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대학수학능력시험 (192)
교육부 공식 블로그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G8UhI/btriO18ferQ/I6p4H77WiqB1KoGSlKFHNk/img.jpg)
여러분, 수능이 정말 코앞으로 다가왔는데요! 오늘은 수능을 먼처 치룬 교육부 국민 서포터즈 '누리울림'이 전지적 수능 선배 시점에서 밸런스 게임을 하며 재미있는 수능 이야기도 하고, 수험생들에게 도움이 되는 꿀팁과 2022학년도 대입 관리 방향 주요 사항에 대해 쉽고, 자세히 알려준다고 해요! 우리 함께 밸런스 게임해보러 갈까요? #수능 #대입 #방역 #복장 #자리 #칸막이 #밸런스게임 #대학수학능력시험 #시험 #교육부 #2021년 #국민서포터즈 Q1. 앞에 있는 모든 학생들이 시험 내내 다리 떠는 맨 뒷자리 VS 감독관이랑 1분에 1번씩 아이컨택하는 맨 앞자리 Q2. 시험 내내 추워서 오들오들 떨거나 더워서 땀 한 바가지 흘리기 VS 시험 내내 꽉 끼는 스키니 진에 딱 붙는 크롭티 입기 Q3. 잠이 너..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UV3MB/btrinO2bTtf/Wz46gFLWCfnIDLcr6dQYV1/img.jpg)
시간이 많이 흘러 벌써 202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이 코앞에 다가왔습니다. 특히나 작년과 올해는 코로나19로 수험생들이 불안정한 기분을 많이 느꼈을 것 같아요. 그런 수험생들을 위해 오늘은 이번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유의할 점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고, 작년 수능을 치른 저, 서포터의 경험을 바탕으로 나온 다양한 수능 꿀팁을 공유해보려고 합니다. 다들 집중해주세요! 1. 202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유의사항 1) 오전 8시 10분까지 시험실에 입실하기 시험장 출입은 오전 6시 30분부터 가능하며, 입실 마감 시간은 오전 8시 10분입니다. 수능 당일, 평소 학교 가는 것처럼 일어났다가 입실을 못할 위기에 처한 학생들이 경찰차를 타고 학교에 가는 이야기를 뉴스에서 심심찮게 볼 수 있었었는데요. 그러니 잊지..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oYcxv/btrgihMwY2o/Yn4nIVyFnpKMazAWF8OVLK/img.png)
한국교육과정평가원(원장 강태중)은 지난 9월 1일(수) 전국적으로 실시된 202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이하 수능) 9월 모의평가 채점 결과를 9월 30일(목)에 수험생들에게 통지하였다. 개인별 성적통지표는 접수한 곳(재학 중인 학교, 시험 지구 교육청, 출신 학교 등)을 통하여 수험생에게 교부하였다. 아울러 수험생 진학 지도를 위해 「영역/과목별 등급 구분 표준점수 및 도수분포」자료도 공개하였다. 2022학년도 수능 9월 모의평가에 응시한 수험생은 401,705명으로 재학생은 324,738명, 졸업생과 검정고시 합격자 등은 76,967명이었다. 영역별 응시자 수는 국어 영역 399,251명, 수학 영역 394,955명, 영어 영역 401,018명, 한국사 영역 401,705명, 사회․과학탐구 영역 39..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N0VUu/btrd2yKENXH/KKyeciMXRK1fulzzGXXFgk/img.png)
한국교육과정평가원(원장 강태중)은 2021. 11. 18.(목)에 실시되는 202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응시원서 접수 결과를 다음과 같이 발표하였다. 접수 및 변경 기간: 2021. 8. 19.(목)∼9. 3.(금) 접수 장소: 시험지구 교육지원청(86개) 및 학교 지원자 현황 (단위: 명) 학년도 자 격 별 성 별 합 계 재학생 졸업생 검정고시 등 남 여 2022 360,710 (70.8%) 134,834 (26.4%) 14,277 (2.8%) 261,350 (51.3%) 248,471 (48.7%) 509,821 (100%) 2021 346,673 (70.2%) 133,070 (27.0%) 13,691 (2.8%) 254,028 (51.5%) 239,406 (48.5%) 493,..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oNA02/btrdK6gqRCn/DTjvPpKXKlSqyjeguQLZh1/img.jpg)
