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글쓰기 (5)
교육부 공식 블로그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823Bu/btqw57zQYpz/AgskrLKQk6IYtPa2cYuSnK/img.jpg)
어느덧 여름의 한가운데를 지나 7월 하순이 된 요즘, 전국 방방곡곡의 학교에서는 기다리고 기다리던 여름방학이 시작되고 있습니다. 앗, 그런데 여름방학 숙제인 일기 때문에 벌써부터 머리가 아프다고요? 초등학교를 졸업한 지 오래된 저도, 개학 며칠 전부터 부랴부랴 밀린 일기를 몰아 쓰느라 손가락이 욱신욱신 아팠던 초등학생 시절의 기억이 생생한데요! "나는 오늘 ~와 ~에 다녀왔다. 거기에서 ~을 하고 ~도 했다. 참 재미있었다. 보람찬 하루였다." 보통 ‘일기’하면 이러한 산문 형식의 생활문을 떠올리실 텐데요. 하지만 일기는 형식, 문체, 표현 등에 있어서 특정하게 정해진 형식을 가지지 않는다는 것이 가장 큰 특징입니다. 즉, 일기는 쓰는 사람이 얼마든지 마음대로 자신이 쓰고 싶은 형식의 글을 쓸 수..
‘일찍 일어나는 새가 먹이를 잡는다.’ 아침을 잘 활용하는 학생이 배움을 잡는다! 독서하는 습관 I 특색활동하기 I 특기․적성 수업 I 학교 활동 참여 학생들은 등교한 후 무엇을 하면서 시간을 보낼까요? 학생들의 학교생활, 그중에서도 아침 시간의 활용은 반별, 학교별로 다양합니다. 적게는 30분, 일찍 등교하는 학생들은 1교시 수업 시간 전까지 약 한 시간의 여유 시간이 있습니다. 이 시간을 모으면 일주일이면 두 시간에서 다섯 시간 정도의 자투리 시간이 생깁니다. 절대 적지 않은 이 시간은 그냥 낭비하기에는 아깝습니다. 학생들은 어떻게 시간을 보내는지 알아보고 아침 시간을 알차게 활용하는 방법은 어떤 것들이 있을지 알아보겠습니다. 일반적으로 아침 시간은 독서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매일 30분씩의 꾸준..
인성교육 범국민 감사나눔 캠페인 - 「선생님·학생·부모님 자랑 글쓰기대회」시상식 개최 - 교육부(장관 서남수)는 지난 5월 ‘가정의 달’을 맞이하여 실천 중심의 인성교육 확산 및 우수 사례 발굴을 위해 인성교육범국민실천연합(상임대표 안양옥), 한국지역사회교육협의회(회장 차광은)와 공동으로 선생님․학생․부모님 자랑 글쓰기대회를 개최하였으며, 6월 19일에 수상자들에 대한 시상식을 한국교총에서 가졌습니다. 각 부문별 최우수상 1명씩 3명이 교육부장관상을, 우수상 10명씩 30명이 각각 인실련 상임대표상과 한국지역사회교육협의회장상을 수상하여 수상자는 총 33명입니다. 이번 대회는 지난 5월 6일부터 31일까지 전국 초․중․고 학생, 교사, 학부모를 대상으로 서로 감사하는 마음을 담은 글을 공모하여 한국지역사회..
막내초딩 | IDEA팩토리 박정호 명예기자 | jungho0818@naver.com 환경과 과학을 사랑하는 미래의 지식in ! 정호의 활약을 기대해주세욧! 공부만 하는 학교, 학생들의 성적만을 원하는 학교, 학생들은 이런 학교들을 좋아하지 않을뿐더러 학교에 가기 싫어합니다. 학교 공부로 스트레스를 받고 있는 학생들을 위해 학교에서는 지금 어떤 프로그램을 하고 있을까요? 그리고 학생들에게 공부나 성적 이외에 중요하고 의미 있는 학교행사들은 무엇이 있는지 취재해 보았습니다. 최근 주 5일 수업제로 변경된 후 **중학교에서는 각종 토요프로그램이 생겼습니다. 토요일, 등교하지 않는 대신 학교에서는 무료로 강의하고 있는데요. 이런 토요프로그램을 하면 학생들의 생활습관뿐만 아니라 학교생활을 좀 더 밝게 생활할 수 ..
1. 어디서나 글쓰기는 기본! 2월 12일 경기도 과학교육원에서 사이버 영재 심층 면접이 있었습니다. 영재 심층 면접이어서 지원자들은 면접에서 과학이나 수학을 푸는 문제가 나올 것이라고 생각했을 것입니다. 하지만, 뜻밖에도 그 시험에서는 면접을 비롯하여 ‘논술’ 시험이 나왔습니다. 논술의 주제는 요즘 핫 이슈가 되고 있는 구제역에 관련된 글쓰기였으며, 그에 관련된 지문을 지원자 모두에게 나눠주고 50분간 치러졌습니다. 학생들의 얼굴에는 당황한 기색이 보였고, 평소 글쓰기에 자신있는 친구들만이 평가지에 자기 생각을 열심히 표현하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었습니다. 이처럼 우리는 글을 잘 써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학교에서는 숙제로 일기쓰기, 독후감 쓰기가 있고, 대학에 입학할 때도 자기소개서를 비롯하여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