라우드 : 초고속・저전력 국산 인공지능(AI) 반도체를 데이터센터에 적용하여 국내 클라우드 경쟁력을 강화하고 향상된 인공지능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로젝트 이번 업무협약은 다양한 클라우..

11월 1일(09시)부터 ‘처음학교로’에서 모집 유형별로 3희망까지 접수 가능 사전준비(11.1.)-우선모집(11.1.~11.10.)-일반모집(11.15.~11.29.)-추가모집(2023.11.30.~2024.2월) 일정 및 자격 요건 반드시 확인 온라인・현장 교차 원서접수 서비스 제공, 모바일 학부모 서비스 시간 확대,국민건강보험공단과의 연계 확대로 업무 간소화, 관심유치원 등록 기능을 통한 자동 알림 서비스 제공의 주요 기능 개선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이주호)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원장직무대리 신명호)은 2024학년도 국・공・사립유치원 유아모집을 위한 ‘처음학교로’ 서비스를 11월 1일(수)부터 시작한다. ‘처음학교로’는 유치원 입학 공정성과 학부모 편의 제공을 위해 유치원에 직접 방문하지 않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