Ⅱ. 영역별 출제 방향 1. 출제의 기본 방향 제2외국어/한문 영역은 2015 개정 교육과정의 내용과 수준에 따라 학습자의 외국어 능력과 한문 이해 능력을 평가할 수 있도록 문항을 출제하였다. 제2외국어 교과는 일상생활에서 해당 외국어로 의사소통할 수 있는 언어 사용 능력과 해당 외국(어권) 문화에 대한 이해 능력을 평가할 수 있도록 출제하였다. 한문 교과는 한문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을 익혀 한문 독해에 활용하는 능력, 한자 어휘를 익혀 언어생활에 활용하는 능력, 한문 기록에 담긴 선인들의 삶과 지혜 및 문화를 이해하고 활용하는 능력을 평가할 수 있도록 출제하였다. 2. 출제 범위 출제 범위는 ‘독일어Ⅰ’, ‘프랑스어Ⅰ’, ‘스페인어Ⅰ’, ‘중국어Ⅰ’, ‘일본어Ⅰ’, ‘러시아어Ⅰ’, ‘아랍어Ⅰ’, ‘베트..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T17pU/btrdOvTWGcG/YGnxlK7X66toqcoSrtKyWk/img.jpg)
4교시: 한국사 영역 1. 출제의 기본 방향 한국사 영역은 고등학교 한국사 교육과정에 기초하여 고등학교 졸업자로서 갖추어야 할 한국사 기본 지식의 이해 정도와 역사적 사고력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문항을 출제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인 출제 원칙은 다음과 같다. 한국사에 대한 기본 소양을 갖추었는지를 평가하기 위해 핵심적이고 중요한 내용을 중심으로 평이하게 출제하였다. 단원·시대별로 편중되지 않고 고르게 교육과정의 핵심 내용 위주로 출제하여 학교 수업을 통해 교육과정을 충실히 이수한 학생이라면 높은 등급을 받을 수 있도록 출제하였다. 2. 출제 범위 한국사 영역의 출제 범위는 한국사 교육과정의 범위와 수준에 맞추었다. 문항의 소재는 8종 교과서에 공통으로 수록되어 있는 내용이 활용되었다. 3. 문항 유형 한국..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d509y5/btrdPIZvkqz/s8oZUgqDKQGiz1thGyFWk1/img.jpg)
Ⅱ. 영역별 출제 방향 1. 출제의 기본 방향 영어 영역은 2015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의 내용과 수준에 맞추어 ‘고등학교 영어과 교육과정 성취기준의 달성 정도’와 ‘대학에서 수학하는 데 필요한 영어 사용 능력’을 측정하는 문항을 출제하고자 하였다. 영어 영역의 구체적인 출제 기본 원칙은 다음과 같다. 2015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다양한 소재의 지문과 자료를 활용하되 교육과정 기본 어휘와 시험 과목 수준에서 사용 빈도가 높은 어휘를 사용하여 출제한다. 동일한 능력을 측정하는 유사한 문항 유형을 가감하거나 교체할 수 있는 모듈형 원칙에 따라 검사지를 구성한다. 영어의 유창성뿐만 아니라 정확성을 강조하여 균형 있는 언어 사용 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언어형식과 어휘 문항을 포함한다. 듣기는 원어민의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wMF49/btrdNXC6npl/Jj9m7WqFEkswA7qNPpwYRK/img.jpg)
Ⅱ. 영역별 출제 방향 1. 출제의 기본 방향 수학 영역은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의 내용과 수준에 근거하여, 대학 교육에 필요한 수학적 사고력을 측정하는 문항을 출제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인 출제 원칙은 다음과 같다. 평가 목표는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의 목표와 내용에 기초하여 설정하였다. 교육과정의 내용을 충실히 반영하여 고등학교 수학교육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문항을 출제하고자 하였다. 고등학교까지 학습을 통해 습득한 수학의 개념과 원리를 적용하여 문제를 이해하고 해결하는 능력을 측정할 수 있는 문항을 출제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복잡한 계산을 지양하고, 반복 훈련으로 얻을 수 있는 기술적 요소나 공식을 단순하게 적용하여 해결할 수 있는 문항보다 교육과정에서 다루는 기본 개념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