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경제 (14)
교육부 공식 블로그

수능도 끝나고, 시험 결과도 발표된 지금, 이 시간을 어떻게 보내면 좋을지 고민되는 분들 많으실 텐데요. 교육부 국민 서포터즈 '누리울림'의 하제가 이런 고민이 담긴 사연을 듣고, 해결해주기 위해 나섰어요! 아르바이트를 하고 싶어하는 학생, 미디어 교육을 혼자 공부하고 싶어하는 학생, 의미있는 봉사활동을 하고 싶어하는 학생 등등 다양한 분야에 도전하고 싶은 학생들에게 맞춤형 해답을 준비했다고 하니 궁금하다면 영상으로 만나볼까요? #수능 #사회초년생 #아르바이트 #경제 #미디어 #미리네 #봉사활동 #e청소년 #학생안전특별기간 #교육부 #2021년 #국민서포터즈 수능이 끝나고, 이 시간을 어떻게 보내야 할까요? 하제 ✔ 우선 어떤 분야에서 교양을 쌓고 싶은지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각자 다른 관심사..
KDI와 함께하는청소년경제교실 최근들어 중국 주가 하락, 미국 금리 인상 등 세계 경제가 심상치 않다는 뉴스가 많이 보도되고 있습니다. 세상이 빠르게 변하면서 경제상황도 달라지고 있는데요. 이러한 세상에서 우리는 경제흐름을 빠르게 읽고 분석해야 합니다. 그런데 많은 학생들이 경제를 어려워합니다. 환율, 주식, 펀드 등 생소한 단어들도 많이 나오고, 수업시간에 다루더라도 실생활에서 쉽게 접하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 사진출처: 직접촬영 청소년들에게 조금은 어려운 경제분야에 대한 관심을 키우기 위해 지난 1월 12일과 13일 건국대학교 쿨하우스 교육연수원에서 2016 겨울 청소년 KDI경제교실이 개최되었습니다. ▲ 사진출처: 직접촬영 이번 청소년 경제 교실에서는 경제강의를 듣는 대신 ‘위기의 KDI 엔터테인..
우리 경제의 특징 ■ 세금은 무엇일까요? 한 나라의 인구가 늘어나고 사람들의 삶이 복잡해지면서 국가가 하는 일도 다양해졌습니다. 나라를 지키고 범죄를 예방하며 교육시설과 복지시설을 마련하는 일, 공공시설을 만들어 국민의 생활을 보다 풍요롭게 만드는 일에 엄청나게 많은 돈이 필요하게 되었습니다. 사람들이 공공으로 사용할 수 있는 도서관, 학교, 도로, 수도 등을 공공재라고 하는데 이를 운영하기 위해서는 큰 돈이 필요합니다. 이런 돈을 마련하기 위해서 국민들로부터 돈을 걷는데 이것이 바로 세금입니다. 따라서 세금은 풍요로운 생활을 위해 국민 각자가 분담해야 할 공동경비인 셈입니다. ▲ 세금의 사용(출처: 에듀넷) 왕이 나라의 주인이었던 시절에는 세금을 거두는 방법이나 액수를 백성들의 의사와 상관없이 정해 원..
시장의 기능과 한계 ■ 자유시장경제체제에 살고 있는 우리! 우리는 가계, 기업, 정부, 그리고 외국이 참여하여 자유롭게 경쟁하는 ‘자유시장경제체제’에서 살고 있습니다. 시장경제에서는 만약 어떤 물건이 인기를 끌어 사람들이 많이 찾게 되면 그 물건의 가격이 오르게 되지요. 그럼 물건을 생산하는 사람들이 그 물건을 많이 만들어 시장에 팔게 되면서 수요와 공급이 점차 균형을 맞춰가게 됩니다. 예를 들어 볼까요? 배추 값에 비해 무 값이 오르게 되면 배추를 키우던 농부가 배추 대신 무를 키우는 경우가 늘어나겠지요? 또 한편으로는 무 값이 오르면 깍두기를 담궈 먹던 사람들이 깍두기 대신 배추김치를 찾을 겁니다. 결국 무를 사려는 사람들은 줄고, 무를 팔고자 하는 사람들이 늘어나면서 무의 가격은 점차 내려가게 되는..
