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과학 (320)
교육부 공식 블로그
우리는 어떻게소리를 낼 수 있는 걸까? 사람의 목소리는 개인마다 독특한 개성을 갖고 있습니다. 좋은 목소리는 듣는 사람에게 매력적인 인상을 심어주지요. 목소리는 어떻게 나는 것일까요? 우리의 목소리는 다른 소리와 마찬가지로 파동의 형태입니다. 우리의 목 안에는 음식이 지나가는 식도와 공기가 지나가는 기도가 있습니다. ‘후두’는 기도의 상단에 있는 구조물로 연골, 근육, 점막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밖에서 보았을 때 목 앞쪽의 튀어나온 부위에 해당합니다. 목소리는 폐에서 나온 공기가 후두 안에 있는 성대를 통과하면서 진동하여 만들어지게 되고, 이 성대의 진동이 성도라는 관을 통과하면서 변형되어 입술을 통해 외부로 방출됩니다. 성대는 두 쪽의 근육막이 진동하면서 목소리를 조절하여 음의 높낮이, 억양, 개인차 ..
미지의 이온 찾기- 형광 화학 센서 ▲ 다양한 용액 우리는 주변에서 이온이 들어 있는 용액을 흔히 접할 수 있습니다. 갈증을 해소해 주는 이온 음료, 바닷물, 수돗물 등에는 여러 종류의 이온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미지의 용액에 들어 있는 이온이 무엇인지 알아보기 위한 방법은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앙금 생성 반응을 이용하는 것이 좋은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앙금이 생성되는지의 여부와, 어떤 색의 앙금이 만들어지는지를 확인하여 어떤 이온이 포함되어 있는지 추측해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앙금을 전혀 생성하지 않는 나트륨, 칼륨 이온 등은 어떻게 검출할 수 있을까요? 나트륨 이온(Na+)과 칼륨 이온(K+)은 불꽃 반응을 이용하여 찾을 수 있습니다. 금속 원소나 금속 원소를 포함한 화합물을 겉불꽃에 넣으..
소리로 유리잔을 깰 수 있을까? ■ 파동의 전파와 소리의 전달 소리 굽쇠를 망치로 두드려 소리가 나면 그 진동이 공기 중으로 퍼져나갑니다. 공기는 마루 부분과 골 부분이 번갈아 나타나면서 오른쪽으로 나갑니다. 이때 공기 분자 자체는 오른쪽으로 나아가지 않고 공기의 마루하고 골의 상태만 오른쪽으로 나아가게 됩니다. 이처럼 파동은 물질 자체가 아니라 물질을 통해 진동이 전달되는 것입니다. 이때 진동을 전달하는 물질을 ‘매질’이라고 합니다. 대부분의 소리는 공기를 통해서 전달됩니다. 하지만 공기뿐만이 아니라 고체, 액체를 통해서도 소리가 전달됩니다. 우리는 실전화기를 통해서 친구가 하는 이야기를 크게 들을 수 있습니다. 고체인 실이 소리를 전달하는 매질의 역할을 하였기 때문입니다. 돌고래들은 물속에서 소리를 ..
철도, 대중교통수단의새로운 역사를 쓰다 ■ 대중교통수단으로서의 철도 철도는 1899년 우리나라에 처음 도입된 이후 1960년대 까지 주요 육상 교통수단으로서의 역할을 해왔습니다. 그러나 1970년대에 이르면서는 생활수준이 나아져 자동차 수가 급격히 늘어나게 되면서 대중교통수단으로서 철도의 비중이 점차 줄어들기 시작했습니다. 자동차 수의 증가는 자연스럽게 출퇴근 시간의 교통 체증, 배기가스로 인한 공기 오염과 같은 여러 가지 문제점을 발생하게 만들었지요. 그런데 최근 환경문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자연스럽게 친환경적인 교통수단인 철도가 재조명을 받게 되었습니다. 철도는 많은 수의 승객과 화물을 한꺼번에 먼 거리까지 실어 나를 수 있는 장점이 있고, 대기 오염의 주범인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승용차의 12%..
렌즈가 사용되는 예 ■ 렌즈를 사용하는 대표적인 물건인 망원경망원경의 종류와 특징I. 망원경의 발명 : 망원경은 1608년 안경 제조자였던 네덜란드의 한스 리퍼세이에 의해 발명되었습니다. 볼록 렌즈와 오목 렌즈를 겹쳐 사물을 보다가 멀리 있는 교회의 첨탑이 가까이 보이는 것을 보고 망원경을 만들게 되었다고 전해지고 있습니다. II. 망원경의 종류굴절 망원경 반사 망원경 반사-굴절식 망원경 볼록 렌즈를 이용하여 빛을굴절시켜 모으는 망원경 오목 거울에 반사된빛을 모으는 망원경 굴절 망원경과 반사 망원경의기능을 조합한 망원경 굴절 망원경(1) 굴절 망원경의 장점과 단점① 굴절 망원경은 렌즈를 이용하여 빛을 굴절시켜 모아 주는 망원경을 말하는 것입니다.② 같은 규모의 반사 망원경에 비해 가격이 비싸 소형 망원경..
혈관에도 종류가 있고하는 일이 좀 다르네! 혈관은 심장에서 나오는 혈액을 온몸으로 운반하고, 온몸을 순환한 혈액을 다시 심장으로 되돌려 보내는 통로로 크게 동맥, 모세혈관, 정맥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심장에서 나온 산소와 영양분이 많이 포함되어 있는 혈액이 흐르는 혈관을 동맥이라고 합니다. 심장의 강한 압력을 견딜 수 있도록 두껍고 탄력 있는 근육층이 발달되어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이러한 동맥과 정맥을 이어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 바로 모세혈관입니다. 모세혈관은 하나의 세포층으로 이루어진 얇은 벽을 통해 산소와 이산화탄소, 영양분과 노폐물이 교환되는 장소이기도 합니다. 심장으로 들어오는 혈액이 흐르는 혈관은 정맥이라고 합니다. 온몸을 돌면서 이산화탄소와 노폐물을 얻은 혈액이 모세혈관을 빠져나와 심장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