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보도자료 (3488)
교육부 공식 블로그

2교시_수학 영역 1. 출제의 기본 방향 수학 영역은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의 내용과 수준에 근거하여, 대학 교육에 필요한 수학적 사고력을 측정하는 문항을 출제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인 출제 원칙은 다음과 같다. ◦ 평가 목표는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의 목표와 내용에 기초하여 설정하였다. ◦ 교육과정의 내용을 충실히 반영하여 고등학교 수학교육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문항을 출제하고자 하였다. ◦ 고등학교까지 학습을 통해 습득한 수학의 개념과 원리를 적용하여 문제를 이해하고 해결하는 능력을 측정할 수 있는 문항을 출제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 복잡한 계산을 지양하고, 반복 훈련으로 얻을 수 있는 기술적 요소나 공식을 단순하게 적용하여 해결할 수 있는 문항보다 교육과정에서 다루는 기본..

1교시_국어 영역 1. 출제의 기본 방향 국어 영역은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교육부 고시 제2015-74호)에 기초하여 ‘대학 수학(修學)에 필요한 국어 능력’을 측정하는 문항을 출제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인 출제 원칙은 다음과 같다. ◦ 평가 목표는 2018학년도 입학생부터 적용된 2015 개정 고등학교 국어과 교육과정의 목표와 내용에 기초하여 설정하였다. ◦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설정한 지식과 기능에 대한 이해력, 출제 과목별 교과서를 통해 학습한 지식과 기능을 다양한 담화나 글에 적용할 수 있는 창의적 사고 력을 중점적으로 측정하고자 하였다. ◦ 평가 문항은 국어 영역의 출제 과목인 ‘독서’, ‘문학’, ‘화법과 작문’, ‘언어와 매체’ 교과서에 제시된 학습 목표와 학습 활동을 평가 상황에 맞게..

11월 16일(목), 늘봄학교 발전방안 모색을 위한 정책토론회 개최 미래교육돌봄연구회, 늘봄학교 도입 및 확대를 위한 권고문 발표 학부모, 교원, 관련 전문가와 함께 권고문 및 늘봄학교 향후 추진방향 논의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이주호)는 11월 16일(목), 한국교육시설안전원에서 늘봄학교 발전방안 논의를 위한 정책토론회를 개최한다. 교육부는 늘봄학교 추진 과정에서 현장방문, 관련단체 및 노조 간담회, 현장 상담(컨설팅) 등 교육현장과 지속해서 소통해 왔다. 이번 정책토론회 또한 미래교육돌봄연구회(이하 ‘연구회’)에서 제안한 ‘늘봄학교 도입 및 확대를 위한 권고문’에 대하여 학부모, 교원, 관련 전문가의 의견을 청취하고 향후 추진방향에 대해 논의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 △(간담회) 교원단체·노조 ..

일반 개황 1. 지원자 현황 2024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이하 수능)이 11월 16일(목) 오전 8시 40분부터 전국 84개 시험지구, 1,279개 시험장에서 일제히 시작되었다. 이번 시험에 지원한 수험생은 504,588명으로, 이 중 재학생은 326,646명이고 졸업생등은 177,942명이었다. 이를 영역별로 살펴보면 국어 영역은 501,321명, 수학 영역은 478,083명, 영어 영역은 498,502명, 사회‧과학탐구 영역은 487,069명, 직업탐구 영역은 5,450명, 제2외국어/한문 영역은 78,849명이 지원하였고, 필수로 지정된 한국사 영역은 504,588명의 수험생 전원이 지원하였다. 2. 시험 시간 시험은 오전 8시 40분부터 시작되어 1교시 국어 영역(08:40~10:00), 2교시..

「2028 대학입시제도 개편 시안」 의견 수렴을 위한 공청회 개최 대학 입학처장, 고교교사, 학부모, 전문가 등이 참여하여 토론 진행 유튜브 생중계, 국민 누구나 공청회에 참여 가능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이주호)는 「2028 대학입시제도 개편 시안」(이하 2028 대입개편 시안)에 대한 공청회를 11월 20일(월), 서울 여의도 에프케이아이(FKI) 타워에서 개최한다. 교육부는 지난 10월 10일(화)에 2028 대입개편 시안을 발표한 이후 국가교육위원회를 중심으로 학교현장과 학부모, 전문가 등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고 있다. 또한, 찾아가는 학부모 정책설명회 등을 활용하여 2028 대입개편 시안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학부모 등에게 전달하고 현장과 소통하였다. 이번 공청회에서는 대학 입학처장, 고..

부처 간 협력 관계를 확대하고, 종합적·다각적 정책 접근을 도모하기 위해 사회관계장관회의 구성원 추가(21명→24명)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이주호)는 11월 14일(화) 국무회의에서 「교육·사회 및 문화 관계장관회의 규정」 일부개정령안이 심의·의결되었다고 밝혔다. 「교육·사회 및 문화 관계장관회의」 일부개정령안 교육부는 사회부총리제 도입(2014년) 이후, 사회관계장관회의를 범부처 협력체계로서 운영해 왔으나 저출산, 지역소멸, 급격한 디지털 전환 등 복합적인 사회문제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보다 다양한 부처의 참여와 협력체계 강화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에, 사회부총리를 중심으로 부처 간 협력 관계를 확대하고, 종합적·다각적인 정책 접근을 도모하기 위해 사회관계장관회의 구성원을 추가한다. ※ ..

11월 14일(화), 동소문 행복기숙사(연합) 개관식 개최 월 기숙사비 34만 원(전기·수도세 포함)으로 주거비 해결, 수도권 대학생들에게 든든한 보금자리 제공 헬스장, 독서실, 주차장 등 편의시설을 지역주민에게 개방하여 지역상생 선도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이주호), 국토부(장관 원희룡), 한국사학진흥재단(이사장 홍덕률)은 11월 14일(화), ‘동소문 행복기숙사(연합)*’ 개관식을 개최한다. * 행복기숙사(연합) : 여러 대학의 학생들이 입주하여 공동으로 거주하는 공간 2023년 5월에 준공*된 동소문 행복기숙사(연합)는 대학생들의 거주환경 개선 및 주거비 부담 완화를 위해 교육부가 무상 제공한 국유지에 주택도시기금(국토부) 등을 포함한 사학진흥기금 총 399억 원으로 건립되었다. * 수용인원:..

본지정 평가를 거쳐 10개 글로컬대학 지정‧발표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이주호)와 글로컬대학위원회는 글로컬대학 본지정 평가위원회의 평가와 글로컬대학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11월 13일(월), 2023년 글로컬대학 평가 결과를 발표했다. 2023년 글로컬 본지정 대학은 ①강원대학교‧강릉원주대, ②경상국립대학교, ③부산대학교‧부산교육대학교, ④순천대학교, ⑤안동대학교‧경북도립대학교, ⑥울산대학교, ⑦전북대학교, ⑧충북대학교‧한국교통대학교, ⑨포항공과대학교, ⑩한림대학교 등 총 10개이다. 올해 시작된 글로컬대학30 프로젝트는 인구감소, 산업구조 변화 등으로 지역 및 지역대학의 위기가 심화되는 상황에서, 대학 내‧외부의 벽을 허무는 과감한 혁신과 지역과의 긴밀한 협력을 기반으로 지역-대학의 동반성장을 이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