시장 가격의 결정 ■ 삼겹살 수요가 늘어나면 가격은 어떻게 변할까요?시장을 좀 더 자세히 관찰해보면 서로 상반되는 생각을 가진 두 세력이 반드시 존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바로 상품을 ‘판매(=공급자)하는 사람’과 ‘구매(=수요자)하려는 사람’입니다. 시장에서는 바로 이 둘의 수요와 공급에 의해 시장 가격이 결정되는데, 우선 수요란 무엇을 말하는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합시다. 시장에서 거래가 이루어지려면 판매하려는 자와 사려는 자가 반드시 존재해야 합니다. 이 경우 어떤 가격으로 물건을 구매하고자 하는 욕구를 수요라 하며, 특정 가격에서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의 양을 수요량이라 칭합니다. 그렇다면 새로 나온 스마트 폰을 사고 싶은 욕구만 있다면 그것은 수요에 해당할까요? 아닙니다. 경제에서 말하는 수..
시장의 원리 ■ 다양한 형태의 시장시장이란 상품을 사고자 하는 사람과 팔고자 하는 사람 사이에 교환이 이루어지는 곳을 말합니다. 시장에는 우리가 흔히 접하는 재래시장, 수산물 시장, 대형 마트와 같은 가시적인 곳도 있지만 증권시장, 외환시장, 전자상거래 시장과 같이 네트워크를 통해 거래가 온라인으로 이뤄져 눈에 보이지 않는 시장도 존재합니다. 이처럼 형태는 달라도 각 시장은 상품을 팔고 사는 사람이 모여 거래가 이루어진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 다양한 시장의 종류(월마트 / 재래시장)(출처: 에듀넷) 시장은 언제 생겨나게 된 것일까요? 아주 오래 전 과거 사람들은 자신에게 필요한 물건은 자급자족하는 생활로 충당했으나, 각자가 가장 잘 만든 물건을 다른 사람과 바꾸어 쓰면 번거롭지 않으면서 풍요로..
경제 활동의 주체 ■ 경제 활동이란 무엇을 말하나요?우리가 살아가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것들이 필요하지요. 추위나 더위를 피하고 편안하게 생활할 수 있는 집과 옷도 필요하고, 생존을 위해서는 먹을 음식도 필요합니다. 또 배우기 위해서 우리는 학교에 가고, 전화로 통화도 하며, 가끔씩 친구들과 떡볶이를 사먹기도 합니다. 생존을 위한 것이든 학업 및 여가를 위한 것이든 우리는 옷, 집, 음식, 공기 등과 같은 재화가 필요하고 머리를 자르기 위한 이발, 아픈 것을 치료하기 위한 의사 선생님의 진료와 같은 서비스도 반드시 필요합니다. 이처럼 인간이 필요한 재화와 서비스를 만들고 생산하는 하는 모든 활동을 경제 활동이라고 부릅니다. ▲재화와 서비스의 예(출처: 에듀넷) 경제 활동의 대상인 재화는 인간의 욕구를 충..
합리적인 소비 하교 길에 코를 자극하는 맛있는 떡볶이 냄새는 그냥 지나칠 수 없게 만듭니다. 또한 친구들과 PC방 이용도 학업으로 쌓인 스트레스를 풀기에 더할 나위 없이 좋습니다. 그런데 아무 계획 없이 충동적으로 이와 같은 소비를 계속하게 된다면 정작 필요한 물건을 구입을 하지 못하는 사태가 생길 수 있습니다. 그래서 합리적인 소비 습관이 필요하지요. 합리적 소비는 먼 미래까지 내다보고 가지고 있는 돈을 고려해서 여러 가지 상품 가운데서 적절한 물건을 선택하고 최대 만족을 얻는 소비행위를 의미하는데요. 합리적 소비를 위해 고려해야 할 사항들은 무엇일까요? ▲합리적인 소비 습관을 기르는 방법(출처: 에듀넷) 1. 자신의 소득을 고려한 후 비용에 비해 만족이 큰 것을 선택해야 해요.자신의 만족을 위해 비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