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데이터 (7)
교육부 공식 블로그

2023년 제3차 사회정책 공개토론회 개최 교육-고용-복지를 포괄하는 사회정책 수립을 위한 종단데이터 구축 논의 정책 수립·개선·평가 등 전 과정에서 데이터 활용성 제고 방안 탐색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이주호)는 10월 5일(목), 세종국책연구단지에서 사회정책협력망 소속 연구기관들과 ‘데이터 기반 사회정책 강화방안’을 주제로 제3차 사회정책 공개토론회를 개최한다. 2023년 사회정책 공개토론회가 ‘근거 기반 정책 결정(EBPM; Evidence-based Policymaking)’을 대주제로 기획된 만큼 지난 토론회에 이어 이번 토론회에서도 데이터 기반 행정을 통한 과학적 정책 수립과 의사결정 강화방안을 중심으로 집중 논의한다. 특히, 정책 결정 수단으로 데이터를 활용하는 단계를 넘어 데이터 구축..

-교육 분야 핵심데이터 제공으로 국민 편익 증진 및 데이터 가치 창출- -데이터보호 기술로 디지털 경제의 안전한 토대 마련- -데이터119 프로젝트로 디지털 대전환 뒷받침- 4차산업혁명위원회(이하 4차위, 위원장 윤성로)는 11월 18일(목) 14시에 서울중앙우체국(포스트타워) 10층 대회의실에서 제7차 “데이터 특별위원회(이하 데이터특위)”를 개최하였다. 제7차 데이터특위에서는 윤성로 위원장 및 민간·정부위원이 참석한 가운데 지난 4월 사업자등록번호, 6월 부동산 정보 개방에 이어 세 번째로 미개방 핵심데이터인 「교육분야 핵심데이터 제공 방안」과 「데이터보호 핵심기술 개발 전략」, 그리고 「국가데이터정책 추진방향(데이터119 프로젝트) 추진현황」 등을 논의했다. 안건➀ : 「미개방 핵심데이터 제공 방안..

2학기 중간고사가 끝나고, 날씨가 쌀쌀해지니 대학생들에게는 그 시기가 온 것 같네요. 바로 과제의 시기입니다! 질 좋은 과제는 질 좋은 데이터로 이루어진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데요. 그런데 대체 좋은 데이터는 어떻게 찾는 걸까요? 인터넷에 알고 싶은 정보에 대해 검색하면 뭐가 많이 나오긴 하는데 무엇이 좋은 자료인지 알 수 없었던 경험, 다들 있으실 텐데요. 이런 분들을 위해 국민 서포터즈가 준비했습니다. 바로 과제 할 때 질 좋은 데이터 찾는 법! 그럼 지금부터 함께 알아볼까요? 1. KERIS 이용하기 KERIS는 국내외 학술자료 및 대학 강의를 쉽고 빠르게 제공하는 사이트입니다. 이곳은 전국 대학 도서관 소장 정보의 통합 데이터베이스를 구축 및 공동 활용하고, 학술연구정보 서비스(RISS)를 운영하며..

□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유은혜)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최기영)는 이동통신 3사와 협력해 EBS 등 주요 교육사이트에 대한 데이터요금 무과금(제로레이팅)을 6월 말까지 한 달 더 연장한다고 밝혔다. ㅇ 온라인 개학이 이루어진 4월부터 5월 말까지 모든 학생이 데이터요금부담 없이EBS 등 주요 교육사이트를스마트폰으로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도록 데이터 사용량을 차감하지않았다. ※ (참고) 교육부·과기정통부 보도, ‘모든 학생을 위한 원격교육 환경 구축에 총력’(20.4.1.) ㅇ 그 결과, 3월 대비이들 사이트의 모바일 트래픽은 5~11배가까이 늘어 온라인 개학의 원활한 진행에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 통신3사의 EBS 등 5개 교육사이트(E..

'언제부턴가 낯선 메일과 모르는 전화들이 계속 와요ㅠㅠ' 소중한 개인정보, 어떻게 관리하고 있나요? 그동안 보안에 소홀하진 않았나요? 개인정보와 데이터를 지키는 생활 속 작은 습관들, 함께 알아봐요! 우리의 개인정보는 우리가 지켜요!
중학생을 위한통계로 세상 배우기 우리는 데이터가 넘쳐나는 시대를 살고 있습니다. 특히 디지털화나 인터넷의 영향으로 세계적으로 데이터가 축적되는 것이 더욱 가속화되고 있죠. 이렇게 축적되는 다양한 형태의 방대한 양의 데이터로 인해 ‘빅데이터’라는 환경이 만들어졌다고 합니다. 빅데이터와 통계최근 언론 등 각종 매체에서 자주 등장하는 빅데이터란 정확히 무엇을 의미하는 것일까요? 빅데이터의 의미를 찾아보면 ‘기존의 데이터베이스 관리도구로 수집, 저장, 관리, 분석할 수 있는 역량을 넘어서는 대량의 정형·비정형 데이터의 집합, 이러한 데이터로부터 가치를 추출하고 결과를 분석하는 기술’이라고 정의하고 있습니다.(출처:위키백과) 빅데이터에 대한 정의나 빅데이터를 바라보는 관점은 바라보는 주체에 따라 조금씩 다르긴 하..
정보의 홍수,빅데이터(BIG DATA)란? ■ 발달하는 정보화 사회 오늘날 우리는 고도로 정보화된 사회에서 살아가고 있습니다.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은 이러한 정보사회의 모습을 지속으로 변화시키고 있으며, 최근에는 웹 1.0 시대, 웹 2.0 시대를 지나 웹 3.0 시대로 진입해 가고 있습니다. 이러한 시대 구분은 특정 연도를 기점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인터넷상의 주된 특성을 기반으로 구분하는 것입니다. 먼저 웹 1.0 시대는 일부 사람들에 의해 제공된 ‘제한된 정보’를 이용하던 시기로서, 주로 홈페이지 등을 방문하여 정보를 얻었습니다. 그 후 점차 인터넷 사용이 보편화되고 이를 통해 각 개인이 정보의 생산과 소비에 참여할 수 있게 됨으로써 드디어 웹 2.0 시대가 시작되었습니다. 웹 2.0 시대에는 어..