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기술이전 (5)
교육부 공식 블로그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dKhLDL/btslKaooztX/ixw1UykKRB5VNVwQalhc2k/img.jpg)
대학 창의적 자산 실용화 지원 사업 참여대학 선정결과 발표 지역거점형 8개교, 기술거점형 16개교 선정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이주호)와 한국연구재단(이사장 이광복)은 6월 29일(목), ‘대학 창의적 자산 실용화 지원(브릿지 3.0)’ 사업 참여대학 선정결과를 발표한다. 대학 창의적 자산 실용화 지원 사업은 대학이 보유한 창의적 자산 중 사업화 가능성이 높은 특허, 기술 등을 발굴‧고도화하여 기술이전‧사업화를 지원하는 사업이다. 특히, 올해는 지역거점형을 신설하여 지역 내 타 대학, 연구기관, 기업, 지자체와 연계하여 지역특화 산업을 육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기술거점형을 통해 국가전략기술 사업화를 통한 중대형 기술이전(건당 1억 원 이상) 활성화에 집중할 계획이다. 지난 4월 24일(월)부터 ..
중소기업에 대한 대학의 기술이전 기여도가 대기업보다 19.8배 높아- 2013년 산학협력활동 실태조사 결과 - ◆ 특허출원은 2009년에 비해 해외 73.6%, 국내 47.5% 각각 증가 ◆ 현장실습 및 캡스톤디자인 이수 학생은 전년에 비해 22.3%, 51.2%로 늘어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은 전국 423개(대학 284개, 전문대 139개) 정보공시 대상 대학의 산학협력활동 현황 및 성과를 조사․분석한 2013년 대학 산학협력활동 조사보고서를 대학 등 관련기관에 내년 1월 중 발간・배포할 계획입니다. 동 보고서에는 한국연구재단에서 시행한 대학 산학협력활동 실태조사를 바탕으로 산학협력 친화형 인사 운영, 산학협력단 설립․운영, 현장중심 교육과정, 산학협력 연구실적 및 연구장비 활용, 지식재산권 보유 및 기..
2014년 10월 대학정보공시 - ’13년 일반대학의 전임교원 국외학술지 논문 게재 실적 전년대비 3.8% 증가 - ’13년 일반대학의 국내 및 해외 특허 출원 전년대비 12.6%, 12.9% 증가 교육부(장관 황우여)와 한국대학교육협의회(회장 김준영)는 10월 30일전임교원의 연구실적, 연구비 수혜 실적, 특허 출원 및 기술이전 수입료 등 20개 항목*을 대학알리미(www.academyinfo.go.kr)를 통해 공시하고, 4년제 일반대학 174개교**의 주요 분석 결과를 공개했습니다. * 교원 강의 담당 비율, 학생 규모별 강좌수, 현장실습 운영 현황, 기술이전 수입료 및 계약실적, 특허 출원 및 등록 실적, 전임교원의 연구실적, 연구비 수혜 실적, 기숙사 수용 현황 등 ** 고등교육법 제2조의 대학..
황우여 장관, “대학의 창의적 자산 실용화 적극 지원” - ‘대학의 창의적 자산 실용화 지원 사업’ 신규 추진을 통해 창조경제 실현을 앞당긴다 -황우여 교육부 장관은 9월 23일 "우수한 기술 및 특허 등을 보유한 대학이 창조경제의 전진기지가 될 수 있도록 ‘대학의 창의적 자산 실용화 지원 사업’을 새로 추진하겠다"고 밝혔습니다. 황 장관은 이날 서울 한국장학재단에서 열린 「대학의 창의적 자산 사업화를 위한 정책 간담회」에서 “창조경제가 성공적으로 정착하기 위해서는 대학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교육부에 따르면 연간 150억 원을 투입(3년간, 총 450억원)하여 대학들이 보유하고 있는 특허, 원천 기술 등 창의적 자산을 사업화하기 위한 후속 추가연구(Research & Busine..
창의적 연구 활성화와 기술이전 촉진을 위한 제도 개선-「교육과학기술부 소관 연구개발사업 처리규정」개정 - 교과부는 연구비 집행 자율성을 높이고 행정부담 완화에 대한 연구현장의 의견을 반영해 연구개발성과의 사업화를 촉진하기 위한 「교육과학기술부 소관 연구개발사업 처리규정(이하 교과부 처리규정)」을 개정합니다. 교과부 처리규정은 교과부에서 지원하는 기초연구, 원천기술개발, 우주개발, 원자력·핵융합연구개발, 과학기술국제화사업 등 연간 2조원이 넘는 교과부 소관 과학기술분야 연구개발사업의 통합관리운영규정입니다. 교과부는 금번 규정 개정을 통해 연구자의 행정부담은 줄어들고, 연구비 집행의 자율성이 증대되는 한편 연구기관의 기술이전 활성화를 위한 노력은 더욱 증대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금번 규정 개정으로 인한 주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